$\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에서 push-up과 push-away 방법을 이용한 조절력과 폭주 근점의 측정
Measurement of Amplitude of Accommodation using Push-up and Push-away and Near Point of Convergence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7 no.3 = no.48, 2012년, pp.279 - 284  

김효진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안경광학과) ,  이은희 (극동대학교 안경광학과) ,  오현진 (백석문화대학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12~13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push-up 방법과 push-away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된 조절력을 비교하고, 폭주 근점을 측정하여 조절 및 폭주 부족의 발생률을 알아보았다. 방법: 대상자는 안경교정시력이 1.0이상인 초등학교 학생 88명으로 평균연령은 $12.63{\pm}0.51$세(12~13세) 이었다. 조절력의 측정은 push-up 방법과 push-away 방법을 이용하였다. 폭주 근점은 분리점(break point)과 회복점(recovery point)을 측정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단안 평균 조절력은 push-up 방법이 $11.52{\pm}2.50D$였고, push-away 방법은 $10.06{\pm}1.97D$로 측정되었다. 두 방법 간의 디옵터$1.46{\pm}1.58D$ 만큼 push-up 방법이 크게 측정되었다. 대상자의 평균 파괴점과 회복점은 각각 $8.66{\pm}1.99cm$$10.98{\pm}2.06cm$이었다. 조절 부족은 전체의 28.75%, 폭주 부족은 전체의 30.00%를 나타냈다. 나이에 따른 정상범위의 조절력을 보인 대상자와 폭주 근점의 측정값이 모두 정상 범위에 포함된 경우는 48.75%였다. 조절 부족과 폭주 부족이 함께 나타난 경우는 7.50% 였다. 결론: Push-up 방법과 push-away 방법으로 측정된 조절력은 0.6025의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P<0.05). 나이에 따른 정상적인 조절력을 가진 경우는 71.25%였고, 정상적인 폭주 근점을 보인 경우가 70.00%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e measured the amplitude of accommodation using the push-up and push-away tests and near point of convergence (NPC) and investigated the accommodative insufficiency (AI) and convergence insufficiency (CI)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of 12~13 years old. Methods: 88 students who aged 12~13...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μ이 현시대의 어린이들은 예전보다 더 많은 근거리 시 생활을 하고 있고, 특히 근거리 작업에 의해 발생되는 조절문제는 눈의 피로와 함께 근시를 진행시키는 원인까지 되고 있으며[위, 근거리 작업과 관련 있는 안정피로는 더 나아가 학습장애와 같은 문제까지 이어질 수있다고 보고되었다μ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여러 가지 문제로 발전될 수 있는 조절 및 폭주부족의 문제점을 극소화하기 위해서 소아 굴절교정 시 조절기능 검사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하며, 이에 먼저 최근의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조절이나 폭주부족을 나타내는 경우를 조사하였고, 아직 국내의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임상결과가 많지 않은 push away 방법을 조절력 측정에 이용하여 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근거리 작업이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12~13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조절력과 폭주근점을 측정하여, push-up 방법과 push-away 방법의 조절력에 대한 측정 값을 비교해 보았고, 조절 및 폭주부족의 발생률을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Rosenfield M, Cohen AS. Repeatability of clinical measurements of the amplitude of accommodation. Ophthalmic Physiol Opt. 1986;16(3):247-249. 

  2. Sterner B, Gellerstedt M, Sjostrom A. Accommodation and the relationship to subjective symptoms with near work for young school children. Ophthalmic Physiol Opt. 2006;26(2):148-155. 

  3. Marran LF, Deland PN, Nguyen AL. Accommodative insufficiency is the primary source of symptoms in children diagnosed with convergence insufficiency. Opt. Vis. Sci. 2006;83(5):281-289. 

  4. Michaels DD. Visual optics and refraction, 2nd ed. St. Louis: The C.V. Mosby Co, 1980;377-401. 

  5. Koslowe K, Glassman T, Tzanani-Levi C, Shneor E. Accommodative amplitude determination: pull-away versus push-up method. Optometry and vision development. 2010;41(1):28-32. 

  6. Gallaway M, Scheiman M, Malhotra K. The Effectiveness of pencil pushups treatment for convergence insufficiency: a pilot study. Opt. Vis. Sci. 2002;79(4):265-267. 

  7. Scheiman M, Gallaway M, Frantz KA, Peters RJ, Hatch S, et al. Near point of convergence: test procedure, target selection, and normative data. Opt. Vis. Sci. 2003;80(3):214- 225. 

  8. David BE, Clinical procedures in primary eye care, 3rd ed. London; Butterworth-Heinemann, 2007;193. 

  9. Borsting E, Rouse MW, Deland PN, Hovett S, Kimura D, Park M, Stephens B. Association of symptoms and convergence and accommodative insufficiency in school-age children. Optometry. 2003;74(1):25-34. 

  10. Daum KM. Convergence insufficiency. Am J Optom Physiol Opt. 1984;61(1):16-22. 

  11. Goldstand S, Koslowe KC, Parush S. Vision, visual-information processing, and academic performance among seventh- grade school children: a more significant relationship than we thought?. Am J Occup Ther. 2005;59(4):377-389. 

  12. Kim BC. The normal value of amplitude of accommodation in Koreans. J Korean Ophth Soc. 1979;20(2):153-157. 

  13. Jung MB, Lee KS, Kim TH, Sung AY. Clinical study on accommodation using subjective test. J Korean Oph Opt Soc. 2006;11(2):137-141. 

  14. Nam WG, Cho HG, Son JS, Kwak HW, Moon BY. Examination of refractive correction and accommodative ability on myopic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aring glasses in Jinju city. J Korean Oph Opt Soc. 2009;14(1):109-114. 

  15. Woehrle MB, Peters RJ, Frantz KA. Accommodative amplitude determination: can we substitute the pull-away for the push-up method?. J Optom Vis Devel. 1997;28(4): 246-250(1997). 

  16. Pang Y, Gabriel H, Frantz KA, Saeed F. A prospective study of different test targets for the near point of convergence. Ophthalmic Physiol Opt. 2010;30(3):298-303. 

  17. So JP. Measurement of near point of convergence of elementary schoolchildren. Korean J Vis Sci. 2008;10(4):351- 360. 

  18. Shin JA, Lee OJ.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symptoms with near work and binocular function. J Korean Oph Opt Soc. 2007;12(3):125-130. 

  19. Rouse MW, Hyman L, Hussein M, Solan H. Frequency of convergence insufficiency in optometry clinic settings. Convergence insufficiency and reading study group. Optom Vis Sci. 1998;75(2):88-96. 

  20. Shin JA. Prevalence of accommodative insufficiency and convergence insufficiency in college students. Korean J Vis Sci. 2004;6(1):95-102. 

  21. Maples WC, Hoenes R. Near point of convergence norms measured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Optom Vis Sci. 2007;84(3):224-228. 

  22. Marran LF, Deland PN, Nguyen AL. Accommodative insufficiency is the primary source of symptoms in children diagnosed with convergence insufficiency. Opt Vis Sci. 2006;83(5):281-289. 

  23. Shin HS, Park SC, Park CM. Correlation between visual symptoms and the academic performance as assessed by COVD-QOL questionnaire in primary school children. J Korean Soc School Health Education. 2008;9(2):81-9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