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치면열구전색술의 시술과정에 발생될 수 있는 타액오염이 치면열구전색제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수종의 접착제를 이용하였을 경우, 각 단계의 타액오염이 통상적인 치면열구전색술에서의 전단결합강도와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56개의 우식이 없는 발치된 치아를 이용하여 시행하였으며, 3개의 군에서 타액오염을 시키는 술식단계에 따라 다음과 같이 7개의 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시행하였다. 각 군을 산부식만 시행한 경우(Group A와 B), Adper$^{TM}$ Single Bond를 적용한 경우(Group C, D, E), Adper$^{TM}$ Prompt L-pop을 적용한 경우(Group F, G)로 나누어 실험군의 치면에 타액을 10초간 적용하였다. 치면열구전색제를 적용시키고 열순환을 시행하였으며,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통상적인 치면열구전색술에서는 타액오염시 전단결합강도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p<0.05). 그러나, 접착제를 적용한 뒤 치면열구 전색술을 시행한 군에서는 접착제의 종류나 오염을 시킨 단계에 따른 유의성있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타액오염을 시키지 않고 치면열구전색술을 시행한 군들에서는 Adper$^{TM}$ Single Bond가 높은 결합강도를 보였으나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파절편 검사결과 접착제를 사용한 대부분의 군들에서 응집성 파절이 관찰된 반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은 군들에서는 접착성 파절이 관찰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salivary contamination on shear bond strength of pit and fissure sealant using several bonding agents by means of applying saliva at different stages of treatment. 56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one of seven groups (8 per group): (Group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면열구전색을 시행시 접착 방법의 종류와 각 시술과정에 가해지는 타액오염이 치면열구전색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이에 발거된 대구치 협면에 산부식 후나 접착제 도포 후에 타액오염을 시키고 전색제를 결합시켜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고, 그 파절면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따라서 접착제 도포 후의 타액오염이 접착강도에 주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치면열구전색을 시행시 접착 방법의 종류와 각 시술과정에 가해지는 타액오염이 치면열구전색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색제의 종류 중 가장 선호되는 전색체와 그 이유는? 전색제의 종류에는 레진계, 불소유리 레진계, GI계열이 있 다. 그 중 산부식과 접착제를 사용한 레진계 전색제가 가장 선호되고 있으며, 이는 다른 종류의 전색제에 비해 결합강도가 우수하고 사용이 편하기 때문이다13). 시술 3년 후 전색제의 완전 탈락은 GI 계열은 90%, 레진 계열은 10%로 보고되었다14).
구강관리를 위해 치과에서 가장 많이 시행하는 예방적 시술은 어떤 것이 있는가? 이를 위해 치과의사와 환자와의 협력 하에 예방적 시술을 통한 우식 위험성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1). 일반적으로 치과에서 가장 많이 시행하는 예방적 시술로 소와 및 열구의 우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실란트를, 인접면의 우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불소 도포를 추천하고 있다2).
치면 열구전색술이란? 예방 효과를 높이기 위해 수복재료 뿐만 아니라 시술 방법의 발전으로 효과적인 구강관리가 가능해졌다5,6). 이 중 치면 열구전색술은 이와 같은 좁고 깊은 소와 및 열구를 인위적으로 폐쇄해 줌으로써 교합면 우식증을 예방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구치부 치아우식증의 이환율 감소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치면열구전색의 1년 후 교합면 우식 예방 효과는 67-96% 정도인 것으로 밝혀졌다7-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Mount GJ, Ngo H : Minimal intervention : a new concept for operative dentistry. Quintessence Int, 31:527-533, 2000. 

  2. Shaw L : Modern thoughts on fissure sealants. Dent Update, 27:370-374, 2000. 

  3. Simonsen RJ : Retention and effectiveness of dental sealant after 15 years. J Am Dent Assoc, 122:34-42, 1991. 

  4. Ripa LW : Sealant revisted: An update of the effectiveness of pit and fissure sealants. Caries Res, 27:77-82, 1993. 

  5. Kidd EAM : The use of diet analysis and advice in the management of dental caries in adult patients. Oper Dent, 20:86-93, 1995. 

  6. Burt BA : Prevention policies in the light of the changed distribution of dental caries. Acta Odontol Scand, 56:179-186, 1998. 

  7. Weintraub JA : The effectiveness of pit and fissure sealant. J Public Health Dent, 49:317-330, 1989. 

  8. Feigal RJ : Sealants and preventive restorations : Review of effectiveness and clinical changes improvement. Pediatr Dent, 20:85-92, 1998. 

  9. Holst A, Braune K, Sullivan A : A five year evaluation of fissure sealants applied by dental assistants. Swed Dent J, 22:195-201, 1998. 

  10. Dennison JB, Straffon LH, Smith RC : Effectiveness of sealant treatment over five years in an insured population. J Am Dent Assoc, 131:597-605, 2000. 

  11. Waggoner WF, Siegal M : Pit and fissure sealant application. J Am Dent Assoc, 127:351-361, 1996. 

  12. Rose O : Bond strength and microleakage of a new self-etch sealant. Quintessence Int, 40:559-563, 2009. 

  13. 김신, 정태성 : 불소유리 전색제와 일반 레진계 전색제의 전단결합강도에 관한 비교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7:85-89, 2000. 

  14. Poulsen S, Beiruti N, Sadat : A comparison of retention and the effect on caries of fissure sealing with a glass-ionomer and a resin-based sealant. Commun Dent Oral Epidol, 29:298-301, 2001. 

  15. Hitt JC, Feigal RJ : Use of a bonding agent to reduce sealant sensitivity to moisture contamination:an in vitro study. Pediatr Dent, 14:41-46, 1992. 

  16. Simonsen RJ : Preventive resin restoration. Innovative use of sealants in restorative dentistry. Clin Prev Dent, 4:27-29, 1982. 

  17. Tulunoglu O, Bodur H, Uctasli M : The effects of bonding agents on the microleakage and bond strength of sealant in primary teeth. J Oral Rehabil, 26:436-41, 1999. 

  18. Feigal RJ : The use of pit and fissure sealants. Pediatr Dent, 24:415-422, 2002. 

  19. Hormati AA, Fuller JL, Denehy GE : Effects of contamination and mechanical disturbance on the quality of acid-etched enamel. J Am Dent Assoc, 100:34-38, 1980. 

  20. Sigurdur O, Patricia NR, Edward J : Effects of saliva contamination on resin-resin bond strength. Dental Mater, 20:37-44, 2004. 

  21. Fritz UB, Finger WJ, Stean H : Salivary contamination during bonding procedures with a one-bottle adhesive system. Quintessence Int, 29:567-572, 1998. 

  22. Borem LM, Freigal RJ : Reducing microleakage of sealants under of sealants under salivary contamination: Digital image analysis evaluation. Quintessence Int, 25:283-289, 1994. 

  23. Castro LC, Galvao AC : Comparison of three different preparation methods in the improvement of sealant retention. J Clin Pediatr Dent, 28:249-252, 2004. 

  24. Juliana MB, Carolina PT, Fernanda CR, et al. : Shear Bond Strength of Pit-and-Fissure Sealants to Saliva-contaminated and Noncontaminated Enamel. J Dent child, 72:95-99, 2005. 

  25. Richard D, William J : The effect of saliva contamination on enamel and dentin using a self-etching adhesive. J Am Dent Assoc, 135:895-901, 2004. 

  26. Feigal RJ, Hitt J, Splieth C : Retaining sealant on salivary contamination enamel. J Am Dent Assoc, 124:88-97, 1993. 

  27. Muller BM, Lupi PL, Tardieu C : Retention of resinbased pit and fissure sealants: a systemic review. Commun Dent Oral Epidol, 34:321-36, 2006. 

  28. 최정인, 김영재, 김정욱 등 : 치면열구전색제 사용실태와 인식에 관한 조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6:53-61, 2009. 

  29. 대한치과보존학회 : 치과보존학 제2판. 신흥출판사, 302-309, 2001. 

  30. Garcia-Godoy F, Cooley RL, Randy DM : Effect of dentin adhesion on sealant bond strength. J Clin Pediatr Dent, 15:241-243, 1991. 

  31. 김진규, 김용기 : 타액오염시 bonding agent의 사용이 치면열구전색제의 유지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1:378-389,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