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10년간 장기연속관측에 근거한 부산항 신항 인근 해역의 파랑특성
Characteristics of Waves around the Sea near Busan New Port Based on Continuous Long-term Observations during Recent 10 years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24 no.2, 2012년, pp.109 - 119  

정원무 (한국해양연구원 연안개발.에너지연구부) ,  오상호 (한국해양연구원 연안개발.에너지연구부) ,  백원대 (한국해양연구원 연안개발.에너지연구부) ,  채장원 (한국해양연구원 연안개발.에너지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부산항 신항 인근 해역에서 10년간 파랑 장기 관측을 수행하고, 주요한 파랑 특성을 분석하였다. 부산항 신항은 S계열 파랑이 연중 우세하며, 겨울철에는 거제도 북부 해역에서 발달하는 W계열 파랑이 이에 상응하는 정도로 나타나는 계절적 변동성이 뚜렷이 나타났다. 관측기간 중 유의파고는 대부분 1 m 이하였으나 2003년 9월 태풍 매미 내습 시 최대 유의파고 7.4 m가 관측되었다. 또한, 7월을 제외하고는 계절적 변동성은 거의 없었다. 반면에, 유의파 주기는 평균파향의 영향으로 뚜렷한 계절적 변동성을 나타내었으며, 첨두주기는 여름철에 4~5초, 겨울철에는 3초 내외에 분포하였다. 유의파주기 최대값은 2003년 6월에 관측된 15.56초였다. 한편, 평균파향, 유의파고 및 유의파주기 모두 연별 변동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남측으로 약 4.5 km 떨어진 대죽도 남측 해역에서 5년간 관측된 자료도 함께 분석하여 여름철에는 두 지점 간 높은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반면 겨울철에는 그렇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ong-term wave observation was carried out near Busan New Port and the major wav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t Busan New Port, waves from south direction were predominant throughout the year, while waves from the west, developed at the north sea of Geoje island, appeared almost the same frequ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부산항 신항의 항입구 외측 및 최근 건설된 거가대교의 교량-터널 접속부 구간이 위치한 대죽도 남측 해역에서 장기 연속 관측된 파랑자료를 분석하여 이 해역에 입사하는 파랑의 통계적 특성 및 월별, 연별 변동성을 분석하고, 두 관측점의 파랑 특성 상관관계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주요 결과를 부산항 신항(정점 ST1) 인근의 파랑 특성을 중심으로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산항 신항은 어떤 목적으로 활발하게 추진되어 왔는가? 부산항 신항은 기존 부산항의 만성적인 화물적체 문제점을 해소하고, 동북아시아 지역 국제 물류중심 항만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항만개발 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어 왔다. 이와 관련하여 환경 친화적인 공사 시행 및 해난 재해 예방을 위해 한국해양연구원에서는 1999년부터 부산항 신항 인근의 물리적 해양 환경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연구 과제를 수행하고 있으며(한국해양연구원, 2004; 한국해양연구원, 2010), 특히 부산항 신항 동방파제 전면 해상에서는 동일한 관측 지점(Fig.
부산항 신항(정점 ST1) 인근의 파랑 특성은 무엇인가? (1) 부산항 신항 인근 해역에서는 평균파향의 계절적 변동성이 뚜렷이 나타난다. 여름철에는 부산항 신항 인근 해역에 S 계열 파랑이 우세하며, 이는 가덕도 남측 해상에서 우세한 SSE 계열 파랑이 가덕도를 돌아 회절 또는 굴절하여 부산항 신항 쪽으로 입사하게 되기 때문이다. 반면, 겨울철에는 여전히 S 계열 성분이 우세하지만 W 계열 성분의 출현율도 S 계열에 상응할 정도로 나타난다. (2) 이러한 평균파향의 계절적 특징의 영향으로 유의파주 기도 뚜렷한 계절적 특징을 보인다. 유의파주기는 대체로 3~7초 범위에 분포하지만 S 계열 파랑이 우세한 여름철에는 첨두주기가 4~5초 정도로 상대적으로 길며, 취송거리가 짧은 W 계열 파랑 출현율이 높아지는 겨울철에는 첨두주기가 3초 내외 정도로 짧아서 뚜렷한 월별 변동성을 나타내었다. 유의파주기의 최대값은 2003년 6월에 관측된 15.56초였다. (3) 부산항 신항에서 관측된 파랑의 유의파고는 대부분 1m 이내였으며, 유의파고는 계절적 특징을 보이지 않는다. 관측된 최대 유의파고는 2003년 9월 태풍 매미 내습 당시의 7.4 m였다. (4) 한편, 연별 변동성은 평균파향, 유의파고 및 유의파주 기의 경우에 모두 뚜렷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각각 매년 거의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었다. (5) 또한, 부산항 신항 및 대죽도 남측 해역에서 모두 관측이 수행된 자료들만 선별하여 일대일로 비교 분석을 수행한 결과로부터, 여름철에는 부산항 신항에 도달하는 파의 대부분이 약 4.5 km 남측에 위치한 대죽도 인근 해역에 입사한 파랑이 북쪽으로 전파해 온 것인 반면, 겨울철에는 두 정점에서 관측되는 파랑장의 상관관계가 상대적으로 낮음을 확인하였다. (6) 이러한 이유로 두 정점 간 유의파주기는 여름철에는 거의 동일하며, 겨울철에는 정점 ST1에서의 유의파주기가 정점 ST2에 비해서 약 13% 정도 작았다. 반면에, 유의파고의 경우에는 두 정점에서의 관측값 사이의 뚜렷한 계절적 경향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평균적으로는 정점 ST1에서의 유의파고가 약 26% 작게 나타났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주변 해역에서의 파랑 관측은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가? 지금까지 우리나라 주변 해역에서의 파랑 관측은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된 바 있지만 특정 지역 연안항만에서의 현안 문제 해결을 목적으로 1년 미만의 단기간에 걸쳐서 파랑 관측이 수행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일부 연구기관의 경우 몇몇 관측점에서 수 년간 장기 관측을 수행하고 있지만, 이러한 관측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연안의 파랑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 사례는 상대적으로 많지 않은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서경덕, 권혁동, 이동영 (2008). 한국 연안 심해파의 통계적 특성.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0(4), 342-354. 

  2. 안경모, 천제호 (2004). 장기 파랑측정자료를 이용한 평상파 산정 방법론.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6(3), 178-189. 

  3. 오병철, 심재설 (1990). 파향 스펙트럼 추정법의 비교 연구.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2(3), 119-127. 

  4. 오세범, 김영수 (1997). 부산 신항 개발 기본계획. 한국해안해양공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0-15. 

  5. 윤한삼, 박정현, 정현돈, 김병수 (2010). 부산 신항만 건설 전후 가덕도 주변해역의 수리환경 변화 연구. 해양환경안전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6. 

  6. 정원무, 송태관, 채장원 (1997). 신항만 설계시의 항만가동율 추정. 한국해안해양공학회 정기학술강연회 발표논문 초록집, 120-124. 

  7. 정영복, 김효섭 (2003). 부산 신항 건설공사에 의한 낙동강 하구에서의 대조시 조류변화예측. 한국해안해양공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54-157. 

  8. 정재현, 이학승, 이중우, 양상용, 정영환 (2006). 부산 신항역 파랑반응에 따른 부두 가동율 해석. 한국항해항만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30(2), 57-62. 

  9. 최병호, 김경옥 (2009). 한국해안에서의 파랑관측 상황. 한국해안해양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93-96. 

  10. 한국해양연구원 (2004). 부산항 신항 해양수리현상 연구개발 용역(4차) 보고서. 

  11. 한국해양연구원 (2009). 부산-거제간 연결도로 건설공사 파랑관측연구 용역 보고서. 

  12. 한국해양연구원 (2010). 부산항 신항 해양수리현상 연구개발 용역(5차) 보고서. 

  13. Panicker, N.N. and Borgman, L.E. (1974). Enhancement of directional wave spectrum estimates. Proceedings of 1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astal Engineering, 258-27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