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산화단층영상을 이용한 복부 지방 계측법에서 호흡운동이 비만도 측정에 미치는 영향
Obesity Estimation of Abdominal Fat by Using Computed Tomography : Influence of Breathing Motion on The Fat Measurement 원문보기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th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 Biological Engineering, v.33 no.1, 2012년, pp.8 - 14  

성열훈 (청주대학교 방사선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how much effect to accuracy when measuring abdominal fat by Computed Tomography (CT) under different respiration movements. The study volunteer composed of 66 normal adults ($50.4{\pm}11.2$ years, 33 males, 33 females). We measured their obesity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호흡운동을 고려하지 않으면 내장지방 면적 측정에 많은 오류가 있을 수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피검자들이 검사 시 시행하는 호흡운동의 흡기와 호기의 변화가 복부지방에 의한 비만도 측정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주는지 평가 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호흡운동의 차이로 내장지방 면적의 변화로 인한 복부 비만도의 정량적인 측정값이 변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혈압의 수축기와 이완기를 동시에 측정하는 것처럼 흡기위상과 호기위상을 같이 계측하여 복부비만도를 판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본 연구결과에서 일반적으로 비만도를 판정하는 BMI와 Broca 지수, 그리고 복부 비만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임피던스의 장점은? 그래서 방사선에 대한 비침습적인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을 이용하기도 하지만 고가의 검사 비용과 검사시간이 길어 호흡에 의한 인공물(blurring artifact)과 공기-조직간의 경계면이 지방 조직 감쇄 범위에 들어감으로써 지방 조직으로 측정되 는 화학적 이동 인공물(chemical shift artifact)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어 CT로 복부지방을 측정하는 것이 다소 우수하다[5,6]. 최근에는 재현성이 높고 비교적 비싸지 않으면서 사용이 간편한 체임피던스를 통한 비만 측정법이 등장하였지만 포괄적인 비만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CT처럼 복부의 내장지방 평가에는 부적합하다[7]. Kvist 등은 배꼽부위의 복부 전후직경(axial diameter)이 내장지방량과 높은 상관계수를 갖고 있으며 남성의 복부 부위의 내장지방량은 신체 총 지방량에 21%, 여성의 경우 8%로 성별에 따른 체지방 분포의 차이를 보고하였다[8,9].
BMI 측정법에서 구한 비만의 조건은 무엇인가? 이때 25~29.9 kg/m2을 과체중, 30~39.9 kg/m2 을 비만, 40 kg/m2 이상을 고도비만으로 정의하였다[15].
자기공명영상의 단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방사선에 피폭되는 단점도 있다. 그래서 방사선에 대한 비침습적인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을 이용하기도 하지만 고가의 검사 비용과 검사시간이 길어 호흡에 의한 인공물(blurring artifact)과 공기-조직간의 경계면이 지방 조직 감쇄 범위에 들어감으로써 지방 조직으로 측정되 는 화학적 이동 인공물(chemical shift artifact)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어 CT로 복부지방을 측정하는 것이 다소 우수하다[5,6]. 최근에는 재현성이 높고 비교적 비싸지 않으면서 사용이 간편한 체임피던스를 통한 비만 측정법이 등장하였지만 포괄적인 비만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CT처럼 복부의 내장지방 평가에는 부적합하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T. Nakamura, K. Tokunaga, I. Shimomura, and et al., "Contribution of visceral fat accumulation to the development of coronary artery disease in non-obese men," Atheroscl., vol. 107, pp. 239-246, 1994. 

  2. G. Plourde, "The Role of Radiologic Methods in Assessing Body Composition and Related Metabolic Parameters," Nutr. Rev., vol. 55(8), pp. 289-296, 1997. 

  3. K. Tokunaga, and et al., "A novel technique for the determination of body fat by computed tomography," Int. J. Obes., vol. 7, pp. 437-445, 1983. 

  4. T. Yoshizumi, and et al., "Abdominal fat. Standardize-technique for measurement at CT," Radiol., vol. 211, pp. 283-286, 1999. 

  5. L. F. Donnelly, and B. J. Dardzinski, "Using a phantom to compare MR technique for determining the ratio of interabdominal to subcutaneous adipose tissue," AJR, vol. 180, pp. 993-998, 2003. 

  6. J.D. Yeo, and B.K. Jeon, "Analysis of CT, MRI, DITI for the Diagnosis of Abdominal Obesity and Clinical Usefulness," JKCA, vol. 6, pp. 252-259, 2011. 

  7. E.S. Kim, Y.S. Noh, K.S. Seo, S.B. Park, and H.R. Yoon, "The Novel Method of Segmental Bio-Impedance Measurement Based on Multi-Frequency for a Prediction of risk Factors Life-Style Disease of Obesity," J. Biomed. Eng. Res., vol. 31, pp. 375-384, 2010. 

  8. J.M. Conway, C. Allard, A. Tremblay, J. Talbot, and C. Bouchard, "Evidence for a regional component of body fatness in the association with serum lipids in men and women," Metabol., vol. 61, pp. 7652-7771, 1995. 

  9. H. Kvist, B. Chowdhury, U. Grangrad, U. Tylen, and L. Sjostrom, "Total and visceral adipose tissue volumes derived from measurements with computed tomography in adult men and women: predictive equations," Am. J. Clin. Nutr., vol. 48, pp. 1351-1361, 1988. 

  10. J.M. Conway, S.Z. Yanovski, N.A. Avila, and V.S. Hubbard, "Visceral adipose tissue differences in black and white women," Am. J. Clin. Nutr., vol. 61, pp. 765-771, 1995. 

  11. K. Kotani, "Sex difference in age-related changes of fat distribution in the obese," Int. J. obes. vol. 18, pp. 207-212, 1994. 

  12. M.J. Williams, G.R. Hunter, T. Kekes-Szabo, M.S. Treuth, S. Snyder, L. Berland, and et al., "Intra-abdominal adipose tissue cut-points related to elevated cardiovascular risk in women," Int. J. Obes. vol. 20, pp. 613-617, 1996. 

  13. G.R. Hunter, S.W. Snyder, T. Kekes-Szabo, C. Nicholson, and I. Berland, "Intra-abdominal adipose tissue variables associated with risk of possessing elevated blood lipids and blood pressure," Obes. Res. vol. 2, pp. 563-569, 1994. 

  14. J.P. Despres, and B. Lamarche, "Effects of diet and physical activity on adiposity and body fat distribution: implications for the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Nutr. Res. Rev. vol. 6, pp. 137-159, 1993. 

  15. S.W. Oh, S.A. Shin, Y.H. Yun, T. Yoo, and B.Y. Huh, "Cut-off point of BMI and obesity-related cornorbidities and mortality in middle-aged Korean," Obes. Res. vol. 12, pp. 2031-2040, 2004. 

  16. B.M. Cho, "A study on the Modified Broca's Index to Estimate Standard Body Weight of Korea Adults," Korea J. Preventive Medicine., vol. 16(1), pp. 35-40, 1983. 

  17. World Health Organization. Reducing Risks-Promoting Healthy Life. World Health Report 2002, Geneva, WHO 2002. 

  18.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Executive Summary of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JAMA vol. 285, pp. 2486-2496, 2001. 

  19. A.R. Folsom, S.A. Kaye, T.A. Sellers, C.P. Hong, J.R. Cerhan, J.D. Potter, and et al., "Body fat distribution and 5-year risk of death in older women," JAMA, vol. 269, pp. 483-487, 1993. 

  20. A.H. Kissebah, "Intra-abdominal fat: Is it a major factor in developing diabetes and coronary artery disease?" Diabetes Res. Clin. Pract. vol. 30, pp. 25-30, 1996. 

  21. O. Bosello, M. Zamboni, F. Armellini, and T. Todesco, "Biological and clinical aspects of regional body fat distribution," Diab. Nutr. Metab. vol. 6, pp. 163-171, 1993. 

  22. J.P. Despres, "The insulin resistance dyslipidemic syndrome of visceral obesity: effect on patients risk," Obes. Res. vol. 6, pp. 8S-17S, 1998. 

  23. A. Must, J. Spadano, E.H. Coackley, A.E. Field, G. Colditz, and W.H. Dietz, "The disease burden associated with overweight and obesity," JAMA, vol. 282, pp. 1523-1529, 1999. 

  24. B. Laesson, K. Svardsudd, L. Welin, L. Wilhemsen, P. Bjorntorp, and G. Tibblin, "Abdominal adipose tissue distribution, obesity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death: 13 year follow-up of participants in the study of men born in 1913," Br. Med. J. vol. 288, pp. 1401-1404, 1984. 

  25. A.H. Kissebah, N. Vydelingum, R. Murray, and et al., "Relation of body fat distribution to metabolic complication of obesity," J. Clin. Endocrinol. Metab. vol. 54, pp. 254-260, 1982. 

  26. A.C. Perry, E.B. Applegate, M.L. Jackson, S. Deprima, R.B. Goldberg, R. Ross, and et al., "Racial difference in visceral adipose tissue but not anthropometric markers of healthrelated variables," J. Appl. Physiol. vol. 89, pp. 381-387,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