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한국 대중소기업 프로젝트 협력 유형과 정책과제 : 기술, 마케팅 협력의 정책적 함의 Typology for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Large and SMEs and Implication for Government Policy in Korea : Focused on technology and marketing Cooperation원문보기
지난 몇 년 간 정부의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 실효성은 미미하였다.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학계의 현실적 정책대안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중소기업의 지속적인 동반성장을 위한 실질적인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가장 협력이 요구되는 기술협력과 마케팅협력을 중심으로 대중소기업간 프로젝트 협력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유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프로젝트협력의 유형별 특정을 분석 한 뒤, 한국의 현실과 향후의 정책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위기에 처해있는 중소기업의 생존기반을 확보하고 동시에 대기업의 성장동력을 확보 할 수 있는 동반성장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지난 몇 년 간 정부의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 실효성은 미미하였다.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학계의 현실적 정책대안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중소기업의 지속적인 동반성장을 위한 실질적인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가장 협력이 요구되는 기술협력과 마케팅협력을 중심으로 대중소기업간 프로젝트 협력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유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프로젝트협력의 유형별 특정을 분석 한 뒤, 한국의 현실과 향후의 정책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위기에 처해있는 중소기업의 생존기반을 확보하고 동시에 대기업의 성장동력을 확보 할 수 있는 동반성장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Over the last few years, despite the government's ongoing efforts for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large firms and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their effectiveness is limited. In addition, the academic researches for addressing practical policy alternatives are also insufficient. Th...
Over the last few years, despite the government's ongoing efforts for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large firms and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their effectiveness is limited. In addition, the academic researches for addressing practical policy alternatives are also insufficient.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practical policies for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large firms and SMEs. To this end, we suggest typology to know how collaboration process between large firms and SMEs for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roject with the utilization of dimensions of technology and marketing cooperaton is, and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nd examine the present situation of collaboration between large firms and SMEs in Korea and then finally, derive government policy guidelines. Through this research, we suggest theoretical framework to reinforce national industry competitiveness under growing global competition through suggesting how SMEs take survival basis, and also how large firms collaborate with SMEs.
Over the last few years, despite the government's ongoing efforts for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large firms and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their effectiveness is limited. In addition, the academic researches for addressing practical policy alternatives are also insufficient.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practical policies for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large firms and SMEs. To this end, we suggest typology to know how collaboration process between large firms and SMEs for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roject with the utilization of dimensions of technology and marketing cooperaton is, and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nd examine the present situation of collaboration between large firms and SMEs in Korea and then finally, derive government policy guidelines. Through this research, we suggest theoretical framework to reinforce national industry competitiveness under growing global competition through suggesting how SMEs take survival basis, and also how large firms collaborate with SME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는 이 점에 착안하여 대중소기업의 지속적인 동반성장을 위하여 무엇보다도 정부차원의 산업별, 기업별 협력이 가능한 프로젝트 즉 국가 신성장 동력 프로젝트, 해외기술 의존 프로젝트에 대한 공동 국내기술개발, 신규사업 프로젝트 등에 대한 사업화과정에 첫째, 대중소기업이 어떻게 프로젝트 협력을 하는지 기술협력관점과 마케팅관점에서 그 유형화를 연역적으로 시도 하고자 하며 둘째, 프로젝트협력의 유형별 특징을 분석하고 한국의 현실과 향후의 정책과제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과제를 통하여 위기에 처해 있는 중소기업의 생존기반을 확보하고 동시에 대기업 또한 동반 성장 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함으로서 글로벌 경쟁 하에서 국가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과제를 통하여 위기에 처해 있는 중소기업의 생존기반을 확보하고 동시에 대기업 또한 동반 성장 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함으로서 글로벌 경쟁 하에서 국가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협력은 복잡성의 증가, 자율권의 감소, 정보의 불균형과 같은 부정적인 요인이 동반하는 반면, 신기술이나 신시장에 대한 접근, 제품과 서비스의 광범위한 제공능력, 공동연구 및 생산에서의 규모의 경제(economies of scale), 기업의 경계를 초월한 지식에의 접근, 위험의 공유, 상호보완적인 기술의 접근 등을 제공한다[46]. 따라서 이러한 정의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도 대중소기업간 프로젝트 협력을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단위 사업 프로젝트를 통한 공동기술 개발 및 공동마케팅을 아우르는 전 과정을 협력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관점이다[38][41][24].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기술적 협력 측면과 시장적 협력 측면에서 대중소기업간 협력의 필요성을 논하고자 한다.
방법이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바탕으로 공동 기술협력과 공동 마케팅협력을 이론적 접근기반으로 취하고자 한다.
제안 방법
그러나 이러한 공감대에도 불구하고 대중소기업협력에 대한 체감은 아직도 미미한 수준에 그치고 있다. 그 원인은 다양하게 있을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대중소기업 모두의 동반성장을 위해서 공통적으로 필요한 협력분야인 기술협력과 마케팅협력 분야 임을 인식하고 이 두 차원을 토대로 네 가지 협력유형을 도출하였다. 또한 각 유형별 특징을 분석하고 한국의 현실을 파악한 뒤 향후 전략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그 원인은 다양하게 있을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대중소기업 모두의 동반성장을 위해서 공통적으로 필요한 협력분야인 기술협력과 마케팅협력 분야 임을 인식하고 이 두 차원을 토대로 네 가지 협력유형을 도출하였다. 또한 각 유형별 특징을 분석하고 한국의 현실을 파악한 뒤 향후 전략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최근 한국은 미국의 금융위기, 유럽 발 경제위기, 중국의 국내기술 추격 등 한치 앞을 예단 할 수 없는 전략적 불확실성을 경험하고 있다.
첫째, 정부는 산업별, 기업별 협력이 가능한 기술 및 마케팅협력 프레임을 조속히 구축하여 대중소기업이 요구되는 국가 신성장동력 프로젝트, 해외 기술의존 프로젝트, 신규사업 프로젝트 등이 기업 간의 기술 및 마케팅협력의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로드맵(Road Map)을제시하고자 한다. 그 출발로써 본 연구가 제시한 기술'마케팅 협력을 통합적인 프레임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성능/효과
첫째, 어떤 시스템이라도 목표를 가진다. 둘째, 어떤 시스템이라도 목표달성을 위해 투입-전환-산출의 행위를 하며, 공동의 일관된 방식을 가진다. 셋째, 다양한 요소들이 기능적으로 혹은 구조적으로 서로 관계를 맺는 상호의존성을 가진다.
둘째, 어떤 시스템이라도 목표달성을 위해 투입-전환-산출의 행위를 하며, 공동의 일관된 방식을 가진다. 셋째, 다양한 요소들이 기능적으로 혹은 구조적으로 서로 관계를 맺는 상호의존성을 가진다. 넷째, 하위 시스템들로 구성되어 계층화를 이루며, 각각의 구성요소는 고유의 기능을 가진다.
셋째, 다양한 요소들이 기능적으로 혹은 구조적으로 서로 관계를 맺는 상호의존성을 가진다. 넷째, 하위 시스템들로 구성되어 계층화를 이루며, 각각의 구성요소는 고유의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오픈 시스템의 관점에서 개방형 혁신이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내의 각각의 주체(element)들이 혁신의 단계에서 요구되는 각자 고유의 기능을 잘 수행해야하며, 이러한 고유의 기능들이 제대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상호의존성에 따른 요소들 간의 상호작용 구조가 올바르게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171 결국 최근 뜨겁게 한국사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대중 소기업 간 협력 및 동반성장의 문제 또한 각 이해 주체들이 고유기능을 고도화 하고 이를 토대로 균형적으로 상호작용을 할 때 대중소기업간 협력 시 제기되는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이 도출될 것이다.
하지만 기술 환경이 더욱 복잡해지고 시장자체가 불확실하게 변화함에 따라 대기업조차 생존과 성장의 위협을 받음에 따라 대기업이 중소기업에게 기술을 이전하기보다 오히려 중소기업 시장영역까지 진입함으로써 대중 소 기업 간 동반 성장은 요원해 보인다. 이상의 논의로부터 우리 대중 소기업의 협력의 유형은 기술 및 마케팅협력이 모두 소극적인 유형 IV의 현실에 와 있다고 판단된다.
그 결과 기업이 기술을 개발하고도(유형 ni) 시장에서 도태되거나, 시장을 개척하고도(유형 n) 기업이 성장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궁극적인 원인에는 경쟁력 있는 자금 조달 확보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셋째, 중소기업이 경우 공동프로젝트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핵심 기술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기술금융이 기술수명 주기 등을 고려하여 장기적으로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아무리 좋은 핵심 기술이라 할지라도 단기적 일회성의 프로젝트로는 안정적으로 기업을 운영할 수가 없다.
후속연구
그 출발로써 본 연구가 제시한 기술'마케팅 협력을 통합적인 프레임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 실행방안으로 시스템적 협력 프레임 구축을 한국기업데이터(KED)[52] 등 준 공공기관에 역할을 부여함으로서 그 실효성이 확보 될 것이다. 둘째, 대기업은 정부가 지원한 승자독식에서 벗어나 대기업이 보유한 핵심기술과 유통망 인프라에 중소기업 전문분야를 결합 협력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한다.
그 실행방안으로 시스템적 협력 프레임 구축을 한국기업데이터(KED)[52] 등 준 공공기관에 역할을 부여함으로서 그 실효성이 확보 될 것이다. 둘째, 대기업은 정부가 지원한 승자독식에서 벗어나 대기업이 보유한 핵심기술과 유통망 인프라에 중소기업 전문분야를 결합 협력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한다..
일반적으로 기업은 창업을 하고 보통 io년 정도 지속적으로 성장이 이루어 졌을 때 또는 최소한의 프로젝트가 연속성이 있을 때 성공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대중소기업간 프레임 구축과 기술과 마케팅협력 추진 및 프로젝트에 대한 자금지원 등을 통하여 한국의 국가 경쟁력이 한 단계 제고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