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입체복합개발을 위한 공공 입지여건 분석
Location Analysis for Public Sector's Development of Mixed-Use Complex 원문보기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3 no.2, 2012년, pp.117 - 126  

윤정중 (토지주택연구원) ,  이덕복 (토지주택연구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점차 활성화되고 있는 입체복합개발의 공공 참여를 위한 입지여건을 분석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앞으로 새로운 도시개발이나 도심재생사업, 역세권개발 등에의 수요에 대응하고 도시의 활성화에도 기여하려는 것이다. 입체복합시설의 개발을 위한 입지특성과 공공의 참여여건을 고려하여 대상범위와 입지여건을 분석한 결과, 입체복합개발에 부합하는 다양한 기능의 수용여부를 고려한 기능복합도의 경우 대규모 도시개발지의 중심상업지역 및 신설역사주변과 기성시가지의 도심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개발잠재력도 앞의 세 지역과 함께 기성시가지의 역세권 및 도심부적격시설의 이전적지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개발규모는 대규모 신규도시개발지의 중심상업지역, 기성시가지의 도심, 부도심, 역세권이 필지, 블록, 지구 등 다양한 규모의 개발이 가능하다. 또한 입체복합개발에 대한 공공의 참여여건 분석결과, 공공부문이 개발하는 대규모 신규도시개발지의 중심상업지역과 도심부적격시설 및 공공기관종전부지 등 이전적지가 적합하게 나타났다. 이는 공공시행자로서 민간과의 협력을 통한 도시의 조기성숙과 개발촉진을 도모하고, 도시부적격시설의 이전과 적지개발사업의 연계를 통한 도시환경개선 및 공공성 제고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is spatial locations for public sector's development of mixed-use complex. The results of analysis of location characteristics and public sector's participation conditions are as follows. The central commercial district of new town, surroundings of new railway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향후에도 대규모 신규도시개발의 지속적인 수요가 있느냐에 대해 찬반양론이 적지 않게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찬반의 입장에 서기 보다는 장래주택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대규모 신규도시개발이 필요하다면 그 규모는 어느정도인가에 초점을 두고자 하였다.
  • 이는 민간이 전체지분의 80%이상을 출자하는 민간주도형 사업방식으로서 민간영역과 공공부문의 장점을 결합하여 시너지 창출 및 민간시장 활성화를 도모하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 따라서 대규모 신규도시개발지의 수요를 분석해 봄으로써 입체복합개발의 입지잠재력이 가장 클 것으로 판단되는 입지의 특성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 앞으로 새로운 도시개발이나 도심재생사업, 역세권개발 등의 수요는 꾸준히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며, 사업수법이나 제도적 지원도 더욱 보완·발전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점차 활성화되고 있는 입체복합개발에 공공 참여를 위한 입지여건을 분석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앞으로 새로운 도시개발이나 도심재생사업, 역세권개발 등 새로운 수요에 대응하고 도시의 활성화에도 기여하고자 한다.
  • 여기서 개발수요와 분양/공급여건 및 재원조달의 경우에는 사업주체와 입지특성에 따라 차이가 크고, 또한 구체적인 시장조사·분석을 거쳐야 어느 정도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이 참여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입체복합시설이 입지할 수 있는 조건을 설정하고 이에 부합하는 대상지의 입지와 규모를 추정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토지공사(2009)에서 제시한 장래 주택 건설수요 예측값을 토대로 향후 2020년까지의 신도시 건설 수요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즉 한국토지공사(2009)의 추정면적 824,078천m2 (수도권 489,638천m2 )을 기준으로 과거 1,2기 신도시의 주택건설호수 대비 전국 주택건설호수 비율을 고려하여 장래 신도시 개발면적을 추정하였다.
  • 한국토지주택공사 등 공공에서는 그동안 신도시 등 대규모 도시개발지의 조기성숙과 생활 편익의 증진을 위한 선도사업의 일환으로 도시의 중심지에 프로젝트 파이낸싱(PF)사업방식의 복합단지개발에 민간업체와 함께 참여하여 왔다. 이는 민간이 전체지분의 80%이상을 출자하는 민간주도형 사업방식으로서 민간영역과 공공부문의 장점을 결합하여 시너지 창출 및 민간시장 활성화를 도모하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 따라서 대규모 신규도시개발지의 수요를 분석해 봄으로써 입체복합개발의 입지잠재력이 가장 클 것으로 판단되는 입지의 특성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 실제로 신도시나 일부 역세권의 경우 공공부문이 단독으로 시행하기 보다는 민간과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공공부문은 공공성과 신뢰성을 제고하고 민간부문은 자본과 기술력을 활용하여 상호간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며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이처럼 본 연구는 공공의 참여가 복합개발사업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가는데 보탬이 될 수 있는 조건의 입지를 찾아보는데 초점을 두었다.
  • 지난 ’09.12.29일 「도시재정비촉진을 위한 특별법」을 개정하여 기존의 ‘주거지형’과 ‘도심지형’으로 구분하던 유형에 ‘고밀복합형’을 추가하고 지구지정에 필요한 최소면적기준도 10만m2이상으로 규정함으로써 고밀복합개발의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8%를 곱하면 약 459천호가 산출된다. 이 정도의 규모가 향후 대규모 신규도시개발을 통해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하여 신도시의 평균주택건설규모인 44천호로 나누면 약 10개 정도의 대규모 신규도시개발수요가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수도권의 경우 2020년까지의 주택호수 추정치인 3,497천호에 위의 산출과정을 대입해 보면 약 6개 정도의 신규도시개발수요가 있는 것으로 산정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토지주택공사 등의 공공기관이 프로젝트 파이낸싱(PF)사업방식의 복합단지개발에 민간업체와 함께 참여한 이유는 무엇인가? 한국토지주택공사 등 공공에서는 그동안 신도시 등 대규모 도시개발지의 조기성숙과 생활 편익의 증진을 위한 선도사업의 일환으로 도시의 중심지에 프로젝트 파이낸싱(PF)사업방식의 복합단지개발에 민간업체와 함께 참여하여 왔다. 이는 민간이 전체지분의 80%이상을 출자하는 민간주도형 사업방식으로서 민간영역과 공공부문의 장점을 결합하여 시너지 창출 및 민간시장 활성화를 도모하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 따라서 대규모 신규도시개발지의 수요를 분석해 봄으로써 입체복합개발의 입지잠재력이 가장클 것으로 판단되는 입지의 특성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입체복합개발의 목적은 무엇인가? 입체복합개발은 경직된 토지이용 및 도시개발의 틀에서 탈피하여 입체적이고 복합적인 개발기법을 통해 도시공간에 활력을 불어넣고자 하는 것이다. 일본을 비롯한 여러 서구 국가들은 이미 도심재생 및 개발수법으로 활용해 왔으며, 최근 우리나라도 역세권, 도심재개발, 신도시 및 혁신도시의 중심지역 등에 입체복합개발의 개념을 도입하고 있다.
역세권개발사업은 어디와 연계하여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가? 역세권개발사업은 대규모 철도역사, 특히 서울역, 용산역, 광명역, 대전역, 광주역, 부산역, 동대구역 등 KTX역사 신축과 연계하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국철도공사는 일반 철도의 주요역사에 대해서도 민간자본유치를 통해 현대식 종합역사를 건립․운영하는 방식의 복합역사 개발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국토해양부(2008), 2007년 도시계획현황통계. 

  2. 김경철(1998), 도시철도 이용증진을 위한 연계교통시설 개선방안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3. 김현수(2009), "수도권 장래주택수요 추정", 미발표자료. 

  4. 신중진, 김혜영(2002), "대규모 복합용도개발의 계획성에 관한 연구: 외부공간의 공공성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18(5): 27-38. 

  5. 오덕성, 박천보(1990), "복합용도 건축물의 수용기능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6(6): 157-167. 

  6. 임국택(1996), "주상복합건물의 특성분석과 입지모형설정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임종혁(2007), "철도역세권 개발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부동산학과, 석사학위논문. 

  8. 한국토지공사(2008), 도시재생사업의 지역별 수급여건분석 기초연구. 

  9. 한국토지공사(2009), 국가 토지수요전망연구. 

  10. 한국토지주택공사(2009), 2009토지주택통계편람. 

  11. 윤정중, 최대식, 최민아, 임동빈, 조혜영(2010), 입체복합개발활용을 위한 기초연구, 토지주택연구원. 

  12. Coupland, A. (1997), Reclaiming the city; Mixed Use Development, London: E & FN SPON. 

  13. Grant, J. (2002), "Mixed Use in Theory and Practice: Canadian Experience with Implementing a Planning Principle",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68(1): 71-84. 

  14. Hoppenbrouwer, E. and E. Louw (2005), "Mixed-use development: Theory and practice in Amsterdam's Eastern Docklands", European Planning Studies, 13(7): 967-983. 

  15. Lagendijk, A., and J. Wisserhof (1999), Geef Ruimte de Kennis. Geef Kennis de Ruimte, deel 1: Verkenning van de kennisinfrastructuur voor meervoudig ruimtegebruik (Give knowledge to space, give space to knowledge, part 1: Exploration of knowledge infrastructure for multifunctional land use) Rapport aan de Raad, RMNO-nummer 136. 

  16. Louw, E. and F. Bruinsma (2006), "From mixed to multiple land use", Journal of Housing and the Built Environment, 21: 1-13. 

  17. Lynch, K. (2000), Good City Form, Originally published: A theory of good city form, 1981, 12th printing, Cambridge, MA: MIT Press. 

  18. Priemus, H., P. Nijkamp and F. Dieleman (2000), "Meervoudig Ruimtegebruik: stimulansen enbelemmeringen (Multiple Space Use: stimuliand hindrances)", Stedelijke en regionale verkenningen, 24. Delft: Delftse Universitaire Pers. 

  19. Rodenburg, C. A. and P. N.ijkamp (2004), "Multifunctional Land Use in the City - A Typological Overview", Built Environment, 30(4): 274-288. 

  20. Urban Land Institute (2003), Mixed-use Development Handbook, 2nd edition, Washington, DC: Urban Land Institute. 

  21. http://innocity.mltm.go.kr, 국토해양부 공공기관지방이전추진단 홈페이지(2010.01.10). 

  22. http://lh.or.kr, 한국토지주택공사 홈페이지(2010.01.1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