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주남습지 지역의 육상 곤충상
Terrestrial Insect Fauna of the Junam Wetlands Area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51 no.2, 2012년, pp.111 - 129  

안수정 (경상대학교 응용생물학과) ,  박정규 (경상대학교 응용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남의 대표적 습지인 주남습지를 구성하는 주남저수지, 동판저수지, 산남저수지와 인근의 인공 연꽃단지에서 2010년 5월부터 10월까지 육상 곤충상을 조사하고 군집특성을 분석하였다. 네 곳에서 총 12목 85과 268종, 5,730개체가 조사되었다. 조사된 종 수는 딱정벌레목 63종, 나비목 60종, 노린재목 37종 순이었다. 총 조사된 곤충 수에 대한 목별 개체수의 비율은 딱정벌레목 25.9%, 잠자리목 22.3%, 나비목과 메뚜기목이 각각 15.4%와 12.7% 이었다. 조사 저수지별로는 주남저수지에서 175종, 동판저수지에서 197종, 산남저수지에서 154종이 조사되어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나 인공 연꽃단지에서는 86종이 조사되었다. 조사된 4곳의 곤충상을 요약하면 딱정벌레목에서는 일본잎벌레, 잠자리목에서는 고추잠자리, 나비목에서는 네발나비가 우점종이었다. 조사 전(全) 기간에 대한 종다양성 지수를 분석한 결과, 우점도 지수는 인공 연꽃단지가 0.25로 가장 높았고 주남저수지가 0.08로 가장 낮았다. 다양도 지수는 주남저수지가 4.48, 동판저수지가 4.44, 산남저수지가 4.28, 인공 연꽃단지가 3.87로 모두 높은 편이었다. 각 습지의 곤충상 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주남저수지와 동판저수지의 유사도가 0.96으로 가장 높았으며, 세 곳 저수지와 인공 연꽃단지의 유사도는 0.45~0.53으로 낮은 편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errestrial insect fauna was surveyed in the Junam wetland area, which consists of the Junam, Dongpan, and Sannam wetlands, by visual counting and pictures. A sweep net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May to October 2010. A neighburing artificial lotus wetland was also surveyed for comparison. A tot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1999, 2001)와 이화학적 수질(Lee and An, 2009) 분야에서만 이루어졌을 뿐 곤충이나 식생 등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이루어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남습지 지역의 생물 다양성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육상 곤충상을 조사하여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주남습지 관리・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습지의 기능은 무엇인가? 곤충은 이러한 생태계 내에서 거의 모든 종류의 육상 및 수생서식지를 점유하고 있다. 습지는 육상 생태계와 수생 생태계의 전이대로서 여러 가지 생태적 기능을 제공하며, 이곳에 서식하는 수생생물과 미생물이 각종 오염물질 및 중금속과 같은 유해 화학물질을 정화 시키고, 홍수억제 및 수량조절의 기능을 한다(Mulamoottil et al., 1996).
생태계란 무엇인가? 생태계란 기본적으로 살아있는 유기체 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체계로서 하나의 생태계 안에 사는 유기체들은 먹이사슬을 통해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Tansley, 1935). 곤충은 이러한 생태계 내에서 거의 모든 종류의 육상 및 수생서식지를 점유하고 있다.
주남저수지, 동판저수지, 산남저수지와 인근의 인공 연꽃단지에서 2010년 5월부터 10월까지 조사된 육상 곤충상의 종 수는 어떠한가? 네 곳에서 총 12목 85과 268종, 5,730개체가 조사되었다. 조사된 종 수는 딱정벌레목 63종, 나비목 60종, 노린재목 37종 순이었다. 총 조사된 곤충 수에 대한 목별 개체수의 비율은 딱정벌레목 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hn, S.J. 2010. Hemiptera of Korea. 294 pp. Piltong Publ., Seoul, Korea. 

  2. Anonymous. 2001. Survey on the natural environment at the inland wetlands in Korea. 115 pp.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3. Bae, Y.J., S.I. Jo., D.H. Hoang., H.G. Lee and K.B. Na. 2004. Biodiversity and community composi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from Upo wetlands in Korea. Kor. J. Environ. Ecol. 18: 75-91. 

  4. Borror, D.J., C.A. Triplehorn and N.F. Johnson. 1989.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insects. 6th ed. 873 pp. Saunders College Publ., USA. 

  5. Choi, Y.C., J.G. Kim, J.Y. Choi, W.T. Kim, H.S. Shin and B.D. Park. 2007. Evaluation of farm lands located in urban area and industrial complex using insect diversity indices. Korean J. Appl. Entomol. 46: 363-373. 

  6. Gullan P.J. and P.S. Cranston. 2005. The insects, an outline of entomology. 3rd ed. 528 pp. Blackwell Publ. Ltd., USA. 

  7. Hahm, K.H., C.S. Kim and I.K. Kim. 1999. A study on the species and individuals change of birds in Junam Reservoir during the last ten years (1989-1998). Kor. J. Ornithol. 6: 127-132. 

  8. Hahm, K.H., C.S. Kim and I.K. Kim. 2001. Population fluctuations of Cygrus cygnus and C. columbianucs during 11 years, on Junam Reservoir of Kyungsangnam-do (1989-1999). Kor. J. Ornithol. 8: 47-53. 

  9. Jeong, S.B., H.S. Oh, H.S. Jeon, K.S. Yang, W.T. Kim. 2010. Aquatic insects fauna and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on Jeju island wetlands. J. Wet. Res. 12: 35-46. 

  10. Jung, B.H. 2011. Utopia of insect. 463 pp. Jihye-Sup Co., Ltd. Seoul, Korea. 

  11. Jung, G.S. 2007. Odonata of Korea. 512 pp. IlGongYukSa Publ., Seoul Korea. 

  12. Kang, B.G. and J.S. Choi. 2007. Junam wetland. 168 pp. Jisungsa Publ., Seoul Korea. 

  13. Kim, S.S. 2003. Butterflies, moths. 335 pp. Kyo-Hak Publ. Co. Ltd. Seoul Korea. 

  14. Lee, E.H. and K.G. An. 2009. Temporal dynamics of water quality in Junam Reservoir, as a nest of migratory birds. Korean J. Limnol. 42: 9-18. 

  15. Margalef, D.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 36-71. 

  16. McNaughton, S.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lassland. Nature 216: 168-169. 

  17. Mulamoottil, G., B.G. Warner and E.A. McBean. 1996. Wetlands: Environmental gradients boundaries, and buffers. 320 pp. Lewis Publ., USA. 

  18. Norman, M. 1979. The sinking ark: A new look at the problem of disappearing species. 307 pp. Pergamon Press. USA. 

  19. Noss, R.F. 1990. Indicators for monitoring biodiversity: A hierarchical approach. Conservation Biol. 4: 355-364. 

  20. Paek, M.K. et al. 2010. Checklist of Korea insects. 598 pp. Nature & ecology Publ., Seoul, Korea. 

  21. Park, H.C., S.S Kim. Y.B. Lee and Y.J. Lee. 2006. Color illustration of Korean beetles (Coleoptera). 358 pp. Kyo-Hak Publ. Co., Ltd., Seoul, Korea. 

  22. Pielou, C.E. 1969. Shannon's formula as a measure of specific diversity, its use and misuse. Am. Nat. 100: 463-465. 

  23. Pielou, C.E. 1975. Ecology diversity. 165 pp. Wiley, New York. 

  24. Richard, E. 2005. No turning back (The life and death of animal species). 448 pp. HarperCollins. USA. 

  25. Romoser, W.S. and J.G. Stoffolano, Jr. 1998. The science of entomology. 605 pp. WCB/Mcgraw-Hill Co. Singapore. 

  26. Shin, Y.H. 2001. Coloured illustrations of the moths of Korea. 551 pp. Academy Book Publ., Seoul, Korea. 

  27. Sorensen, T. 1948. A method of establishing groups of equal amplitude in plant sociology based on similarity of species content. Kongelige Danske Videnskabernes Selskab. 4: 1-34. 

  28. Spellerberg, I.F. 1991. Monitoring ecological change. 334 pp.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Tansley, A.G. 1935. The use and abuse of vegetational terms and concepts. Ecology 16: 284-307. 

  30. Whittaker, R.H. 1956. Vegetation of the great smokey mountains. Ecol. Monographs 26: 1-80. 

  31. Yoon, I.B., S.J. Aw and J.I. Kim. 1989. Study on the structures of aquatic insect communities at five wetlands in Gyungsang-Namdo, Kor. J. Environ. Biol. 7: 19-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