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음(至陰)($BL_{67}$).상양(商陽)($LI_1$) 보법(補法) 자침이 백서(白鼠)의 뇌혈류량 및 혈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Zhiyin$($BL_{67}$) and $Shangyang$($LI_1$) Reinforcement in Acupuncture on the Changes of Cerebral Blood Flow and Blood Pressure in Rats 원문보기

大韓鍼灸醫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Medicine Society, v.29 no.2, 2012년, pp.73 - 88  

천혜선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의학교실) ,  조명래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effects of acupuncturing $BL_{67}$ and $LI_1$ and determine the mechanism of action of acupuncturing $BL_{67}$ and $LI_1$ by measuring the changes of regional cerebral blood flow(rCBF) and mean ar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 商陽(LI1)에 상응하는 부위는 手食指端爪甲根角에서 내측 赤白肉際 1分處로 취혈하였다13).
  • 至陰 · 商陽 자침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된 정상 백서의 국소 뇌혈류량을 대조군(BL67+LI1)으로 하고, 인도메타신을 전처치한 다음 至陰 · 商陽 자침으로 변화된 정상 백서의 국소 뇌혈류량을 실험군(IDN or MTB+(BL67+LI1))으로 하였다.
  • 至陰·商陽 자침으로 변동된 국소 뇌혈류량의 작용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혈관 확장 인자 억제제11,12)인 Indomethacin(1㎎/㎏, i.p.)과 Methylene blue(10㎍/㎏, i.p.)를 전처치한 후 위에 언급한 방법으로 뇌허혈 백서에 자침한 후 국소 뇌혈류량을 측정하였다14).
  • 至陰 · 商陽 보법 자침이 정상 백서의 국소 뇌혈류량 및 평균 혈압 변화에 미친 작용 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종류의 혈관 확장 인자 억제제11,12)인 인도메타신(indomethacin 1㎎/㎏, i.p., IDN, Sigma I7378)과 메틸렌블루(methylene blue 10㎍/㎏, i.p., MTB, Sigma M9140)를 각각 至陰 · 商陽에 자침하기 전 20분에 전처치한 후 30분간 자침하여 발침 후 변화되는 국소 뇌혈류량 및 평균 혈압을 150분 동안 측정하였다(Scheme 1)14,15).
  • 至陰․商陽 자침으로 유의성 있게 개선된 뇌허혈 유발 백서의 국소 뇌혈류량을 대조군(BL67+LI1)으로 하고, Indomethacin을 전처치한 다음 至陰·商陽 자침으로 변동된 뇌허혈 유발 백서의 국소 뇌혈류량을 실험군(IDN or MTB+(BL67+LI1))으로 하였다.
  • 至陰․商陽 자침이 정상 백서의 국소 뇌혈류량 및 평균 혈압에 미치는 영향과 작용기전을 살펴보고, 뇌허혈이 유발된 백서에게 자침하였을 때의 국소 뇌혈류량 개선 및 작용기전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補瀉法은 迎隨補瀉法을 적용하여 流注방향으로 刺鍼하여 補法을 시행하였으며, 양측을 30분 동안 자침하였다.
  • 그러므로 MCA 폐색법으로 2시간 정도의 뇌허혈을 유발시킨 백서에 至陰․商陽에 자침을 한 후 재관류를 시행하여 변동되는 국소 뇌혈류량을 관찰하였다.
  • 뇌허혈을 유발시킨 후 至陰 · 商陽에 자침을 시술하지 않고 측정한 국소 뇌혈류량의 변동을 대조군(control), 뇌허혈을 유발시킨 후 至陰 · 商陽에 자침하여 측정한 국소 뇌혈류량의 변동을 실험군(BL67+LI1)으로 하였다.
  • 또한 뇌허혈 이후 재관류 시 至陰․商陽 자침의 뇌혈류 개선 작용이 어느 기전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각각의 경우에 인도메타신과 메틸렌블루를 전처치한 후, 대조군과 실험군의 국소 뇌혈류량 변동을 살펴보았다.
  • 백서의 마취는 750㎎/㎏ 농도의 urethane(Sigma, USA)을 복강주사(i.p.)하여 시행하였고 이를 stereotaxic frame(DKI, USA)에 고정시킨 후 정중선을 따라 두피를 절개시켰다. 이후 두정골을 노출시키고 bregma의 4~6㎜ 측방, -2~1㎜ 전방에 직경 5~6㎜의 두개창 수술을 시행하여, 두개골을 최대한 얇게 남기고 Laser doppler flowmeter(Transonic Instrument, USA)용 needle probe를 대뇌 두정엽 피질 표면에 수직이 되도록 뇌연막 동맥에 조심스럽게 근접시키고 일정시간 동안 안정시킨 후 각각의 穴에 30분간 자침하여 발침한 후 120분 동안 변화되는 국소 뇌혈류량(regional cerebral blood flow, rCBF)을 측정하였다14).
  • 본 연구에서 至陰․商陽에의 자침으로 변화된 뇌혈류량이 어떤 기전에 의한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Cycloox-ygenase의 억제제인 인도메타신11)과 Guanylate cyclase의 억제제인 메틸렌블루12)를 전처치하였다. 정상 백서에 인도메타신을 처치하였을 때(IDN)와 메틸렌블루를 처치하였을 때(MTB) 각각 국소 뇌혈류량(Table 1.
  • 이후 총경동맥과 외경동맥을 미리 걸어 놓은 실로 결찰하고, 내경동맥 분지는 미세혈관 클립을 사용하여 결찰하였다. 외경동맥을 통하여 내경동맥 내로 1.5㎝길이의 3-0 단선조 나일론 봉합사에 실리콘 (Xantopren, Bayer Dental, Germany)으로 16㎜ 길이로 코팅하여 만든 probe를 내경동맥 쪽으로 밀어 넣고 내경동맥에 걸어 둔 실을 묶어 probe를 고정하고 미세클립을 제거하여 뇌허혈을 유발하였고, 재관류는 중뇌동맥 폐쇄 120분 후 실리콘을 제외한 봉합사를 제거하여 시행하였다.
  •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인도메타신과 메틸렌블루를 전처치한 후, 至陰․商陽에 자침하여 정상 백서의 국소 뇌혈류량 변화를 살펴보았다.
  • 이에 저자는 膀胱經絡의 循行이 頭面部에 起是하여 走行하며, 뇌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음5)을 기초로 하여, 뇌혈류량 개선에 유의성이 있을 것이라 생각하여, 膀胱正格 중 補法에 해당하는 至陰(BL67)․商陽(LI1)을 補法 자침한 후, 뇌혈류량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동시에 뇌허혈을 유발시킨 상태에서 至陰․商陽에 자침하여 이에 따른 뇌혈류량 및 혈압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실험 결과에서 至陰․商陽에 자침(BL67+LI1)하였을 경우, 국소 뇌혈류량은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 특히 30분간 자침 후 발침한 시점에서 120, 150분이 경과했을 때에 유의한 수준(p<0.
  • 이에 저자는 膀胱經絡의 循行이 頭面部에서 起始하여 走行하며, 뇌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음5)을 기초로 하여, 膀胱正格 중 補法에 해당하는 至陰(BL67)·商陽(LI1)의 補法 刺鍼이 뇌혈류량과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혈관 확장 인자인 Cyclooxygenase와 Guanylate cyclase의 억제제인 Indomethacin11)과 Methylene blue12)를 전처치 하여 뇌허혈 유발 후 그 작용기전을 관찰한 결과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 )하여 시행하였고 이를 stereotaxic frame(DKI, USA)에 고정시킨 후 정중선을 따라 두피를 절개시켰다. 이후 두정골을 노출시키고 bregma의 4~6㎜ 측방, -2~1㎜ 전방에 직경 5~6㎜의 두개창 수술을 시행하여, 두개골을 최대한 얇게 남기고 Laser doppler flowmeter(Transonic Instrument, USA)용 needle probe를 대뇌 두정엽 피질 표면에 수직이 되도록 뇌연막 동맥에 조심스럽게 근접시키고 일정시간 동안 안정시킨 후 각각의 穴에 30분간 자침하여 발침한 후 120분 동안 변화되는 국소 뇌혈류량(regional cerebral blood flow, rCBF)을 측정하였다14).
  • 5℃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백서 頸部의 중앙선을 따라 절개하고 좌측 총경동맥을 미주신경과 분리하여 노출 시키고, 총경동맥으로부터 외경동맥과 내경동맥을 주변 신경으로부터 분리해내고, 박리한 총경동맥, 외경동맥 및 내경동맥에 미리 실로 느슨하게 걸어 놓는다. 이후 총경동맥과 외경동맥을 미리 걸어 놓은 실로 결찰하고, 내경동맥 분지는 미세혈관 클립을 사용하여 결찰하였다. 외경동맥을 통하여 내경동맥 내로 1.
  • 정상 백서는 실험방법에 따라 각각 至陰 · 商陽을 자침하지 않은 대조군, 至陰 · 商陽을 자침한 군(BL67+LI1), Indomethacin 전처치 군(IDN), Methylene blue 전처치 군(MTB), Indomethacin 전처치 후 자침군(IDN+(BL67+LI1)), Methylene blue 전처치 후 자침군(MTB+(BL67+LI1))으로 나누었으며, 뇌허혈 유발 백서의 경우 각각 至陰․商陽을 자침하지 않은 대조군, 至陰 · 商陽을 자침한 군(BL67+LI1), Indomethacin 전처치 후 자침군(IDN+(BL67+LI1)), Methylene blue 전처치 후 자침군(MTB+(BL67+LI1))으로 나누었다.
  • 중대뇌동맥 기저부를 폐색하여 뇌허혈을 유발시킨 30분 경과 후에 至陰(BL67) · 商陽(LI1)을 補法으로 30분 동안 자침시키고, 폐색된 120분 후에 혈류를 재관류시켜 변동되는 국소 뇌혈류량을 240분 동안 측정하였다14).
  • 5℃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heat pad 위에 伏臥位로 고정시켰다. 혈위 자침 후부터 150분 동안 측정하는 평균 혈압(mean arterial blood pressure, MABP) 변화는 백서의 대퇴동맥에 polyethylene tube를 삽입한 후 pressure transducer(Grass, USA)를 통하여 data acquisition system(Maclab, USA)으로 전송하여 관찰하였다14).

대상 데이터

  • 체중 300±20g 내외의 수컷 Sprague-Dawley계 백서(샘타코, 한국)를 구입한 후 항온항습 장치가 완비된 사육장에서 사료와 물을 공급하면서 1주일 동안 적응(실내온도 24±2℃, 습도 55±5 %, 12시간 명암주기)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0(SPSS, USA)를 사용하였다. 관련 기전 연구 및 뇌허혈이 유발된 백서의 국소 뇌혈류량 변화 비교와 같은 두 군간의 비교는 independent t-test를 사용하였으며, 정상 백서에서 국소 뇌혈류량 및 평균 혈압에 미치는 영향과 같은 집단간의 상호 간섭이 나타나는 통계는 one-way ANOVA로 검정하였고 사후 검정은 tukey test를 이용하였다. p<0.
  • 국소 뇌혈류량 및 평균 혈압의 변화는 각각 30분 단위로 합산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통계 프로그램으로는 SPSS Ver.12.0(SPSS, USA)를 사용하였다. 관련 기전 연구 및 뇌허혈이 유발된 백서의 국소 뇌혈류량 변화 비교와 같은 두 군간의 비교는 independent t-test를 사용하였으며, 정상 백서에서 국소 뇌혈류량 및 평균 혈압에 미치는 영향과 같은 집단간의 상호 간섭이 나타나는 통계는 one-way ANOVA로 검정하였고 사후 검정은 tukey test를 이용하였다.

이론/모형

  • 뇌허혈 유발 백서의 뇌혈류량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백서에게 인위적인 뇌허혈을 유발시켜 중대뇌 동맥(middle cerebral artery, MCA)을 폐색하는 Longa 등의 방법16)을 이용하였으며, 구체적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사용한 침은 0.20 × 15㎜ 규격의 호침(동방침구 DB- 106, 한국)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혈관질환은 2004년 뇌혈관 질환에 의한 사망은 전체 사망원인에서 어느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가? 뇌혈관질환(CVD)은 통계청 발표 자료에 의하면 2004년 뇌혈관 질환에 의한 사망은 전체 사망원인 중 14%를 차지하고 있으며3), 출혈성 뇌졸중의 비중이 줄어드는 반면, 생활양식이나 식단이 서구화되고 고지혈증이나 관상동맥질환과 같은 소위 선진국병이 늘어나면서 허혈성 뇌졸중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17).
뇌기능장애는 크게 어떻게 구분되는가? 뇌기능장애에는 일과성 뇌허혈발작, 가역성 뇌허혈 손상, 동맥경화성 뇌경색 등을 포함한 허혈성 뇌졸중과 지주막하강출혈, 고혈압성 뇌출혈을 포함한 출혈성 뇌졸중으로 대별되고, 그 중에서 허혈성 뇌졸중은 충분한 양의 혈액이 뇌를 관류하지 못하거나 혈액 내의 산소농도가 떨어졌을 때 발생된다. 허혈성 뇌졸중은 초기관류부전, 경색, 영구적인 경색 세 단계로 분류되고18,19) 뇌혈류가 분당 25~30㎖/100mg 정도 이하가 될 경우 언어장애나 감각장애, 시야장애 등의 일시적인 증상이 나타나지만 한계치인 분당 10~25㎖/100mg 정도로 떨어지게 되면 뇌조직에 치명적인 손상이 발생되어 운동마비나 지각마비 등을 포함한 신경기능소실 증상이 나타난다20).
至陰․商陽 자침이 정상 백서의 국소 뇌혈류량 및 평균 혈압에 미치는 영향과 작용기전을 조사하고 뇌허혈이 유발된 백서에게 자침하였을 때의 국소 뇌혈류량 개선 및 작용 기전을 관찰하여 얻은 결과는 어떠한가? 1. 정상 백서에 至陰․商陽 자침을 시행한 후, 국소뇌혈류량은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고, 정상 백서에서 Cyclooxygenase의 억제제인 인도메타신과 Guanylate cyclase의 억제제인 메틸렌블루를 전 처치한 후 至陰․商陽에 자침한 실험군(IDN․ MTB+(BL67+LI1))의 국소 뇌혈류량은 至陰․商陽에 자침한 대조군(BL67+LI1)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2. 정상 백서에 至陰․商陽 자침을 시행한 후, 평균 혈압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고, 정상 백서에서 Cyclooxygenase의 억제제인 인도메타신과 Guanylate cyclase의 억제제인 메틸렌블루를 전처치한 후 至陰․商陽에 자침한 실험군(IDN·MTB+(BL67+LI1))의 至陰․商陽에 자침한 대조군(BL67+LI1)과의 평균 혈압의 변화는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3. 뇌허혈 유발 백서에 至陰․商陽을 자침한 실험군(BL67+LI1)의 국소 뇌혈류량은 재관류 후 불안정한 증가 상태를 보였던 대조군(control)의 국소 뇌혈류량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안정적인 개선을 보였으며, 뇌허혈 유발 백서에 인도메타신을 전처치한 후 至陰․商陽에 자침한 실험군(IDN+(BL67+LI1))의 국소 뇌혈류량 변동은 至陰․商陽에 자침한 대조군(BL67+LI1)과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메틸렌블루를 전처치한 후 至陰․商陽을 자침한 실험군(MTB+(BL67+LI1))의 국소 뇌혈류량은 至陰․商陽에 자침한 대조군(BL67+LI1)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至陰․商陽 자침은 뇌혈관 직경을 확장시킴으로써 뇌혈류량을 증가시키고, Cyclooxygenase, Guanylate cyclase 기전에 모두 관련되나, Guanylate cyclase 기전과 보다 더 밀접하게 관련되며, 뇌허혈 후 재관류 과정에서 불안정하게 변화되었던 뇌혈류량을 보다 안정적으로 개선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편. 내과학. 서울 : 군자출판사. 1996 : 146-58. 

  2. 이광우. 임상신경학 3판. 서울 : 범문사. 2003 : 412, 422-3. 

  3. Available at : http://www.nso.go.kr/ Accessed July 04, 2006. 

  4. 전국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심계내과학. 서울 : 서원당. 2002 : 420-4, 505. 

  5. 대한침구학회 교재편찬위원회. 鍼灸學(中). 파주 : 집문당. 2008 : 51, 438. 

  6. 박은주, 조명래. 大敦?少衝?少府 刺鍼이 腦血流力學에 미치는 影響. 대한침구학회지. 2007 ; 24(1) : 111-25. 

  7. 신동훈, 조명래. 大敦?少府 瀉法刺鍼이 腦血流力學 變動 改善에 미치는 影響. 대한침구학회지. 2004 ; 21(1) : 33-50. 

  8. 신정철, 조명래. 足少陽膽經 正格 刺鍼이 白鼠의 腦血流力學 變動에 미치는 影響. 대한침구학회지. 2007 ; 24(2) : 141-53. 

  9. 임명장, 류충열, 조명래. 手少陽三焦正格 他經補瀉(臨泣 補, 通谷 瀉) 刺鍼이 정상 흰쥐의 腦血流力學 變化에 미치는 影響. 대한침구학회지. 2008 ; 25(5) : 59-68. 

  10. 정호석, 류충열, 조명래. 大敦 補 陰谷 瀉 刺鍼이 정상 흰쥐의 腦血流力學 變化에 미치는 影響. 대한침구학회지. 2009 ; 26(2) : 31-40. 

  11. Wang Q, Pelligrino DA, Paulson OB, Lassen N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N^G-nitro-L-arginine$ and indomethacin on the hypercapnic cerebral blood flow increase in rats. Brain Res. 1994 ; 641(2) : 257-64. 

  12. Iwamoto J, Yoshinaga M, Yang SP, Krasney E, Krasney J. Methylene blue inhibits hypoxic cerebral vasodilation in awake sheep. J Appl Physiol. 1992 ; 73(6) : 2226-32. 

  13. 대한침구학회 교재편찬위원회. 鍼灸學(上). 파주 : 집문당. 2008 : 22-3, 161-2. 

  14. Chen ST, Hsu CY, Hogan EL, Maricque H, Balentine JD. A model of focal ischemic stoke in the rat. reproducible extension cortical infarction. Stroke. 1986 ; 17 : 738-43. 

  15. 김경환. 이우주의 약리학 강의(제4판). 서울 : 의학문화사. 1998 : 120-4, 355, 397, 432-42. 

  16. Longa EZ, Weinstein PR, Carlson S, Cummins R. Reversible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without craniectomy in rats. Stroke. 1989 ; 20(1) : 84-91. 

  17. 이광우. 신경과학. 서울 : 범문사. 2005 : 198. 

  18.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학.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1987 : 161-73. 

  19. 이문호, 김종휘, 허인모. 내과학(下). 서울 : 학림사.1986 : 1825-73. 

  20. 이경은, 김경환. 허혈, 재관류 손상에서 뇌조직 아민변동과 Free Radical과의 관련성. 대한신경과학회지. 1990 ; 8(1) : 2-8. 

  21. 소명숙, 김정현, 김천식, 성시경, 우영근, 장숙희, 주민선. 인체생리학. 서울 : 고문사. 2010 : 104-6. 

  22. 조세형. 사암침법 체계적 연구. 서울 : 성보사. 1986 : 29. 

  23. 정인기, 강성길, 김창환. 五兪穴을 이용한 鍼法의 비교 考察. 대한침구학회지. 2001 ; 18(2) : 186-99. 

  24. 정현우, 백영찬, 김정상. 六味地黃湯加味方이 局所腦血流量 및 血壓에 미치는 실험적 효과. 대한동의병리학회지. 2000 ; 14(2) : 245-55. 

  25. 이금수, 정현우, 강성용. 石菖蒲가 白鼠의 뇌연막동맥의 직경에 미치는 기전연구. 대한본초학회지. 2000 ; 15(2) : 1-7. 

  26. 이정섭, 신선호, 전상윤, 홍석. 養心湯이 白鼠의 腦血流力學 變化에 미치는 影響.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6 ; 27(4) : 855-63. 

  27. 이현삼, 정혁삼, 강철훈, 손낙원. 廣頭根이 白鼠 중대뇌동맥 폐쇄에 의해 발생된 局所腦虛血損傷에 미치는 효과. 대한한의학회지. 2000 ; 21(2) : 68-78. 

  28. 임광모, 정현우. 滋陰健脾湯 加 枳殼?天麻가 뇌세포 및 뇌혈류역학 변동에 미치는 影響. 대한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3 ; 17(1) : 64-70. 

  29. 조규선, 정승현, 신길조, 이원철. 牛黃淸心元이 중뇌대동맥 결찰로 유발된 腦虛血에 미치는 影響. 대한한의학회지. 2001 ; 22(1) : 78-89. 

  30. 홍석, 안정조, 전상윤, 최창원, 정영득. 順氣活血湯의 뇌허혈 억제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05 ; 13(1) : 49-69. 

  31. 박형배, 양승정, 위통순, 박혜선, 전상윤, 홍석. 化痰通絡湯이 白鼠의 뇌혈류변화 및 허혈성 뇌손상에 미치는 影響.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06 ; 14(1) : 105-19. 

  32. 신영일, 조경화, 정현우, 강성용, 황경택. 蔓荊子의 腦血流力學에 대한 연구. 대한동의병리학회지. 2000 ; 14(1) : 90-8. 

  33. 노영호, 정현우, 이원석. 靑皮활성분획이 허혈성 뇌손상에 미치는 실험적 연구. 대한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2 ; 16(5) : 893-8. 

  34. 조남근. 湧泉穴의 刺鍼 및 艾灸 施術이 血壓과 局所腦血流量에 미치는 影響. 대한침구학회지. 1998 ; 15(2) : 227-36. 

  35. 김일두, 오희홍, 송호천, 범희승, 변재영, 안수기. 足三里 전침자극이 腦血流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핵의학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1 ; 18(2) : 18-26. 

  36. 이주형, 이홍민, 정병식, 윤형석, 조성규, 이상훈, 전형준, 남상수, 김용석. 百會穴 刺鍼이 腦血流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1 ; 18(6) : 105-13. 

  37. 이건목, 양유선, 김성진, 황유진, 유동수, 김민자, 조은희, 김현중, 양명복, 이병철, 이인. 合谷 鍼刺가 腦血流에 미치는 影響에 대한 핵의학적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1 ; 18(6) : 93-104. 

  38. 신정철, 유충렬, 조명래. 行間?少府 補瀉鍼法이 局所 腦血流量 및 平均血壓에 미치는 影響. 대한침구학회지. 2003 ; 20(6) : 190-200. 

  39. 이순호, 신경호, 김종욱. 中風七處穴 刺鍼이 腦血流에 미치는 影響. 대한침구학회지. 2004 ; 21(3) : 83-97. 

  40. 안영선, 위통순, 조명래, 채우석, 윤여충. ?門 $(GV_{15})$ 의 紅花藥鍼이 白鼠의 腦血流力學變動에 미치는 影響. 대한침구학회지. 2002 ; 19(5) : 92-111. 

  41. 임동윤. 리핀코트의 그림으로 보는 약리학. 서울 : 신일상사. 2006 : 495-7. 

  42. 성호경. 생리학(6판). 서울 : 의학문학사. 1996 : 110. 

  43. Palmer PMJ, Ferrige AG, Monacada S. Nitric oxide release accounts for the biology activity of endothelium derived relaxing factor. Nature. 1990 : 327, 524-6. 

  44. Shibuki K, Okada D. Endogenous nitric oxide release required for long term synaptic depression in the cerebellum. Nature. 1991 : 326-8, 349. 

  45. 김우겸. 인체의 생리.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5 : 30-47, 107-18. 

  46. Choi DW. Glutamate neurotoxicity and disease of the nervous system. J. Neuron. 1988 ; 1 : 623-34. 

  47. Cain BS, Meldrum DR, Dinarello CA, Meng X, Joo KS, Banerjee A, Harken AH.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d interleukin-1beta synergistically depress human myocardial function. Crit Care Med. 1999 ; 27(7) : 1309-18. 

  48. Hayashi Y, Jikihara I, Yagi T, Fukumura M, Ohashi Y, Ohta Y, Takagi H, Maeda M. Immunohistochemical investigation of caspase-1 and effect of caspase-1 inhibitor in delayed neuronal death after transient cerebral ischemia. Brain Res. 2001 : 113-20, 893. 

  49. McCord JM. Mechanisms of disease ; oxygenderived free radicals in postischemic tissue injury. New Eng J Med. 1985 : 159-63, 3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