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색미 첨가가 연잎쌈밥용 밥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Cooking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of $YenipSambab$ with Pigmented Rice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9 no.2, 2012년, pp.185 - 192  

박복희 (목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전은례 (성화대학 식품영양학과) ,  김성두 (주식회사 다연) ,  조희숙 (초당대학교 조리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생리활성 효과가 우수한 유색미를 첨가하여 연잎쌈밥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먼저 3종류의 유색미(홍미, 녹미, 흑미)의 첨가량을 달리한 밥을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평가함으로서 유색미를 활용한 연잎쌈밥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유색미를 첨가한 연잎쌈밥용 밥의 pH는 유색미(홍미, 녹미, 흑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졌다. 유색미 종류별로 연잎쌈밥용밥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밥의 백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L값과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유색미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감소하였고, 황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직감을 측정한 결과로 홍미, 녹미, 흑미밥 모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 점착성, 탄력성, 씹힘성 및 깨짐성이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홍미를 첨가한 밥은 전체적인 기호도가 10% 첨가군이 $4.00{\pm}0.66$으로 가장 높았으며, 녹미의 경우도 전체적인 기호도는 10% 녹미 첨가군이 $4.30{\pm}0.82$로 높게 나타났다. 흑미를 첨가한 밥의 전체적인 기호도는 20% 첨가군이 $3.75{\pm}1.10$으로 높아 다른 색보다 더 일반화된 블랙푸드의 선호추세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본 연구에서는 유색미 밥의 pH가 일반 밥보다는 약간 높으며, 경도와 점착성 등이 높고, 유색미의 첨가량이 10%~20%일 때 식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나 본 실험결과가 쌈밥의 특성을 지닌 것으로 여겨지며, 연잎용쌈밥으로서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enipsambab prepared using various amounts of red, green, and black pigmented rice (0, 10, 20, and 30% added) were investigated. The pH of the cooked rice of yenipsambab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mounts of pigmented rice increased. The Hunter's color L value dec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생리활성 효과가 우수한 유색미를 첨가하여 연잎쌈밥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먼저 3종류의 유색미(홍미, 녹미, 흑미)의 첨가량을 달리한 밥을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평가함으로서 유색미를 활용한 연잎쌈밥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유색미를 첨가한 연잎쌈밥용 밥의 pH는 유색미(홍미, 녹미, 흑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졌다.
  • 식품의 조직감(texture)은 식품의 맛을 결정하는데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색미의 생리활성 효과를 연잎쌈밥에 활용하고자 홍미, 녹미 및 흑미를 첨가한 밥의 조직감을 측정하였다. 조직감에서 경도와 점착성은 밥의 질감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는 인자이며(2), 특히 경도는 첨가되는 재료에 따라 달라지는데, 경도의 높고 낮음은 수분의 함유량과 관련이 있다 (34).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리활성 효과가 우수한 유색미를 첨가한 연잎쌈밥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먼저 3종류의 유색미(홍미, 녹미, 흑미)의 첨가량을 달리한 연잎쌈밥용 밥을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평가함으로서 유색미의 이용 분야 확대 및 연잎쌈밥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의 주식인 쌀에는 어떤 생리활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가? 우리의 주식인 쌀에는 tocopherol, tocotrienol, γ-oryzanol 등의 항산화성분을 비롯하여 phytic acid, 식이섬유, γ-aminobutyric acid 등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2,3). 쌀은 과거로부터 우리나라의 중요한 식량자원으로 경작지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왔으며 생산량에 큰 관심과 노력을 집중하여 왔다.
특수미 중에서 유색미가 갖고 있는 천연색소의 종류는? 과피의 색이 적갈색에서부터 흑자색에 이르는 다양한 품종의 유색미들은 일반미 품종들에 비해서 미강층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며(5), 이들이 가지는 항산화 성분으로서 cyanidine 3-O-β-D-gluciside 및 peonidine 3-O-β-D-gluciside 등이 보고되어 있다(6-8). 유색미는 안토시아닌과 탄닌이라는 천연색소를 가지고 있는데, 안토시아닌계 색소는 항산화 기능과 발암억제, DNA 손상 억제 기능 등 기능성이 높아 식품학적으로 가치가 높다고 보고 되어져 있고, 탄닌계 색소는 유해 중금속의 제거 및 변이원 물질 생성을 억제 시킨다는 보고가 있다(9-10). 유색미의 색소는 혈관의 노화를 방지하고 자외선 차단 효과가 있는 색소로 유색미를 활용하여 혈압강하 의약품 연구, 자외선 차단 화장품 소재 연구, 유색 적주 등의 식품개발 연구 등이 보고 되어 있다(11).
유색미는 백미에 비하여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점은? 유색미의 색소는 혈관의 노화를 방지하고 자외선 차단 효과가 있는 색소로 유색미를 활용하여 혈압강하 의약품 연구, 자외선 차단 화장품 소재 연구, 유색 적주 등의 식품개발 연구 등이 보고 되어 있다(11). 유색미는 일반미(백미)와는 달리 현미 상태로 도정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백미에 비하여 식이섬유, 비타민, 무기질 등의 영양소 함량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졌다(4). 이처럼 유색미는 색소성분이나 쌀겨로부터 유래한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기능성 식품으로 가공, 개발할 가치가 높은 식품소재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Kim JH, Nam SH, Kim MH, Sohn JK, Kang MY (2007) Cooking properties of rice with pigmented rice bran extract. Korean J Crop Sci, 52, 60-68 

  2. Kim SR, Ahn JY, Lee HY, Ha TY (2004) Various properties and phenolic acid contents of rices and rice brans with different milling fractions. Koran J Food Sci Techno, 36, 930-936 

  3. Nam SH, Cho SP, Kang MY, Koh HJ, Kozukue N, Friedman (2006) Antioxidant activities of bran extracts from twenty one pigmented rice cultivars. Food Chem, 94, 613-620 

  4. Park MK, Lee JM, Park CH (2002) Comparison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igmented rice Cholpyon with those of brown and white rice. Korean J Food Cookery Sci, 18, 471-475 

  5. Ramarathnam N, Osawa T, Namiki M, Kawakishi S (1988) Chemical studies on novel rice hull antioxidants I. Isolation, fractionation, and partial characterization. J Agric Food Chem, 36, 723-727 

  6. Choi SW, Kang WW, Osawa T (1994)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hocyanin pigments in black rice. Foods Biotechnol, 3, 131-135 

  7. Tsuda T, Watanabe M, Ohshima K, Norinobu S, Kawakishi S, Cho SW, Osawa T (1994)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antocyanin pigments cynidin 3-O- $\beta$ -D-glucoside and cyanidine. J Agric Food Chem, 42, 2407-2411 

  8. Cho MH, Yoon HH, Hahn TR (1996) Thermal stability of the major color component, cyanidin 3-glucoside, from a Korean pigmented rice variety in aqueous solution. Korean Agric Chem Biotechnol, 39, 248-248 

  9. Kim YD, Ha KY, Lee KB, Shin HT, Cho SY (1998) Varietal variation of anthocyanin content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colored rice. Korean J Breed, 30, 305-308 

  10. Tsuda T, Horio F, Osawa T (1998) Dietary cyanidine-3-O- $\beta$ -D-glucoside increases exvivo oxidation resistance of serum in rats. Lipids, 33, 583 

  11. Ha TY, Park SH, Lee CH, Lee SH (1999) Rice research group, korean food research institute, chemical composition of pigmented rice varietic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336-338 

  12. Kim EO, Oh JH, Lee KT, Im JG, Kim SS, Suh HS, Choi SW (2008)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colored rice cultivars. Korean J Food Preserv, 15, 118-124 

  13. Kang MY, Nam YJ, Nam SH (2005) Screening of antioxidation-related functional components in brans of the pigmented rices. J Korean Soc Appl Chem, 48, 233-239 

  14. Choi SW, Nam SH, Choi HC (1996)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of rice brans. Foods Biotechnol, 5, 305-309 

  15. Kang MY, Choi YH, Nam SH (1996) Inhibitary mechanism of colored rice bran extract against mutagenicity induced by chemical mutagen mitomycin c. Agric Chem Biotechnol, 39, 424-429 

  16. Nam SH, Kang MY (1997) In vitro inhibitory effect of clolred rice bran extracts carcinogenecity. Agric Chem Biotechnol, 40, 307-312 

  17. Kim MS, Hahn TR, Yoon HH (1999) Saccharifica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ikhe made of pigmented rice. Koran J Food Sci Technol, 31, 672-677 

  18. Lee YS, Jung HO, Rhee CO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kwa prepared with pigmented ric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529-533 

  19. Kim KS, Lee JK (1999) Effects of addition ratio ofpigmented ric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olgiddeok. Korean J Soc Food Sci, 15, 507-513 

  20. Lee WJ, Jung JK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reparation of noodles from brown rice flour and colored rice flour. Korean J Culinary Research, 8, 267-278 

  21. Shin EH, Lee JK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on the addition ratio of pigmented rice and fermentation method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 380-386 

  22. Kim JD, Lee JC, Hsih FH, Eun JB (2001) Rice cake production using black rice and medium grain brown rice. Food Sci Biotechnol, 10, 315-318 

  23. Moon BK, Kim YL, Kim GN, Choi Y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epared with pigmented ric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4, 29-37 

  24. Borsch T, Barthott W, Shim MS, Choi SW, Bae SJ (2001) Effects of Punica granatum L. fractions on quinone reductase induction and growth inhibition on several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80-85 

  25. Kang HI, Kim JY, Moon KD, Seo KI, Cho YS, Lee SD, Yee ST (2004) Effect of the crude polysaccharide of Pleurotus eryngii on the activation of immune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092-1097 

  26. Jung HA, Kim JE, Chung HY, Choi JS (2003) Antioxidant principles of Nelumbo nucifera starmens. Arch Pharm Res, 26, 279-285 

  27. Lee KS, Kim MG, Lee KY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lotus(Nelumbo nucifera) lea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82-185. 

  28. Lee YS, Oh SH, Lee JW, Kim JH, Rhee CO, Lee HK, Byun MW (2004)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quality of cooked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582-586. 

  29. Roh JH, Shin YS, Lee KS, Shin MK (1996) Effect of water extract of green tea on the quality and shelf life of cooked rice. Koran J Food Sci Technol, 28, 147-420 

  30. Cho HS (2010) Rheological properties of dried noodles with added Enteromorpha intenstinalis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567-574 

  31. Yoo KM, Lee YK, Kim SH, Hwang IK, Lee BY, Kim SS, Hong HD, Kim YC (2005)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according to different coating ratios of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extract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1, 117-123 

  32. Kim AJ, Rho JO, Woo KJ, Choi WS (2003)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according to the different coating ratios of mulberry leaves extract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571-580 

  33. Kang MY, Shin SY, Nam SH (2003) Correlation of antioxidant and antimutagenic activity with content of pigments and phenolic compounds of colored rice seeds. Koran J Food Sci Technol, 35, 672-677 

  34. Kim KH, Cho HS (2009) Assessment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s prepared with shrimp powder as a snack served to kindergartener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401-408 

  35. Reddy KR, Ali SZ, Bhartacharya KR (1993) The fine structure of rice starch amylopectin and its relation to the texture of cooked rice. Carbohydrate polymers, 22, 267-275 

  36. Kim JH, Oh SH, Lee JW, Lee CY, Byun MW (2004) Effect of glucono delta-lactone on the quality of cooked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698-1702 

  37. Kim KH, Park BH, Cho HS, Kim SR, Cho H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hrimp flour added dumpling shell. Koreaa J Food Culture, 24, 206-211 

  38. Martin M, Fitzgerald MA (2002) Proteins in rice grains influence cooking properties. J Cereal Sci, 36, 285-294 

  39. Teo CH, Karim AA, Cheath PB, Norziah MH, Seow CC (2000) On the roles of protein and starch in the aging of non-waxy rice flour. Food Chem., 69, 229-236 

  40. Cho YY, Cho KH (2005) Yak-sun eating with five colors, Kyomoonsa, Seoul, p. 3-36 

  41. Kim EM, Yang HJ, Kim YH, Chang KS (2008)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with added eating quality conditioner. Food Engineering Pro, 12, 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