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천일염으로 제조한 된장의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Doenjang$, Prepared with Various Solar Salts, on Cancer Cell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9 no.2, 2012년, pp.278 - 286  

윤해훈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김치연구센터) ,  김인철 (목포대학교 식품공학과) ,  장해춘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김치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용 소금에 따른 된장의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4종의 천일염(1년 숙성 천일염, 4년 숙성 천일염, 토판염, 육염)을 사용하여 된장을 제조하였다. 대조구로는 정제염을 사용한 된장을 제조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된장의 모든 제조 조건(원료, 제조방법, 발효 미생물, 발효조건 등)을 동일하게 하여주고 소금의 종류만을 달리하여 발효된 된장이 인체 위암세포(AGS)와 대장암세포(HT-29)의 성장 억제효과와 인간 정상세포(BJ)에 미치는 세포 독성을 조사하였다. 숙성된 된장을 물과 메탄올을 이용해 추출하여 사용 소금에 따른 된장의 암세포 성장억제효과를 MTT assay를 사용해 살펴보았다. 소금의 종류를 달리한 된장의 물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은 AGS 위암세포, HT-29 결장암세포 대해서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세포생육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AGS의 경우 4년 숙성 천일염 된장의 물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이 최대 처리 농도인 1.000 mg/mL에서 53%, 55%의 억제율을 나타내어 다른 종류의 소금에 비해 암세포 생육 억제효과가 매우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토판염, 육염, 1년 숙성 천일염, 정제염순으로 암세포 생육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HT-29의 경우 AGS에 대한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보다는 다소 낮지만 물 추출물의 최대 처리 농도 시 4년 숙성 천일염이 44%의 억제율을 보여 가장 높았으며 나머지 4종의 소금으로 제조한 된장들은 30~40% 정도의 억제 효과가 관찰되었다. 또한 메탄올 추출물에서도 위와 비슷한 경향을 보임을 확인하였으며 소금의 종류를 달리한 된장의 물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은 모두 정상세포 BJ에 대해 세포독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았으며 오히려 세포 성장효과를 보였다. 모든 추출물에서 우수한 암세포 생육 억제현상을 나타낸 4년 숙성 천일염 된장의 메탄올 추출물을 AGS, HT-29, BJ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정상세포 BJ에 대해서는 처리 전후로 큰 차이가 관찰되지는 않았으나 세포 밀도의 감소와 함께 일부 세포 수축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은 천일염 된장이 암세포 생육억제에 좋으며 그 중에서도 4년 숙성 천일염 된장이 가장 뛰어난 항암효과를 지님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rowth inhibition effect of $Doenjang$ that was prepared with various kinds of solar salt was investigated. $Doenjang$ was prepared using the bacterial koji and five kind of salt with 12% salt concentration (w/w): purified salt $Doenjang$, one-year aged solar s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전보에서 세균형 코지를 이용하여 된장의 제조기간을 단축시키고 고유한 재래된장 맛과 향을 재현할 수 있는 된장 제조방법을 개발하여 보고한 바 있다(26,27). 본 연구에서는 세균형 코지를 사용하여 원료, 제조방법, 발효 미생물, 발효 조건 등의 모든 된장 제조 조건을 동일하게 하여 된장을 제조하며 이때 사용되는 소금의 종류(정제염, 1년 숙성 천일염, 4년 숙성 천일염, 토판염, 육염)만을 각각 달리하여 발효된 된장이 인체 위암세포(AGS) 및 결장암세포(HT-29)의 성장 억제효과 및 인간 정상세포(BJ)에 미치는 세포독성을 조사함으로써 사용 소금에 따른 발효 된장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in vitro)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 전술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천일염이 생산되고 있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다양한 천일염이 된장의 기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보에서 세균형 코지를 이용하여 된장의 제조기간을 단축시키고 고유한 재래된장 맛과 향을 재현할 수 있는 된장 제조방법을 개발하여 보고한 바 있다(26,2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제염 된장이 천일염 된장보다 높은 염도를 보인 원인은? 소금의 첨가 농도를 12% (w/w)가 되도록 제조한 된장의 18개월 숙성 후 염도를 측정한 결과 전체적으로 제조 시보다 염도가 증가하였으며 정제염 된장이 천일염 된장보다 높은 염도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된장의 수분함량 변화와 유관한 결과로서 숙성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수분이 빠져나감으로써 상대적으로 염도가 증가한 것으로 보여진다. 5종의 소금으로 제조된 된장의 조단백질 함량은 5종의 된장에서 30~31% 범위로 검출되었으며,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천일염으로 제조한 된장(2,474.
정제염이란?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식탁용 소금은 여러 종류가 있는데 KS 규격에 따라 천일염과 정제염으로 나누어지고 정제염은 기계염과 가공염으로 분류되고 있다(1). 정제염이란 해수(해양심층수 포함)를 이온교환막 등의 방법으로 정제한 농축함수 또는 원료소금(100%)을 용해한 물을 진공증발관 등에 넣어 제조한 소금을 말하며, 천일염은 염전에서 해수를 자연 증발시켜 얻은 염화나트륨이 주성분인 결정체와 이를 분쇄, 세척, 탈수 또는 건조한 염을 말한다(2). 천일염은 생산하는 방식에 따라 장판염과 토판염으로 구별할 수 있으며, 이는 천일염을 생산하는 결정지의 바닥 재질 차이로서 현재 생산되는 천일염 대부분을 차지하는 장판염은 갯벌 바닥에 PVC 장판을 깔아 채렴하는 방식이며, 토판염은 갯벌 흙 판에서 바로 채렴하는 전통 방식으로 생산한다(3).
식탁용 소금은 KS 규격에 따라 무엇으로 구분되는가?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식탁용 소금은 여러 종류가 있는데 KS 규격에 따라 천일염과 정제염으로 나누어지고 정제염은 기계염과 가공염으로 분류되고 있다(1). 정제염이란 해수(해양심층수 포함)를 이온교환막 등의 방법으로 정제한 농축함수 또는 원료소금(100%)을 용해한 물을 진공증발관 등에 넣어 제조한 소금을 말하며, 천일염은 염전에서 해수를 자연 증발시켜 얻은 염화나트륨이 주성분인 결정체와 이를 분쇄, 세척, 탈수 또는 건조한 염을 말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Ha JO, Park KY (1998) Comparison of mineral contents and external structure of various sal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413-418 

  2. KFDA (2011) Food code. Korean Food &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3. Joo MB, Kang JH, Chang HS, Lee HD (2009) Strategy study for high-valued food industrialization of solar salt. Korea Maritime Institute, p 25-27 

  4. Kim HR, Kim MR (2010) Effects of traditional sal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growth of microorganisms from kimchi. Korean J Food Culture, 25, 61-69 

  5. Bae DH (2009) Hazardous contaminants in commercial salts. Safe Food, 4, 14-24 

  6. Ha JO (1997)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and low sodium kimchi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alts. Thesis, Pusan University, Pusan, Korea 

  7. Park KY (1995) The nutritional evaluation, and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4, 169-182 

  8. Jeon HY (2009) New growth engines: Strategy for high value-added food industry. Food Sci Industry, 42, 3-11 

  9. Ha JO, Park KY (1999) Comparison of autooxidation rate and comutagenic effect of different kinds of salt. J Korean Assoc Cancer Prevention, 4, 44-51 

  10. Jung KO, Lee KY, Rhee SK, Park KY (2002) Effect of various kinds of salt on the tumor formation, NK cell activity and lipid peroxidation in sarcoma-180 cell transplanted mice. J Korean Assoc Cancer Prevention, 7, 134-142 

  11. Tobian L (1979) The relationship of salt to hypertension. Am J Clin Nutr, 32, 2739-2748 

  12. Takahashi M, Kokubo T, Furukawa F, Kurokawa Y, Tatematsu M, Hayashi Y (1983) Effect of high salt diet on rat gastric carcinogenesis induced by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Gann, 74, 28-34 

  13. Hyun KW, Lee JS, Ham JH, Choi SY (2005)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microorganism with potent fibrinolytic activity from Korean traditional Deonjang.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3, 24-28 

  14. Kim DH, Song HP, Kim KY, Kim JO, Byun MW (2004) A correlation between fibrinolytic activity and microflora in Korean fermented soybean produ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41-46 

  15. Sohn HS, Lee YS, Shin HC, Chung HK (2000) Recent research for physiological mechanism of soybean in preventing and treating chronic diseases. Korean Soybean Digest, 17, 37-60 

  16. Kim SY, Rhee CH, Park HD (2001)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bacterium from Korean soy paste Doenjang producing inhibition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84-88 

  17. Kim SH, Lee YJ, Kwon DY (1999) Isolation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from Doen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848-854 

  18. Kim MH, Im SS, Kim SH, Kim GE, Lee JH (1994) Antioxidative materials in domestic Meju and Doenjang2. Separation of lipophilic brown pigment and their antioxdative activity. J Korean Soc Food Nutr, 23, 251-260 

  19. Lee JH, Kim MH, Im SS, Kim SH, Kim GE (1994) Antioxidative materials in domestic Meju and Doenjang3. Separation of hydrophilic brown pigment and their antioxdative activity. J Korean Soc Food Nutr, 23, 604-613 

  20. Lee JS, Cheigh HS (1997)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isolated crude phenolics from soybean fermented foods (Doenjang). J Korean Soc Food Nutr, 26, 376-382 

  21. Choi SY, Cheigh MJ, Lee JJ, Kim HJ, Hong SS, Chumg KS, Lee BK (1999) Growth suppression effect of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aste (Doenjang) on the various tumor cells. J Korean Soc Food Nutr, 28, 458-463 

  22. Yoon KD, Kwon DJ, Hong SS, Kim SI, Chung KS (1996) Inhibitory effect of soybean and fermented soybean products on the chemically induced mutagenesis.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4, 525-528 

  23. Chung KS, Yoon JD, Kwon DJ, Hong SS, Choi SY (1997) Cytotoxicity testing of fermented soybean products with various tumour cells using MTT assay.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5, 477-482 

  24. Lee SM, Chang HC (2009) Growth-inhibitory effecct of the solar salt doenjang on cancer cells, AGS and HT-29.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664-1671 

  25. Hwang KM, Jung KO, Song CK, Park KY (2008) Increased antimutagenic and anticlastogenic effects of Doenjang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 prepared with bamboo salt. J Med Food, 11, 717-722 

  26. Chang M (2009) Method for preparing reduced off-flavor Doenjang (Soybean paste) composed of 100% soybean using Bacillus subtilis DJ1. Republic of Korea Patent No10-0661707 

  27. Chang M, Chang HC (2007) Characteristics of bacterial-koji and Doenjang (Soybean paste) made by using Bacillus subtilis DJ1.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5, 325-333 

  28.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9. KFDA (2004) Korean food standards codex.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30. Skehan P, Storeng R, Scudiero D, Monks A, McMahon J, Vistica D, Warren JT, Bokesch H, Kenney S, Boyd MR (1990) New colorimetric cytotoxicity assay for anticancer drug screening. J Natl Cancer Inst, 82, 1107-1112 

  31. Park JW, Kim SJ, Kim SH, Kim BH, Kang SG, Nam SH, Jung ST (2000) Determination of mineral and heavy metal contents of various sal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442-1445 

  32. Chang M, Kim IC, Chang HC (2010) Effect of solar sal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16-124 

  33. Lim SY, Lee SH, Park KY (2008) Effect of solvent fractions from methanol extract of doenjang on inhibition of growth and DNA synthesis of human cancer cells. J of Life Sci, 15, 685-691 

  34. Lee DH, Kim JH, Yoon BH, Lee GS, Choi SY, Lee JS (2003) Changes of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during the fermentation of medicinal herbs Doenjang. Korean J Food Preserv, 10, 213-218 

  35. Jung KO, Park SY, Park KY (2006) Longer aging time increase the anticancer and antimetastatic properties of Doenjang. Nutrition, 22, 539-545 

  36. Yoon KH, Shin HY (2010) Medium optimization for the protease production by Bacillus licheniformis isolated from cheongkookjang.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8, 385-390 

  37. Kim JY (2007)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lkaline protease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JK-1.Korean J of Microbiol, 43, 331-336 

  38. Hwang JY, Choi SH, Lee SK, Kim SM (2009) Optimal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salt-tolerant protease from Aspergillus sp. 101 and its characteristic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612-1617 

  39. Abdel-Fattah YR, El-Enshasy HA, Soliman NA, El-Gendi H (2009) Bioprocess development for production of alkaline protease by Bacillus pseudofirmus Mn6 through statistical experimental designs. J Microbiol Biotechnol, 19, 378-386 

  40. Jin YG, Li HL, Ma MH, Wang J, Kim HN, Oh DH (2011)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extracellular protease from Bacillus pumilus CN8. J Food Hyg Safety, 26, 76-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