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情報保護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22 no.2, 2012년, pp.357 - 365
이재식 (숭실대학교) , 김형주 (숭실대학교) , 유한나 (숭실대학교) , 박태성 (숭실대학교) , 전문석 (숭실대학교)
NFC(Near Field Communication),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protocol, is a technology with a wide range of application applied to smart phones. In particular, many of the services in NFC environments utilize users' privacy information. Privacy information used in such services leads to new vuln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NFC 서비스 개인정보 흐름을 분석하는 단계에서는 무엇을 분석하는가? | 의 개인정보 흐름분석 단계를 수정하여 도입한 NFC 서비스 개인정보 흐름 분석 단계는 [그림 3]과 같다. 첫 번째로 개인정보 생명주기에 따른 NFC 서비스 구조를 분석 한다. 이를 위하여 NFC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 주체를 분석하고, 서비스 흐름을 분석한다. 두 번째로 개인정보의 취급현황을 분석한다. NFC 서비스별 개인정보대책이 있는지 조사하고, 각 서비스 주체별 취급하는 개인정보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개인정보 흐름 분석을 위하여, 개인정보 생명주기에 따른 개인정보 업무별 흐름을 분석하여 NFC 서비스에서 개인정보의 흐름을 분석할 수 있다. | |
NFC는 어떤 기술인가? |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13.56-Mhz RF(Radio Frequency) 주파수 영역에서 약 10cm 이하의 짧은 거리로 동작하는 비접촉식 근거리통신을 위한 기술이다[1]. NFC 기술은 호환성 및 범용성을 위하여 다양한 국제표준 기술을 지원하고 있어[2], 그 활용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 |
NFC 기술적 취약점에는 무엇이 있는가? | 56Mhz RF 주파수 영역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기존의 RFID 환경에서 일어날 수 있는 기술적 취약점과 비슷한 유형의 위협이 발생한다. NFC 기술적 취약점은 도청(Eavesdropping), 데이터 변조(Corruption)·수정(Modification)·삽입(Insertion), 중간자 공격(Man-in-the-Middle-Attack) 등이 있다[5]. 또한 NFC는 NDEF(NFC Data Exchange Format) 메시지 교환 포맷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고, 교환되는 데이터는 RTD(Record Type Definition) 형태로 이루어진다. |
ISO/IEC, "ISO/IEC 18092, Information technology -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 - Near Field Communication - Interface and Protocol (NFCIP-1)", 2004.
ISO/IEC, "ISO/IEC 21481, Information technology -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 - Near Field Communication - Interface and Protocol-2 (NFCIP-2)", 2005.
법제처, 개인정보보호법, 2011.
행정안전부, 한국인터넷진흥원, 공공기관 개인정보 영향평가 수행 안내서(개정판), 2011.
Ernst Haselsteiner, Klemens Breitfuß, "Security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Workshop on RFID Security RFIDsec, 2006.
Michael Roland, Josef Langer, Josef Scharinger, "Security Vulnerabilities of the NDEF Signature Record Type", Workshop on Near Field Communication, 2011.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NFC 개인정보보호 대책 연구, 한국인터넷진흥원, 2012.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