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선진국 환경시료은행의 특성 분석을 통한 국가환경시료은행의 발전방안
Overview of the Leading Environmental Specimen Banks in the World and Future Challenges of the National Environmental Specimen Bank in Ko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5 no.2, 2012년, pp.169 - 180  

이종천 (국립환경과학원 국가환경시료은행) ,  김명진 (국립환경과학원 국가환경시료은행)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환경시료은행은 환경질(environmental quality)의 시공간적 변화를 모니터링 하는 역할 뿐 아니라 시료 자체를 장기 보존함으로써 후세에 과거의 환경을 직접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서 다양한 생태계의 환경을 대표할 수 있는 선정된 시료를 엄격하게 규정된 채취방법에 따라 채취하여 성분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초저온상태에서 장기간 보관함으로써 미래 시점에서 회고적 분석(retrospective analysis)을 수행할 수 있는 시설이 요구된다. 선진국에서는 이미 30여 년 전부터 환경정책의 실효성을 입증하거나 시대별 환경배경농도의 변화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다양한 환경시료를 저장해 오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2009년 자동화된 초저온 저장시설을 갖춘 국가환경시료은행이 국립환경과학원의 연구진에 의해 설립되었다. 이를 계기로 선진국의 시료은행 운영 경험을 발전시켜 단시간 내에 정상궤도에 안착시키려는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아울러 그간 선진국의 운영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작성된 표준운영절차(SOP)에 따라 시험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함으로 환경을 대표하는 시료의 저장 및 분석이라는 기본적인 기능에 충실한 수행체계를 갖추어 나가고 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환경시료은행의 기능을 적극 응용하여 독자적 부가기능을 부여하는 청사진이 제시되고 이에 대한 실행방안도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를 계기로 국가환경시료은행이 명실공히 국제적인 환경기구로 인정받는 도약의 발판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SBs (Environmental Specimen Banks) have monitoring functions for the contemporary environmental qualities and also offer the future generation tangible information on the past environment by preserving the specimens. This entails the sampling of the representative specimen for each distinctiv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아직 우리나라 환경관련 연구분야에서 생소한 환경시료은행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과거 선진국에서 태동된 환경시료은행의 발전과정을 고찰하였다. 이어서 기능 및 시료선정 관점에서 타 환경저장시설과 구별되는 조건에 대해 관련 자료를 바탕으로 논의 하고, 이와 더불어 오랜 기간의 운영을 통해 검증된 선진국의 환경시료은행에 대한 기능과 역할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최근 국립환경과학원 내에 최근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는 국가환경시료은행의 미래 비전을 제시하였다.
  • 2011년부터는 소나무 가지, 느티나무 잎을 추가하여 총 7종의 지침을 활용해 시료를 체계적으로 채취, 분쇄, 저장하여 연도별 회고분석을 위한 기틀을 마련하고자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이어서 2010년부터는 소나무 가지 및 느티나무 잎을 포함 총 7종의 지침이 작성되어 저장시료에 대한 연도별 회고분석을 위한 기틀을 마련하고자 연구가 진행 중이다.
  • 그 중에서 우리나라의 환경시료은행이 운영 목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향후 예산과 인력지원이 현실화 될 때 추진 가능한 추가 연구분야에 대한 미래의 청사진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최근에는 2010년 8월 미 멕시코만에서 발생한 석유시추선 Deepwater Horizon의 폭발사고 당시 주변 해류의 영향권 내에 있는 연안에서 홍합시료를 채취하여 환경시료은행에 저장하였는데, 미국 해양오염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기존Mussel Watch프로그램에서 확보된 이 지역의 배경농도와 비교하여 오염확산 범위를 판단하고 향후 환경영향 모니터링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시료은행에 요구되는 시설은? 환경시료은행은 환경질(environmental quality)의 시공간적 변화를 모니터링 하는 역할 뿐 아니라 시료 자체를 장기 보존함으로써 후세에 과거의 환경을 직접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서 다양한 생태계의 환경을 대표할 수 있는 선정된 시료를 엄격하게 규정된 채취방법에 따라 채취하여 성분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초저온상태에서 장기간 보관함으로써 미래 시점에서 회고적 분석(retrospective analysis)을 수행할 수 있는 시설이 요구된다. 선진국에서는 이미 30여 년 전부터 환경정책의 실효성을 입증하거나 시대별 환경배경농도의 변화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다양한 환경시료를 저장해 오고 있다.
환경시료은행에서 채취된 환경시료는 어떻게 보관되는가? 시료의 선정, 채취 및 보관에 관한 일련의 과정은 표준운영절차(Standard Operation Procedure, SOP)에 의해 규정되고 철저히 준수된다. 채취된 환경시료는 장시간 보존이 가능하게끔 상시 액체질소(Liquid Nitrogen, 이하 LN)가 공급되어 영하 150℃ 이하의 온도가 유지되는 저장고(LN Freezer)나 액체질소 보조 시스템이 장착된 전기냉동고(electric freezer)에 보관된다. 이러한 초저온 상태에서는 화학성분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환경시료은행의 역할은? 환경시료은행은 환경질(environmental quality)의 시공간적 변화를 모니터링 하는 역할 뿐 아니라 시료 자체를 장기 보존함으로써 후세에 과거의 환경을 직접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서 다양한 생태계의 환경을 대표할 수 있는 선정된 시료를 엄격하게 규정된 채취방법에 따라 채취하여 성분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초저온상태에서 장기간 보관함으로써 미래 시점에서 회고적 분석(retrospective analysis)을 수행할 수 있는 시설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ecker, P.R., Gunter, E.W., Schluter, C., Shibata, Y. and Wise, S.A. (2006) Environmental specimen banking. Journal of Environmental Monitoring, v.8, p.776-778. 

  2. Becker, P.R. and Wise, S.A. (2010) Thirty Years of Progress in Environmental Specimen Banking. Interdisciplinary Studies on Environmental Chemistry-Environmental Specimen Bank. T. Isobe, K. Nomiyama, A. Subramanian and S. Tanabe, Eds. TERRAPUB, v.4, p.7-14. 

  3. Berlin, A., Wolff, A. and Hasegawa, Y. (1977)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Health Safety Directorate,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Use of biological specimens for the assessment of human exposure to environmental pollutant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Workshop at Luxembourg, 18-22 April 1977. International Workshop on the Use of biological specimens for the assessment of human exposure to environmental pollutants, Luxembourg, M. Nijhoff for the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4. Bignert, A., Olsson, M., Wit, C., Litzen, K., Rappe, C. and Reutergardh, L. (1994) Biological variation - an important factor to consider in ecotoxicological studies based on environmental samples. Fresenius' Journal of Analytical Chemistry, v.348(1), p.76-85. 

  5. de Wit, C.A. (2002) An overview of brominated flame retardants in the environment. Chemosphere, v.46(5), p.583-624. 

  6. German Federal Environment Agency (2008) German Environmental Specimen Bank-Concept. Berin: 27. 

  7. German Federal Ministry for the Environment, N. C. a. N. s. (2003) The German Environmental Specimen Bank. K. Lehnigk and U. Hommen. 

  8. ISBER (2008) Collection, Storage, Retrieval and Distribution of Biological Materials for Research. Cell Preservation Technology, v.6(1), p.3-58. 

  9. Kim, M., et al. (2010) Application of SOPs(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in National Environmental Specimen Bank(1) NIER No. 2010-88-1263. 

  10. Kim, M., Kim, J., Cho Y. and Yoo B. (2009) Environmental Specimen Bank and Ecosystem Assessment. J.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18, p.429-434. 

  11. Klein, R. (1993) The animal specimens of terrestrial and limnetic ecosystems in the environmental specimen banking program of Germany.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140, p.203-212. 

  12. Koizumi, A., Harada, K., Inoue, K., Hitomi, T., Yang, H.- R., Moon, C.-S., Wang, P., Hung, N., Watanabe, T., Shimbo, S. and Ikeda, M. (2009) Past, present, and future of environmental specimen banks. Environmental Health and Preventive Medicine, v.14(6), p.307-318. 

  13. NIES. Time Capsule Program for Environmental Specimens. http://www.nies.go.jp/timecaps1/indexE.htm, last updated 2010.11.11. 

  14. Odsjo, T. (2006) The environmental specimen bank, Swedish Museum of Natural History - A base for contaminant monitoring and environmental research. Journal of Environmental Monitoring, v.8(8), p.791-794. 

  15. Olsson, M. and Bignert, A. (1997) Specimen banking - A planning in advance. Chemosphere, v.34(9-10), p.1961-1974. 

  16. Paulus, M., Quack, M. and Teubner, D. (2010) Climate Impact Research-Contributions and options of the German ESB. Interdisciplinary Studies on Environmental Chemistry-Environmental Specimen Bank. T. Isobe, K. Nomiyama, A. Subramanian and S. Tanabe, Eds. TERRAPUB p.95-101. 

  17. Rossbach, M., Giernich, G. and Emons, H. (2001) Representative sampling and sample preparation in biological environmental monitoring using spruce shoots. Journal of Environmental Monitoring, v.3(3), p.330-334. 

  18. Stoeppler, M., Backhaus, F., Schladot, J. D. and Commerscheidt, N. (1987) Environmental Specimen Bank Specific Reference Materials - Main Aims and Preparation. Fresenius Zeitschrift Fur Analytische Chemie, v.326(7), p.707-711. 

  19. Tanabe, S. (2006) Environmental Specimen Bank in Ehime University (es-BANK), Japan for global monitoring. Journal of Environmental Monitoring, v.8(8), p.782-790. 

  20. von Storch, H., Costa-Cabral, M., Hagner, C., Feser, F., Pacyna, J., Pacyna, E. and Kolb, S. (2003) Four decades of gasoline lead emissions and control policies in Europe: a retrospective assessment.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311(1-3), p.151-176. 

  21. Wise, S., Poster, D., Kucklick, J., Keller, J., VanderPol, S., Sander, L. and Schantz, M. (2006) Standard reference materials (SRMs) for determination of organic contaminants in environmental samples. Analytical and Bioanalytical Chemistry, v.386(4), p.1153-119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