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지역의 토지피복유형이 지표면온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 일산 신도시를 중심으로
Effect of the Urban Land Cover Types on the Surface Temperature: Case Study of Ilsan New City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28 no.2, 2012년, pp.203 - 214  

김현옥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정보연구센터) ,  염종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정보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콘크리트와 아스팔트가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도시의 물리적인 환경은 도시열섬효과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며, 일차적으로 토지이용 또는 토양피복에 따른 지표면온도의 상승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토지피복유형이 지표면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공간해상도가 다른 MODIS, Landsat ETM+과 RapidEye 위성영상을 사용하여 비교 분석해 보았다. 연구대상지인 일산 신도시지역의 지표면온도는 토지 이용에 따라 뚜렷이 구분되는 패턴을 보여주었는데 건폐율이 높은 저층단독주택지구보다 건폐율이 낮고 녹지율이 높은 고층 아파트단지의 지표면온도가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토지피복유형과의 관계는 건물이나 도로 등 도시화지역의 면적이 증가할수록 기후존의 지표면온도가 증가하고, 식생과 수면, 그림자 지역의 면적이 늘어날수록 지표면온도는 떨어진다. NDVI와 지표면온도 사이에도 음의 선형상관관계가 나타나지만, 계절적 영향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hysical environment of urban areas covered mostly by concrete and asphalt is the main cause of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primarily becoming apparent through increased land surface temperatu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different urban land cover types on the land surface temperatu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MODIS LST에 의한 5월 14일과 9월 22일 일산지역 일대의 지표면 온도를 비교하였다. 공간해상도가 1 km 로 낮아서 연구지역 내의 토지이용이나 도시구조에 따른 정확한 지표면온도를 파악할 수는 없기 때문에 일산 신도시 지구를 포함하는 인근 지역에 대하여 대략적인 온도 분포 경향을 보고자 하였다. 비교 결과, 두 시점의 지표면온도는 유사한 공간 패턴을 띤다고 볼 수 있다.
  • 일산지역을 촬영한 2011년 Landsat ETM+ 영상 중 SLC-off(Scan Line Corrector Failure) 문제로 연구대상지역을 한꺼번에 커버하는 영상은 5월 14일 촬영된 것뿐이고, 사용 가능한 RapidEye 영상은 9월 22일 촬영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구대상지의 정확한 지표면온도 산출에 관심을 두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높고 낮은 도시 지표면온도의 패턴이 5월과 9월에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는 전제 하에 고해상도 RapidEye 영상을 활용하여 분류한 토지피복유형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봄과 가을의 기온이 유사한 우리나라의 기후 특성을 고려할 때 5월과 9월의 도시지표면온도가 유사한 경향일 것이라고 추측되지만, 실제 두 시점의 도시지표면온도 공간패턴이 유사하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매일 촬영이 가능한 MODIS 위성의 LST 최종산출물 자료를 비교하였다.
  • Voogt and Oke(2003)는 도시열섬 연구의 최근 동향을 도시의 공간구조와 열패턴 및 지표면 특성과의 관계 연구, 대기 열섬과 지표면 열섬과의 관계 연구, 도시 지표면에서의 일어나는 열에너지 기작과 도시대기모델의 연계 연구의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지표면온도와 토지피복과의 관계 규명을 중심으로 도시지표면열섬현상을 다루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공간해상도와 분광특성이 다른 MODIS, Landsat ETM+와 RapidEye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도시열섬현상의 주요 원인이 되는 지표면온도가 토지이용이나 토지피복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MODIS LST 자료를 이용하여 5월과 9월의 일산 신도시 일대 지표면온도 패턴이 전체적으로 유사하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Landsat ETM+의 열밴드를 이용하여 지표면온도를 산출하고, RapidEye 영상과 비교함으로써 도시공간구조 및 토지피복특성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의 토지피복유형이 지표면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열밴드를 가지고 있는 Landsat ETM+와 공간해상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RapidEye 위성영상을 비교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활용할 수 있는 Landsat ETM+와 RapidEye 위성영상은 촬영시점이 다르다(Table 1).
  • 즉, 도시열섬 연구에 있어서도 도시의 토지피복유형이 지표면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도시공간구조나 토지피복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표면 온도와 토지피복과의 관계를 공간해상도가 다른 MODIS(MODerated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Landsat ETM+(Enhanced Thematic Mapper Plus)과 RapidEye 위성영상을 사용하여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한다.
  • 6S 복사전달모델에서는 다양한 대기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입력자료를 결정하도록 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6S에 내장된 US 중위도 표준대기 모델을 사용하였다. 우리나라에 최적화된 대기모델이 없기도 하지만, 본 연구의 목적이 정확한 지표면 물리값을 산출하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대기효과가 일정부분 제거된 지표면의 공간특성을 보고자 하는데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에어로졸 효과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8가지 에어로졸 모델 중 도시환경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도시모델을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열섬에서 식생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도시열섬에서 식생이 중요한 이유는 대기 중의 수분을 증발시키고, 직접적으로 태양열을 흡수하여 기온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그늘을 만들어 태양에너지가 지표면을 가열하는 것을 막아주는 등 주변의 미기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조현길과 野島義照,2000). 한 화소 또는 일정 공간범위 내에서 정규식생지수가 높다는 것은 그 공간범위 내에서 식생이 차지하는 영향력이 크다는 것이며, 상대적으로 비식생지역 즉, 건물이나 도로 등 불투수토지피복으로 인한 영향이 낮아진다는 것이다.
도시열섬현상을 바라보는 세 가지 관점은 무엇인가? 도시열섬현상은 세 가지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다. 지표면 열섬(surface urban heat island), 캐노피층 열섬(canopy layer heat island), 경계층 열섬(boundary layer heat island)이 그것이다. 캐노피층 열섬은 지표면으로부터 대략 건물의 평균 높이까지 발생하며, 경계층 열섬은 캐노피층 보다 위에 위치한다.
Landsat TM이나 Landsat ETM+의 열밴드를 활용한 지표면온도 산출방법 세 가지는 무엇인가? 이 때 사용된 열밴드는 다른 분광밴드와 다르게 60 m의 공간해상도를 갖는다. 지금까지 Landsat TM이나 Landsat ETM+의 열밴드를 활용한 지표면온도 산출방법은 크게 세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1) 복사전달방정식(Radiative transfer equation), 2) Qin et al.(2001)에 의한 mono-window 알고리즘, 3)Jimenez-Munoz and Sobrino 알고리즘(Sobrino et al.,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박민호, 2001. Landsat TM 열적외 데이터를 이용한 도시열섬현상에 관한 연구 - 서울시를 대상으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1(6-D): 861-874. 

  2. 박성영, 1997. 신도시 개발 사례(II): 호수와 푸르름이 어우러져 정감이 서린 일산 신도시, 대한토목학회지, 45(5): 90-100. 

  3. 이광재, 조명희, 2006. 공간정보기술을 활용한 도시지역 지표온도 분포 특성 해석,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0(6): 397-408. 

  4. 조현길, 野島義照, 2000. 도시녹지의 미기후개선, CO2 흡수 및 화재방지의 효과,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3(3): 162-170. 

  5. Gallo, K.P., A.L. McNab, T.R. Karl, J.F. Brown, J.J. Hood, and J.D. Tarpley, 1993. The use of NOAA AVHRR data for assessment of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32(5): 899-908. 

  6. Gallo, K.P. and T.W. Owen, 1999. Satellite based adjustment for the urban heat island temperature bias,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38: 806-813. 

  7. Hansen, P.M. and J.K. Schjoerring, 2003. Reflectance measurement of canopy using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ices and 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6: 542-553. 

  8. Liang, S., H. Fang, J.T. Morisette, M. Chen, C.J. Shuey, C.L. Walthall, and C.S.T. Daughtry, 2002. Atmospheric Correction of Landsat ETM+ Land Surface Imagery-Part II: Validation and Applications,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40(12): 2736-2746. 

  9. Lo, C.P., D.A. Quattrochi, and J.C. Luvall, 1997. Application of high-resolution thermal infrared remote sensing and GIS to assess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8: 287-304. 

  10. Owen, T.W., T.N. Carlson, and R.R. Gillies, 1998. An assessment of satellite remotely-sensed land cover parameters in quantitatively describing the climatic effect of urbaniz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9: 1663-1681. 

  11. Qin, Z., A. Karnieli, and P. Berliner, 2001. A monoalgorithm for retrieving land surface temperature from Landsat TM data and its appli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2(18): 583-594. 

  12. Sobrino, J.A., J.C. Jimenez-Munoz, and P. Leonardo, 2004. Land surface temperature retrieval from Landsat TM5,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90: 434-440. 

  13. Vermote, E.F., D. Tanre, J.L. Deuze, M. Herman, and J.J. Morcrette, 1997. Second simulation of the satellite signal in the solar spectrum, 6S: an overview,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35: 675-686. 

  14. Voogt, J.A. and T.R. Oke, 2003. Thermal remote sensing of urban area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6: 370-384. 

  15. Weng, Q., D. Lu, and J. Schubring, 2004. Estimation of land surface temperature-vegetation abundance relationship for urban heat island studi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9: 467-483. 

  16. Yuan, F. and M.E. Bauer, 2007. Comparison of impervious surface area and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as indicators of surface urban heat island effects in Landsat imagery,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06: 375-386. 

  17. Zhang, J., Y. Wang, and Y. Li, 2006. A C++ program for retrieving land surface temperature from the data of Landsat TM/ETM+ band 6, Computer and Geosciences, 32: 1796-18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