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MODIS GPP 자료는 육상식생의 총일차생산성(GPP) 모니터링에 중요한 수단을 제공한다. 그러나 GPP 추정의 입력자료로 사용하는 DAO기상자료의 거친 공간해상도($1.25^{\circ}{\times}1^{\circ}$)와 FPAR 자료의 구름영향에 의한 신뢰도 저하 등은 지역 수준의 GPP 모니터링에 문제를 야기한다. 이 연구에서는 북한지역을 대상으로 FPAR의 구름영향 제거하고 고해상도(3 km${\times}$3 km) WRF 기상자료를 사용함으로써 입력자료의 문제를 개선한 GPP를 추정한 후, 2000-2008년 간의 GPP 연간 변동특성 및 지역적 분포특성을 분석하였다. 개선한 GPP는 2000년의 645 $gC\;m^{-2}\;y^{-1}$에서 2008년의 863 $gC\;m^{-2}\;y^{-1}$까지 변화하였고, 혼효림지역이 1,076 $gC\;m^{-2}\;y^{-1}$으로 가장 큰 값을 보였다. NASA GPP (790 $gC\;m^{-2}\;y^{-1}$)에 비해 FPAR 개선 후 GPP가 증가하였고(861), WRF 자료 이용 시 감소(710), FPAR와 WRF 자료 이용 시 다소 증가(809)하는 양상을 보였다. 개선효과는 북한에서 제일 큰 면적을 차지한 혼효림에서 가장 뚜렷하였다(+10.2%). 한편 WRF 기상자료가 DAO에 비해 지형적 영향을 보다 잘 반영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선한 GPP의 공간이질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피복유형별 연간변동성을 분석한 결과 개선한 GPP는 NASA GPP와 상이한 연간변화를 보였다. 위 결과들을 종합하면, 북한 등의 지역수준의 GPP 모니터링을 목적으로할 경우, 입력자료의 개선에 의한 MODIS GPP를 재산출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SA MODIS GPP provides a useful tool to monitor global terrestrial vegetation productivity. Two major problems of NASA GPP in regional applications are coarse spatial resolution ($1.25^{\circ}{\times}1^{\circ}$) of DAO meteorological data and cloud contamination of MODIS FPAR product.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NASA GPP에 비해, 고해상도 일 단위 기상입력자료를 이용하여 지역규모의 상세한 기상이질성을 반영한 GPP 자료를 생산하였다. 또한 MODIS FPAR자료에 상존하는 구름효과를 보정함으로써 활발한 식생성장기 동안 몬순기후의 특성상 장기간의 구름 때문에 예측 신뢰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NASA GPP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선한 입력 자료를 기반으로 산출한 GPP는 NASA GPP와 상이한 시공간 분포를 보였다.
  • 본 연구는 FPAR 자료를 보정하기 위하여 각 영상픽셀의 FPAR 시계열 자료에서 구름의 영향을 받은 자료를 찾아내어 이를 제외하고, 전후 시기의 맑은 날 자료로 내삽하여 보완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제거할 값을 선정하는 데는 MOD15A2 QC flag 값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였고, 이와 더불어 QC에 의해 탐지되지 않는 특이한 변동을 찾아내어 보정하는 규칙을 만들어 적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2000-2008년에 걸쳐 북한지역의 GPP를 추정하기 위하여 MODIS 위성영상과 역학적 기상예측모형인 WRF로부터 생산된 격자기상자료를 수집하였다. MODIS 자료는 2000년부터 2008년간의 Terra MODIS 자료를 사용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NASA GPP에 비해, 고해상도 일 단위 기상입력자료를 이용하여 지역규모의 상세한 기상이질성을 반영한 GPP 자료를 생산하였다. 또한 MODIS FPAR자료에 상존하는 구름효과를 보정함으로써 활발한 식생성장기 동안 몬순기후의 특성상 장기간의 구름 때문에 예측 신뢰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NASA GPP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앞서 제시한 NASA GPP 추정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구름 영향을 간직한 FPAR 자료를 내삽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자료의 결손이 없는 FPAR 자료를 생산하였다. 또한 DAO 기상자료를 대신할 수 있는 고해상도의 대안적인 기상자료로서 역학적 기상예측모형인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WRF)로부터 생산한 3 km 공간해상도의 격자형 기상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차생산성이란 무엇인가? 일차생산성은 식생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바이오매스로 고정하는 과정이다. 일차생산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현장실험을 통하여 대기의 탄소흐름을 측정하는 플럭스타워 관측과 위성영상 기반의 일차생산성 추정, 생태계 모형을 이용한 방법 등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Running et al.
일차생산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일차생산성은 식생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바이오매스로 고정하는 과정이다. 일차생산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현장실험을 통하여 대기의 탄소흐름을 측정하는 플럭스타워 관측과 위성영상 기반의 일차생산성 추정, 생태계 모형을 이용한 방법 등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Running et al., 1999).
NASA GPP 자료의 한계점 세 가지는 무엇인가? NASA GPP 자료는 광역지역의 일차생산성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NASA GPP 원자료를 바로 북한지역의 일차생산성 추정에 적용하기에 다음의 몇가지 한계가 있다. 첫째, 장기간의 구름 영향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한 MODIS FPAR 자료는 지표식생의 유효 광합성복사 흡수율에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강신규, 2005; Kang et al., 2005; Zhao et al., 2005). 둘째, NASA GPP 추정에 사용하는 DAO 기상입력자료는 경도 1.25도, 위도 1도의 상당히 거친 공간해상도를 가지기 때문에, 우리나라와 같이 삼면이 바다이고 복잡한 지형 특징을 가지는 지역에서는 기상의 상세한 공간이질성을 반영하기 어렵다(강신규 등, 2005). 셋째, 알고리즘에 사용된 계수 값들은 전 지구 규모의 일차생산성 감시를 위해 개발된 것이기 때문에, 기후, 토질 등의 지역 특성을 반영한 계수 값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강신규, 2005. MODIS 엽면적지수 및 일차생산성 영상의 구름 영향 오차 분석: 우리나라 몬순기후의 영향, 한국생태학회지, 28(4): 215-222. 

  2. 강신규, 김영일, 김영진, 2005. MODIS 총일차생산성 산출물의 오차요인 분석: 입력기상자료의 영향, 한국농림기상학회지, 7(2): 171-183. 

  3. 명수정, 김순아, 김지영, 권현한, 2009. 북한의 가뭄재해 취약지 분석 및 남북협력 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4. Byon, J.Y., J.S. Kim, J.Y. Kim, B.C. Choi, Y.J. Choi, and A. Graetz, 2008.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erceived temperature over the Korean peninsula during 2007 summer, Atmosphere, 18(2):137-146. 

  5. Cao, M., S.D. Prince, J. Small, and S.J. Goetz, 2004. Remotely Sensed Interannual Variations and Trends in Terrestrial Net Primary Productivity 1981-2000, Ecosystems, 7: 233-242. 

  6. Davitashvili, T., R. Kvatadze, and N. Kutaladze, 2011. Weather Prediction Over Caucasus Region Using WRF-ARW Model, MIPRO 2011, May 23-27, 2011, Opatija, Croatia. 

  7. Friedl, M.A., D.K. McIver, J.C.F. Hodges, X.Y. Zhang, D. Muchoney, A.H. Strahler, C.E. Woodcock, S. Gopal, A. Schneider, A. Cooper, A. Baccini, F. Gao, and C. Schaaf, 2002. Global land cover mapping from MODIS: algorithms and early result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3: 287-302. 

  8. Hwang, T., S. Kang, J. Kim, Y. Kim, D. Lee, and L. Band, 2008. Evaluating drought effect on MODIS Gross Primary Production (GPP) with an eco-hydrological model in the mountainous forest, East Asia. Global Change Biology, 14: 1037-1056. 

  9. Heinsch, F.A., M. Reeves, C.F. Bowker, P. Votava, S. Kang, C. Milesi, M. Zhao, J. Glassy, W.M. Jolly, J.S. Kimball, R.R. Nemani, and S.W. Running, 2003. User's guide: GPP and NPP (MOD17A2/A3) products, NASA MODIS Land Algorithm, http://www.forestry, umt, edu/ntsg/. 

  10. Kang, S., S.W. Running, M. Zhao, and J.S. Kimball, 2005. Improving continuity of MODIS terrestrial photosynthesis products using an interpolation scheme for cloudy pixel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6(8): 1659-1676. 

  11. Kim, W.K., H. Lee, and D.A. Sumner, 1998. Assessing the Food Situation in North Korea, Economic Development and Cultural Change, 46(3): 519-535. 

  12. Lynn, B. and Y. Yair, 2010. Prediction of lightning flash density with the WRF model, Advances in Geosciences, 23: 11-16. 

  13. Maselli, F., A. Barbati, M. Chiesi, G. Chirici, and P. Corona, 2006. Use of remotely sensed and ancillary data for estimating forest gross primary productivity in Italy,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00: 563-575. 

  14. MODIS WIST, http://wist.echo.nasa.gov/api. 

  15. Molders, N., 2008. Suitability of the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WRF) Model to Predict the June 2005 Fire Weather for Interior Alaska,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3: 953-973. 

  16. Monteith, J.L., 1977. Climate and the efficiency of crop production in Britain,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B, Biological Sciences, 281: 277-294. 

  17. Mu, Q., M. Zhao, F.A. Heinsch, M. Liu, H. Tian, and S.W. Running, 2007. Evaluating water stress controls on primary production in biogeochemical and remote sensing based model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2: 1- 13. 

  18. Peng, D.L., J. F. Huang, C.X. Cai, R. Deng, and J.F. Xu, 2008. Assessing the Response of Seasonal Variation of Net Primary Productivity to Climate Using Remote Sensing Data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echniques in Xinjiang, Journal of Integrative Plant Biology, 50(12): 1580-1588. 

  19. Running, S.W., D. Baldocchi, D. Turner, S.T. Gower, P. Bakwin, and K. Hibbard, 1999. A global terrestrial monitoring network integrating tower fluxes, flask sampling, ecosystem modeling and EOS satellite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70: 108-127. 

  20. Running, S.W., P.E. Thornton, R.R. Nemani, and J.M. Glassy, 2000. Global terrestrial gross and net primary productivity from the earth observing system, Methods in Ecosystem Science, O.E. Sala, R.B. Jackson, H.A. Mooney, and R.W. Howarth (Eds.), Springer-Verlag, New York. 

  21. Running, S.W., R.R. Nemani, F.A. Heinsch, M. Zhao, M.C. Reeves, and H. Hashimoto, 2004. A continuous satellite-derived measure of global terrestrial primary production, BiosScience, 54: 547-560. 

  22. Sims, D.A., A.F. Rahman, V.D. Cordova, B.Z. El- Masri, D.D. Baldocchi, P.V. Bolstad, L.B. Flanagan, A.H. Goldstein, D.Y. Hollinger, L. Misson, R.K. Monson, W.C. Oechel, H.P. Schmid, S.C. Wofsy, and L. Xu, 2008. A new model of gross primary productivity for North American ecosystems based solely on the enhanced vegetation index and land surface temperature from MODI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2: 1633-1646. 

  23. Xiao, J., Q. Zhuang, B.E. Law, J. Chen, D.D. Baldocchi, D.R. Cook, R. Oren, A.D. Richardson, S. Wharton, S. Ma, T.A. Martin, S.B. Verma, A.E. Suyker, R.L. Scott, R.K. Monson, M. Litvak, D.Y. Hollinger, G. Sun, K.J. Davis, P.V. Bolstad, S.P. Burns, P.S. Curtis, B.G. Drake, M. Falk, M.L. Fischer, D.R. Foster, L. Gu, J.L. Hadley, G.G. Katul, R. Matamala, S. McNulty, T.P. Meyers, J.W. Munger, A. Noormets, W.C. Oechel, K.T. P. U, H.P. Schmid, G. Starr, M.S. Torn, and S.C. Wofsy, 2010. A continuous measure of gross primary production for the conterminous United States derived from MODIS and AmeriFlux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4: 576-591. 

  24. Zhao, M., F.A. Heinsch, R.R. Nemani, and S.W. Running, 2005. Improvements of the MODIS terrestrial gross and net primary production global data set,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95: 164-1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