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 봄철 강수량의 장기변동과 미래변화
Interdecadal Variability and Future Change in Spring Precipitation over South Korea 원문보기

대기 = Atmosphere, v.22 no.4, 2012년, pp.449 - 454  

김고운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대기환경과학과) ,  옥정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대기환경과학과) ,  서경환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대기환경과학과) ,  한상대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대기환경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esents the long-term variability of spring precipitation over the Korean peninsula. It is found that the significant interdecadal change in the spring precipitation has occurred around year 1991. Over the Korean peninsula the precipitation for the post-1991 period increased by about 30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1981~2010년 (30년)동안 한반도 봄철강수량의 장기변동과 발생 원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Lepage test를 통하여 한반도 봄철강수량의 장기 변동이 1991년을 기준으로 발생했음을 99% 신뢰 구간에서 확인하였고, 91년 이전에 비해 91년 이후 한반도 봄철강수량은 연평균 약 30 mm 증가하였다.
  • 앞서 1991년 이전과 이후 한반도 봄철강수량의 장기변동과 주위 대기순환장의 변화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이 절에서는 봄철강수량이 미래에 어떻게 변화 하는지를 전망하고, 한반도와 주변의 미래 봄철강수량 변화 요인을 알아보았다.
  • 그러나 이러한 장기변동 이후부터 현재까지 한반도 봄철강수량의 장기변동에 주목하는 연구는 거의 알려진 바 없고, 앞으로의 봄철강수량의 변화에 대해서도 살펴보는 연구도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81년부터 2010년까지의 한반도의 봄철강수량의 장기변동을 살피고,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의 대기순환 분석을 통해 한반도 봄철강수량 장기변동의 원인을 나타내고자 한다. 또한 유엔 (UN) 정부간기후변화패널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for Climate Change)의 4차 보고서에 참여한 CMIP3 (Couple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3)모델을 이용하여 미래 봄철 강수량의 변화를 전망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봄장마 기간은 언제인가? 먼저, 봄에 일시적으로 강수량이 증가하는 기간인 ‘봄장마’에 대해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봄장마 기간은 4월 2~6일부터 5월 14~16일까지로 정의되었다 (Byun et al., 1992a,b; Byun and Han, 1994; Byun and Lee, 2002).
봄철강수의 피해사례는? 이러한 과정에서 봄철에 내리는 강수는 산불을 예방하고, 가뭄의 해갈을 도우며 생활 및 공업용수와 영농기 농업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데 유용하다. 반면에 봄철강수가 크게 증가하면 짧은 일조시간을 야기시켜 저온현상 및 생장저해 등 농작물 피해를 유발 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봄철강수는 식량 및 수자원 공급, 인간의 생활과 생태계의 환경, 나아가 사회·경제적 분야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장마백서에 따르면 한반도의 계절별 강수량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일반적으로 한반도의 계절별 강수량은 여름철, 가을철, 봄철, 겨울철 순으로 강하게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장마백서 (2011)에 따르면, 일 강수량 80 mm 이상 발생일수는 전 계절 대비 여름철 (6~8월) 약 70%, 가을철 (9~11월) 약 18%, 봄철 (3~5월) 약 11%를 차지하고, 일 강수량 150 mm 이상 발생일수는 여름철약 77%, 가을철 약 16%, 봄철 약 8%를 차지한다고 한다. 이처럼 강수량은 여름철과 가을철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이후 겨울철 동안 강수량이 적다가 봄철에 강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과정에서 봄철에 내리는 강수는 산불을 예방하고, 가뭄의 해갈을 도우며 생활 및 공업용수와 영농기 농업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데 유용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기상청, 2011: 장마백서. 기상청, 268. 

  2. 이종화, 변영화, 박정규, 2001: 2001년 봄 가뭄 특성 분석. 한국기상학회지, 11, 334-341. 

  3. Byun, H.-R. and D.-K. Lee, 2002: Defining three rainy seasons and the hydrological summer monsoon in Korea using available water resources index. J. Meteor. Soc. Japan, 80, 33-44. 

  4. Byun, H.-R. D.-K. Lee, and C.-H. Jeong, 1992a: A study on the atmospheric circulation during the dry period before the Changma. Part I: existence and characteristics. J. Korean Meteor. Soc., 28, 72-8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Byun, H.-R., D.-K. Lee, and C.-H. Jeong, 1992b: A study on the atmospheric circulation during the dry period before the Changma. Part II: compared with those before and after the period. J. Korean Meteor. Soc., 28, 86-10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Byun, H.-R. and Y.-H. Han, 1994: On the existence of the seasonal drought in the Korean Peninsula. J. Korean Meteor. Soc., 30, 457-46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Choi, K.-S., D.-W. Kim, and H.-R. Byun, 2010: The regime shift in the early 1980s of spring precipitation in Korea. Int. J. Climatol., 30, 721-732. 

  8. Han, S.-U. and H.-R. Byun, 2006: The existence and the climat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pring rainy period in Korea. Int. J. Climatol., 26, 637-654. 

  9. Lepage, Y., 1971: A combination of Wilcoxon's and Ansari-Bradley's statistics. Biometrika, 58, 213-217. 

  10. Lindzen, R. S. and B. Farrell, 1980: A Simple Approximate Result for the Maximum Growth Rate of Baroclinic Instabilities. J. Atmos. Sci., 37, 1648-1653. 

  11. Seo, K.-H. and Jung Ok, 2012: Assessing future changes in the East Asian summer monsoon using CMIP3 models: Results from the best model ensemble. J. Climate, in print. 

  12. Taylor, K. E., 2001: Summarizing multiple aspects of model performance in a single diagram. J. Geophys. Res., 106, 7183-7192. 

  13. Xie, P. and P. A. Arkin, 1997: Global Precipitation: A 17-Year Monthly Analysis Based on Gauge Observations, Satellite Estimates, and Numerical Model Outputs. Bull. Amer. Meteor. Soc., 78, 2539-2558. 

  14. Yonetani, T. and G. J. McCabe, 1994: Abrupt changes in regional temperature in the conterminous United States. Climate Res., 4, 13-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