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겨울철 기온과 북반구 대기 순환과의 상관성 분석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Temperature and the Atmospheric Circulation over the Northern Hemisphere during Winter 원문보기

대기 = Atmosphere, v.22 no.2, 2012년, pp.187 - 197  

임소민 (한양대학교 과학기술학부 해양환경과학과) ,  예상욱 (한양대학교 과학기술학부 해양환경과학과) ,  김공래 ((주)코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temperature and the atmospheric circulation such as Arctic Oscillation, Siberian High and Aleutian Low during the winter (December-January) for the period of 1970-2011. It is found that all indices to represent aforementioned circulation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21개 기상대에서 지난 1970-2011년 동안 관측된 겨울철 월평균 기온 자료를 사용하여 겨울철 기온 변동성과 북반구 대기 순환을 나타내는 여러 지수들과의 상관성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 겨울철 기온이 뚜렷한 기후 체계 변화를 겪은 시기를 중심으로 앞서 언급한 지수들과의 상관성이 어떤 변화를 보였는지 살펴보았으며 십 년 이상의 장주기 시간 규모에서 이런 변화들이 어떤 경향성을 보이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기후 체계 변화 이후 우리나라 겨울철 기온 변동성을 어떤 지수가 잘 설명하고 있는지 제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21개 기상대에서 지난 1970-2011년 동안 관측된 겨울철 월평균 기온 자료를 사용하여 겨울철 기온 변동성과 북반구 대기 순환을 나타내는 여러 지수들과의 상관성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 겨울철 기온이 뚜렷한 기후 체계 변화를 겪은 시기를 중심으로 앞서 언급한 지수들과의 상관성이 어떤 변화를 보였는지 살펴보았으며 십 년 이상의 장주기 시간 규모에서 이런 변화들이 어떤 경향성을 보이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북극진동과 우리나라 겨울철 기온과의 상관성의 변화 원인을 근본적으로 전기와 후기 기간 동안 북극진동의 위상 차이에 따른 공간구조의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제시하였다. 북극진동의 위상 차이에 따른 해면 기압 구조의 대칭성이 전기에 비해 후기 기간 동안 크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와 같은 대칭성의 증가는 북극진동의 위상 차이에 따른 동아시아 지역의 겨울철 평균 해면 기압의 구조의 차이를 가져왔다.
  • 본 연구에서는 1970년부터 2011년까지 42년간의 우리나라 겨울철 평균 기온 변동과 관련된 북반구 대기 순환을 나타내는 지수들인 북극진동 지수, 시베리아 고기압 지수, 알류산 지수와의 상관성 변화를 확인 하였다.
  • 이 논문에서는 1980년대 중반 이후 북극진동이 우리나라 겨울철 기온과 밀접한 상관성을 가지는 이유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1980년대 중반 이전과 이후 북극진동의 위상 차이에 따른 해면 기압의 합성도를 제시하였다 (Fig.
  • 구체적으로 우리나라 겨울철 기온이 뚜렷한 기후 체계 변화를 겪은 시기를 중심으로 앞서 언급한 지수들과의 상관성이 어떤 변화를 보였는지 살펴보았으며 십 년 이상의 장주기 시간 규모에서 이런 변화들이 어떤 경향성을 보이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기후 체계 변화 이후 우리나라 겨울철 기온 변동성을 어떤 지수가 잘 설명하고 있는지 제시하였다.
  • 우리나라는 지난 이십 년 동안 그 이전 시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따뜻한 겨울철 기온의 특징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Chung and Yoon, 2000) 이와 같은 사실은 우리나라의 겨울철 기온에 영향을 주는 동아시아 겨울철 몬순 (전 등, 2002; 안과 김, 2005), 그리고 더 나아가 동아시아 겨울철 몬순 변동에 영향을 주는 북반구 대기 순환의 변동을 암시하는 것이다. 현재까지는 우리나라의 겨울철 기온 변동과 북반구 대기 순환의 상관성이 최근 어떤 변화를 보이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지난 40여 년 동안 우리나라 겨울철 기온 변동과 주요 북반구 대기 순환 변동과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극진동이란 무엇인가? 5°의 해상도를 가지고 있다. 북극진동은 20°N 이북의 해면 기압의 편차를 경험적 직교함수 (EOF;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분석에서 첫 번째 모드로 추출되는 기압 변동 패턴이다 (Thompson and Wallace, 1998, 2000). 45°N를 기준으로 중위도 기압이 북극보다 높으면 양의 위상으로 중위도 기압이 북극보다 낮으면 음의 위상으로 나타낸다.
동아시아 겨울철 몬순 변동성은 북반구 대기 순환 중 특히 어떤 것들과 밀접한 상관성을 가지는가? 동아시아 겨울철 몬순 변동성은 북반구 대기 순환 중 특히 북극진동 (Arctic Oscillation), 시베리아 고기압 및 알류산 저기압 변동성과 밀접한 상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Gong et al., 2001; Wang and Chen, 2010).
북극진동은 45°N를 기준으로 어떤 특징이 있는가? 북극진동은 20°N 이북의 해면 기압의 편차를 경험적 직교함수 (EOF;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분석에서 첫 번째 모드로 추출되는 기압 변동 패턴이다 (Thompson and Wallace, 1998, 2000). 45°N를 기준으로 중위도 기압이 북극보다 높으면 양의 위상으로 중위도 기압이 북극보다 낮으면 음의 위상으로 나타낸다. 북극진동을 나타내는 북극진동 지수는 National weather service/climate prediction center (http://www.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김해정, 안중배, 2010: 한반도 겨울철 기온 변동과 관계된 대규모 대기 순환에 관한 연구. 기후연구, 5(2), 118-130. 

  2. 안중배, 김해정, 2005: 대규모 순환 패턴과 부산지방 기온 및 강수의 상관성 분석, 한국기상학회지, 41, 1101-1110. 

  3. 윤용훈, 2003: 20세기 한반도 주변의 해수면과 기온에 대한 기후 변동성, 이학박사 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94pp. 

  4. 이경미, 백희정, 조천호, 권원태, 2011: 한국의 최근 10년의 기온과 강수 변화. 국토지리학회지, 45(2), 237-248. 

  5. 임은순, 안중배, 2004: 한반도 겨울철 기온 변동과 대규모 순환지수와의 상관성 분석. 한국기상학회지, 40(4), 441-452 

  6. 전종갑, 이은정, Bin Wang, 안순일, 2002: 동아시아 겨울몬순 지수를 이용한 겨울몬순 특성 분석. 대기, 103-106. 

  7.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2009: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백서) 발간(I) 

  8. Boyle, J. S., 1986: Comparison of the synoptic conditions in midlatitudes accompanying cold surges over eastern Asia for the months of December 1974 and 1978. Part I : Monthly mean fields and individual events. Mon. Wea. Rev., 114, 903-918. 

  9. Chan, J. C. L., and C. Y. Li, 2004: The East Asia winter monsoon. East Asian Monsoon, Chang, C.P., Ed., World Scientific Publishing Co. Pet. Ltd., 54-106. 

  10. Chang, C. P., Z. Wang, and H. Hendon, 2006: The Asian winter monsoon. The Asian Monsoon, Wang, B., Ed., Praxis, Berlin, 89-127. 

  11. Chung, Y. S., and M. B. Yoon, 2000: Interpretation of recent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trends observed in Korea. Theor. Appl. Climatol., 67, 171-180. 

  12. Cui, X. P., and Z. B. Sun, 1999: East Asian winter monsoon index and its variation analysis. Journal of Nanjing Institute of Meteorology, 22, 321-325. (in Chinese) 

  13. Ding, Y. H., 1994; Monsoon over China. Kluwer Academic Publishers, 420pp. 

  14. Gong, D. Y., S. W. Wang, and J. H. Zhu, 2001: East Asian winter monsoon and Arctic Oscillation. Geophys. Res. Lett., 28(10), 2073-2076. 

  15. Gong, D. Y., and C. H. Ho, 2002: The Siberian High and climate change over middle to high latitude Asia. Theor. Appl. Climatol, 72, 1-9. 

  16. Huang, R. H., L. T. Zhou, and W. Chen, 2003: The progresses of recent studies on the variabilities of the East Asian monsoon and their causes. Adv. Atmos. Sci., 20(1), 55-69. 

  17. Huang, R. H., J. L. Chen, and G. Huang, 2007: Characteristics and variations of the East Asian monsoon system and its impacts on climate disasters in China. Adv. Atmos. Sci., 24(6), 993-1023. 

  18. Jeong, J. H., and C. H. Ho, 2005: Changes in occurrence of cold surges over east Asia in association with Arctic Oscillation. Geophys. Res. Lett., 32, L14704. 

  19. Jeong, J. H., T. Ou, H. W. Linderholm, B. M. Kim, S. J. Kim, J. S. Kug, and D. Chen, 2011: Recent recovery of the Siberian High intensity, J. Geophys. Res, 116, D23102 

  20. Jung, H. S., Y. G. Choi, J. H. Oh, and G. H. Lim, 2002: Recent trend i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over south Korea. Int. J. Climatol., 22, 1327-1337. 

  21. Jhun, J. G., and E. J. Lee, 2004: A new East Asian Winter Monsoon Index and associated characteristics of the winter monsoon. J. Clim., 17, 711-726. 

  22. Kerr, R. A., 1999: A new force in high-latitude climate, Science, 284, 241-242. 

  23. Lau, K. M., and M. T. Li, 1984: The monsoon of East Asia and its global associations-A survey. Bull. Amer. Meteor. Soc., 65, 114-125. 

  24. Overland, J. E., J. M. Adams, and N. A. Bond, 1999: Decadal variability of the Aleutian low and its relation to high-latitude circulation. J. Clim., 12, 1542-1548. 

  25. Panagiotopoulous, F., M. Shahgedanova, A. Hannachi, and D. B. Stephenson, 2005: Observed trends and teleconnections of the Siberian High: A recently declining center of action, J. Clim., 18(9), 1411-1422. 

  26. Park, T. W., and C. H. Ho, 2011: Relationship between the Arctic Oscillation and cold surges over east Asia. J. Clim., 24, 68-83. 

  27. Rigor, I. G., R. L. Colony, and S. Martin, 2000: Variations in surface air temperature observations in the Arctic, 1979-97. J. Clim., 13(5), 8 96-914. 

  28. Ryoo, S. B., J. G. Jhun, W. T. Kwon, and S. K. Min, 2002: Climatological aspects of warm and cold winters in south Korea. Korea Jounal of Atmospheric Sciences, 5, 29-37. 

  29. Thompson, D. W. J., and J. M. Wallace, 1998: The Arctic Oscillation signature in the wintertime geopotential height and temperature fields. Geophys. Res. Lett., 25(9), 1297-1300. 

  30. Thompson, D. W. J., J. M. Wallace, 2000: Annual modes in the extratropical circulation, part: Month-to-month variability, J. Clim., 13, 1000-1016. 

  31. Thompson, D. W. J., J. M. Wallace, and G. C. Hegerl, 2000: Annular modes in the extratropical circulation. Part : Trends. J. Clim., 13, 1018-1036. 

  32. Trenberth, K. E., and J. W. Herrell, 1994: Decadal atmosphere-ocean variations in the Pacific. Clim. Dynamics., 9, 303-319. 

  33. Wang, L., and W. Chen, 2010: How well do existing indices measure the strength of the East Asian Winter Monsoon? Adv. Atmos. Sci., 27(4), 855-870. 

  34. Wang, L., W. Chen, W. Zhou, and R. Huang, 2009a: Interannual variations of east Asian trough axis at 500 hPa and its association with the east Asian winter monsoon pathway. J. Clim, 22, 600-614. 

  35. Wu, B., and J. Wang, 2002: Winter Arctic Oscillation, Siberian High and East Asian Winter Monsoon, Geophy. Res. Lett., 29(19), 1897. 

  36. Wu, M. C., Y. K. Leung, and W. L. Chang, 2006: Relationship between winter temperature in Hong Kong and East Asian winter monsoon, Hong Kong Observatory. 

  37. Zhang, X., A. Sorteberg, J. Zhang, R. Gerdes, and J. C. Comiso, 2008: Recent radical shifts of atmospheric circulations and rapid changes in Arctic climate system, Geophys. Res. Lett., 35, L22701. 

  38. Zhang, Y., K. R. Sperber, and J. S. Boyle, 1997: Climatology and interannual variation of the east Asian winter monsoon: Results from the 1979-95 NCEP/NCAR reanalysis. Mon. Wea. Rev., 125, 2605-26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