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남 일부지역 중학생의 비만도에 따른 식습관 및 간식 섭취 실태
A Study on Dietary Habit and Eating Snack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ifferent Obesity Indexes in Chungnam A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5 no.1, 2012년, pp.105 - 115  

김명희 (공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서진선 (공주대학교 영양교육대학원) ,  최미경 (공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은영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etary habits and snack consumption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ifferent obesity indexes in the Chungnam area. The survey was carried out using self-questionnaires and included 385 students(119 underweight, 193 normal weight, 66 overwe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대개 초등학생이나 학령기 이전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고(Choi 등 2008; Park 등 2007; Lee 등 2003),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패스트푸드나 우유 등 특정 식품에 초점을 맞춘 경우가 많은 반면(Choi 등 2008; Lee JS 2007), 비만도에 따른 간식 섭취 실태를 조사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비만도 분포에 따른 간식 섭취 패턴, 간식의 종류, 간식 종류별 기호도 등의 전반적인 간식 섭취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청소년의 식생활 문제점은? 우리나라 청소년의 식생활 문제점으로는 불규칙한 식사시간, 결식, 과식, 편의주의적 식사형태로의 변화 등이 지적되고 있다(An & Shin 2001). 또한 식생활이 간편화되면서 청소년들의 간식 섭취 형태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청소년기에 영양학적인 특징은?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전환되는 과도기로 신체적·정신적으로 성장이 활발하고, 식사습관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이다(Choi 등 2010). 따라서 청소년기에는 충분한 영양 공급이 필요하며, 생애주기에서 영양소 필요량도 가장 많은 시기이다(Choi 등 2008).
청소년의 건강과 비만 방지를 위해서는 아침식사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대상자의 식습관을 조사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아침식사를 매일 하는 대상자는 저체중군 68.1%, 정상체중군 58.6%, 과체중군 57.6%로 저체중군에서 과체중군으로 갈수록 매일 아침을 먹는 비율이 낮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청소년기의 아침 결식률은 서울지역(Cho JW 2002) 22%, 전주지역(Sung SH 2003) 27.3%, 인천지역(Kwon 등 2001) 37.7%로 지역별로 차이는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아침 결식률은 20% 이상 높게 나타났다. Jo MJ(2000)의 연구에서는 과체중일수록 결식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고, Kim 등(2008)은 여중생의 아침식사 결식률이 매우 높았는데, 비만군(40,4%)이 정상체중군(31.3%)보다 결식 비율이 높았다고 하여 본 연구와 유사하였다. 아침식사를 하지 않을 경우, 오전 시간에 혈당이 정상 이하로 떨어져 학생들의 학습능력과 집중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Park & Km 2000). 아침식사 섭취 빈도도가 증가할수록 식습관과 학업성취도가 좋아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아침 결식 후의 식사는 과식을 함으로써 열량 섭취가 과도해질 위험이 높아지고, 그로 인해 피하 지방이 축적되어 비만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Choe 등 2003). 따라서 청소년의 건강과 비만 방지를 위해서는 아침식사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n GS, Shin DS. 2001. A comparison of the food and nutritient intake of adolescents between urban areas and islands in south Kyungnam. Korean J Community Nutr 6:271-281 

  2. Chang HS, Kim MR. 1999. The change on food habits of girl students living in Jeonbuk region. Korean J Community Nutr 4:366-374 

  3. Cho JW. 2002. Analysis of regional dietary intake of adolescents in Korea. MS Thesis, Seoul National Uni. Seoul. Korea 

  4. Cho KJ. 2004. The research study on the food habits according to obesity index of primary school children in Busan. Korean J Food Culture 19:106-117 

  5. Choe JS, Chun HY, Chung GJ, Nam HJ. 2003. Relations between the dietary habit and academic achievement, subjective health judgement, physical status of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Food 32:627-635 

  6. Choi MK, Bae YJ, Kim MH, In SJ. 2010. Research for the need of nutritional education by the analysis of eating habits and knowledge of nutrition among the middle school student sin Kyunggi province. J Korean Diet Assoc 16:133-145 

  7. Choi SK, Choi HJ, Chang NS, Cho SH, Choi YS, Park HK, Joung HJ. 2008. Snacking behavior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 Commu Nutr 13:199-206 

  8. Doo MA, Seo JY, Kim YH. 2009. Factors to influence consumption pattern of snack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Ils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1732-1739 

  9. Han JS, Chio YH, Kim HI. 1997. A study on the preference and intake for calcium source food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Daegu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7:475-483 

  10. Han YS, Joo N. 2005. An analysis on the factors of adolescence obesity. Korean J Food Culture 20:172-185 

  11. Hwang KJ. 2002. A comparative study on food behaviors, nutrient intakes and biochemical levels in serum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by obesity index. MS Thesis, Changwon National Uni. Changwon. Korea 

  12. Jang MN. 2008. The study on eating behaviors recognition, nutrient intakes and body composi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 Gwangju. Korea 

  13. Jin YH. 2002. A comparative study on dietary habits and dietary attitude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ifferent obesity indexes. Korean J Community Nutr 7:156-166 

  14. Jo JI, Kim HK. 2008. Food habits and eating snack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Ulsan area. Korean J Nutr 41:797-808 

  15. Jo MJ. 2000. Middle of the sex, weight, statistical, comparison of dietary attitudes and food awareness. MS Thesis, Chungang Uni. Seoul. Korea 

  16. Kang SA, Lee JW, Kim KE, Koo JO, Park DY. 2004. A study of the frequency of food purchase for snaking and its related ecologic factors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9:453-463 

  17. Kim EJ, Na HJ, Kim YN. 2007. Awareness on food additives and purchase of processed foods containing food additives i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Living Sci Assoc 16:205-218 

  18. Kim HK, Kim JH. 2011. Comparison of life style, school achievement and snaking behaviors among underweight and over-weight adolescents. Korean J Nutr 44:131-139 

  19. Kim KN, Lee HJ, Cho JS. 2008. Influences of weight concern on snack consumption among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on Cheongju. Korean J Hum Ecol 12:161-171 

  20. Kim YJ. 2010. Comparison on snack purchasing behaviors and snack intake between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MS Thesis, Dongkuk Uni. Seoul. Korea 

  21.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00. Diagnosis and Therapy of Obesity: The Asia-Pacific Area Guideline. Seoul: Heneuihack Press 

  22. Kwon SY. 2004. A study of dietary patterns and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snack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 Seoul. Korea 

  23. Kwon WJ, Chang KJ, Kim SK. 2001. A study on nutrient intake, dietary behavior, weight control, and iron deficiency of adolescent girls in Inchon. Korean J Nutr 35:90-101 

  24. Lee JM, Park HJ, Park SM. 2003. A survey on eating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for development snack. Korean J Food Culture 18:151-159 

  25. Lee JS. 2007. A comparative study on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s classified by age in Busan. Korean J Community Nutr 12:534-544 

  26. Lee JW, La HS. 1996. Blood pressure distribution of adolescents in Daejon city and its relationship with obese index and several environmental factors. Korean J Community Nutr 1:178-188 

  27. Marshall HM, Allison KC, O'reardon JP, Birketvedi G, Stunkard AJ. 2004. Night eating syndrome among nonobese persons. Int J Eat Disord 35:217-222 

  28.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 2009-Nutrition Survey(I).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eoul. 

  29. Mirmiran P, Esmaillzadeh A, Azizi F. 2005. Dairy consumption and body mass index: An inverse relationship. Int J Obes (Lond) 29:115-121 

  30. Moon SS, Lee YS. 2009. Comparison of dietary habits, exercise, recognized body shapes and weight control between obesity and underweight of adolescents. Korean Assoc Hum Ecol 18:1337-1348 

  31. Nicklas TA, Yang SJ, Baranowski T, Zakeri I, Bernson G. 2003. Eating patterns and obesity in children. The Bogalusa Heart Study. Am J Prev Med 25:9-16 

  32. No HK. 2000. Comparisons of nutrient intakes, dietary behavior and perception about body image between adolescent body and girls in rura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5:280-288 

  33. Park MS, Hong KJ, Cho YS, Lee JW. 2007. A study on the promotion of adolescents's milk consumption(2)-Relationships of frequency, physical activity and school vending facilities. J Korean Diet Assoc 13:73-83 

  34. Park SJ, Kim AJ. 2000. A retrospective study on the status of obesity and weight control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Inchon. J Korean Diet Assoc 6:44-52 

  35. Park SS, Kim NY, Han MJ. 2008. Processed food preferences and food and nutrition labeling percep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4:164-173 

  36. Park YS. 2003. Intake of snack by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Hansan-do area 1.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96-106 

  37. Ro HK. 2000. Comparison of nutrient intakes, dietary behavior and perception about body image between adolscent boys and girls in rura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5:280-288 

  38. Ryu HK. 1997. A survey of adolescents' concern and perception about body image at Miryang city. Korean J Community Nutr 2:197-205 

  39. Seo MH. 2009. The study on male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 eating habits and preferences for snacks. MS thesis, Konkuk Uni. Seoul. Korea 

  40. Sung SH. 2003. Dietary behaviors and health concerns of obese and non-obese middle school students' in Jeonju. MS thesis, Jeonbuk National Uni. Jeonju. Korea 

  41. The Korea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amendment for Koreans,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