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구시스템 모형을 이용한 21세기 동중국해와 남해의 수온과 일차생산 변화 평가
Assessment of Changes in Temperature and Primary Production over the East China Sea and South Sea during the 21st Century using an Earth System Model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34 no.2, 2012년, pp.229 - 237  

박영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순환.기후연구부) ,  최상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과학데이터센터) ,  김선동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  김철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순환.기후연구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sing results from an Earth System model, we investigated change in primary production in the East China Sea, under a global warming scenario. As global warming progresses, the vertical stratification of water becomes stronger, and nutrient supply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is reduced.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우리가 지역 평균에 주안점을 둔다면 지역의 전반적인 변화경향을 파악하는데 저해상도 모형결과도 활용이 가능하며, 박 등 (2011)은 이미 이 모형이 동중국해의 전반적인 탄소분포를 잘 재현하고 있음을 보였다. 여기에서는 2100년까지 대기 이산화탄소 농도가 현재의 두 배인 약 700 ppm으로 증가하는 A1B 시나리오 결과를 분석하여 21세기 동안 남해를 포함한 동중국해의 전반적인 변화경향을 분석하였다.
  • 이 논문에서는 지구시스템모형을 이용하여 동중국해의 장주기 수온변화경향과 일차생산(엽록소량)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모형은 지구시스템모형으로 NOAA/GFDL에서 IPCC 4차 보고서에 사용한 해양·대기·해빙·육상 접합모형인 CM2.
  • 지구시스템모형결과를 이용하여 2100년까지 대기 이산화탄소농도가 현재의 두 배인 약 700 ppm으로 증가하는 A1B 대기 이산화탄소 농도증가 시나리오에 의한 동중국해의 엽록소량 변화를 평가하였다. 엽록소량은 일차생산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엽록소량 변화에서 일차생산의 변화를 간접적으로나마 추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후변화에는 지구온난화 외에 또 무엇이 영향을 미치는가? 기후변화에 의한 우리나라 주변해역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관측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자료 분석·예측에 충분한 장기간의 자료가 축적되지 않았다. 기후변화에는 지구온난화 외에도 수 년에서 수 십년 주기를 갖는 자연적 변동성이 있다. 이를 제대로 고려하지 않고 단기간의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기후변화 경향을 제시한다면 매우 잘못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기후변화에 의한 수온 변화는 무엇에도 영향을 미치는가? 기후변화에 의한 수온 변화는 해양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opp et al. 2001; Brodeur et al.
지구온난화 외에 동중국해의 엽록소량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이로 인해 동중국해의 엽록소량이 감소한다. 하지만 지구온난화에 의한 변화 이외에도 십년 이상 주기의 변동성이나 연간변동도 존재하여, 변화가 빠른 시기도 있고 변화가 거의 없는 시기도 있어, 수 십 년이 지나야 지구온난화에 의한 영향이 자연적 변동성을 압도할 수 있다. 따라서 몇 년간의 짧은 기간의 관측자료를 이용해서는 올바른 온난화경향을 파악하기 어렵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민홍식, 김철호 (2006) 한국연안 표층수온의 경년변동과 장기변화. Ocean and Polar Res 28(4):415-423 

  2. 박영규, 최상화, 김철호 (2011) 지구시스템모형을 이용한 황동중국해 이산화탄소분압 분포 특성 평가. Ocean and Polar Res 33(4):447-455 

  3. Bopp L, Monfray P, Aumont O, Dufresne JL, Le Treut H, Madec G, Terray L, Orr JC (2001) Potential impact of climate change on marine export productions. Global Biogeochem Cy 5:81-99 

  4. Brodeur RD, Mills CE, Overland JE, Walters GE, Schumacher, JD (1999) Evidence for a substantial increase in gelatinous zooplankton in the Bering Sea, with possible links to climate change. Fish Oceanogr 8:296-306 

  5. Delworth TL, Broccoli AJ, Rosati A, Stouffer RJ, Balaji V, Beesley JA, Cooke WF, Dixon KW, Dunne J, Dunne KA, Durachta JW, Findell KL, Ginoux P, Gnanadesikan A, Gordon CT, Griffies SM, Gudgel R, Harrison MJ, Held IM, Hemler RS, Horowitz RW, Klein SA, Knutson TR, Kushner PJ, Langenhorst AR, Lee HC, Lin SJ, Lu J, Malyshev SL, Milly PCD, Ramaswamy V, Russell J, Schwarzkopf MD, Shevliakova E, Sirutis JJ, Spelman MJ, Stern WF, Winton M, Wittenberg AT, Wyman B, Zeng F, Zhang R (2006) GFDL's CM2 global coupled climate models. part I: Formulation and simulation characteristics. J Climate 19:643-674. doi:10.1175/JCLI3629.1 

  6. Dunne JP, Armstrong RA, Gnanadesikan A, Sarmiento JL (2005) Empirical and mechanistic models for the particle export ratio. Global Biogeochem Cy 19:GB4026. doi: 10.1029/2004GB002390 

  7. Dunne JP, Gnanadesikan A, Sarmiento JL, Slater RD (2010) Technical description of the prototype version (v0) of Tracers Of Phytoplankton with Allometric Zooplankton (TOPAZ) ocean biogeochemical model as used in the Princeton IFMIP model. Biogeosci Disc 6:10381-10446 supplement 

  8. Gnanadesikan A, Dixon KW, Griffies SM, Balaji V, Barreiro M, Beesley JA, Cooke WF, Delworth TL, Gerdes R, Harrison MJ, Held IM, Hurlin WJ, Lee HC, Liang Z, Nong G, Pacanowsky RC, Rosati A, Russell J, Samuels BL, Song Q, Spelman MJ, Stouffer RJ, Sweeney CO, Vecchi G, Winton M, Wittenberg AT, Zeng F, Zhang R, Dunne JP (2006) GFDL's CM2 Global Coupled Climate Models. Part II: the baseline ocean simulation. J Climate 19:675-697. doi:10.1175/JC LI3630.1 

  9. Hill DK (1995) Pacific warming unsettles ecosystems. Science 267:1911-1912 

  10. Hoegh-Guldberg O, Bruno, JF (2010)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World's Marine Ecosystems. Science 328:1523-1528. doi:10.1126/science.1189930 

  11. Ito A, Kawamiya M (2010) Potential impact of ocean ecosystem changes due to global warming on marine organic carbon aerosols. Global Biogeochem Cy 24: GB1012. doi:10.1029/2009GB003559 

  12. Keller AA, Klein-MacPhee G (2000) Impact of elevated temperature on the growth, survival, and trophic dynamics of winter flounder larvae: a mesocosm study. Can J Fish Aquat Sci 57:2382-2392 

  13. Sarmiento JL, Slater RD, Junne J, Gnanadesikan A, Hiscock MR (2010) Efficiency of small scale carbon mitigation by patch iron fertilization. Biogeosciences 7:3593-3624 

  14. Walther GR, Post E, Convey P, Menzel A, Parmesan C, Beebee TJC, Fromentin TM, Hoegh-Guldberg O, Bairlein F (2002) Ecological responses to recent climate change. Nature 416:389-39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