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요인을 이용한 제주도 토양예측의 정량적 연구
Quantitative Approach of Soil Prediction using Environment Factors in Jeju Island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5 no.3, 2012년, pp.360 - 369  

문경환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  서형호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  송관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손연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현해남 (제주대학교 생물자원산업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토양의 생성에는 모재, 기후, 지형, 생물요인, 시간 등의 5가지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고 알려져 왔다. 이 연구는 제주도 토양을 대상으로 환경요인만으로 토양통을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정량적인 분석 방법을 이용해 환경요인과 토양분포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한 환경요인으로는 온도, 강수량, 지표지질, 해발고도, 경사도, 경사향, 주변과의 고도차, 지형습윤지수, 해안으로부터의 거리, 산정상으로부터의 거리, 토지이용현황을 선택하였다. 토양통별로 각각의 환경요인의 평균과 표준편차 또는 면적비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토양통이 분포할 수 있는 환경요인의 범위와 확률을 구하였다. 환경요인별 확률을 결합시켜 분포 가능한 토양통의 순위를 제시하는 알고리즘을 작성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토양통을 예측한 결과 1순위 내에 33%, 2순위 내에 62%, 5순위 내에 74%를 정확하게 기존의 토양도와 일치시킬 수 있었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주 전 지역의 환경요인을 이용하여 예측되는 토양도를 토양목, 대군 등으로 분류하 여 나타낸 결과 북부 해안가에 Entisols이 분포하고 해발고도가 높아지면서 Alfisols, Andisols이 나타난 반면, 서부지역에서는 해안가의 Alfisols에서 해발고도가 높아지면서 Ultisols, Andisols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어, 토양의 생성과 관련되어 모형을 이용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arent material, climate, topography, biological factors, and time are considered five soil forming facto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effects of several environment factors on soil distribution using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called soil series estimation algorithm in the soil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제주도에 분포하는 토양을 대상으로 공간분석기술을 이용하여 생성에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환경요인들과 토양분포가 어떠한 관계가 있는 지를 정량적으로 구명하고, 이로부터 분포될 수 있는 토양통을 확률적으로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제주도 토양의 생성과 앞으로의 변화를 이해하고자 수행되었다.
  • 토양의 생성에는 모재, 기후, 지형, 생물요인, 시간 등의 5가지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고 알려져 왔다. 이 연구는 제주도토양을 대상으로 환경요인만으로 토양통을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정량적인 분석 방법을 이용해 환경요인과 토양분포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한 환경요인으로는 온도, 강수량, 지표지질, 해발고도, 경사도, 경사향, 주변과의 고도차, 지형습윤지수, 해안으로부터의 거리, 산 정상으로부터의 거리, 토지이용현황을 선택하였다.

가설 설정

  • 출현이 기대되는 토양통은 여러 가지 환경 요인들의 범위와 기대확률에 따라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인 토양통 예측 알고리즘에서는 각각의 환경요인에 따른 기대되는 토양통의 확률들은 동일하다고 가정하여, 각각의 환경 요인별 기대확률을 모두 곱하여 이 중 가장 값이 높은 순으로 토양통의 출현가능성이 크다고 간주하였다.
  • 토양생성요인으로 알려진 기후, 모재, 지형, 식생 (생물요인), 시간요인을 정량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각 요인에 해당하는 항목들을 구체화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기후요인으로는 연평균기온, 강수량, 모재요인으로는 지표지질, 지형요인으로는 해발고도, 경사도, 경사향, 주변 지역과의 고도차이, 지형습윤지수, 해안으로부터의 거리, 한라산 정상으로부터의 거리, 식생요인으로는 토지이용형태 등을 이용하였으며, 시간요인은 지표지질에 반영이 되어있다고 가정하여 구체화시키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양의 생성에 작용하는 5가지 요인은? 토양의 생성에는 모재, 기후, 지형, 생물요인, 시간 등의 5가지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고 알려져 왔다. 이 연구는 제주도 토양을 대상으로 환경요인만으로 토양통을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정량적인 분석 방법을 이용해 환경요인과 토양분포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토양생성의 기후요인으로 이용한 것은? 토양생성요인으로 알려진 기후, 모재, 지형, 식생 (생물요인), 시간요인을 정량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각 요인에 해당하는 항목들을 구체화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기후요인으로는 연평균기온, 강수량, 모재요인으로는 지표지질, 지형요인으로는 해발고도, 경사도, 경사향, 주변 지역과의 고도차이, 지형습윤지수, 해안으로부터의 거리, 한라산 정상으로부터의 거리, 식생요인으로는 토지이용형태 등을 이용하였으며, 시간요인은 지표지질에 반영이 되어있다고 가정하여 구체화시키지 않았다.
제주도 토양의 발달에 하천에 의한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실제 이유는? 7이었으나, 대부분의 토양통 평균값은 10∼13의 범위에 있어, 제주도 토양의 발달에는 하천이 흐름에 의한 차이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실제로 제주지역에 분포하는 대부분의 하천은 평시에는 물 흐름이 없다가 강우 시에만 홍수가 발생하는 건천이 많이 분포하고 있어, 토양의 발달에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arre, F., A.B. McBratney, T. Mayr, and L. Montanarella. 2007. Digital soil assessments: Beyond DSM. Geoderma 142:69-79. 

  2. Chae, S.S. and D.T. Lee. 1972. Studies on the genesis and classification of volcanic black soil in Chejudo. Res. Rep. Office Rural Devel. 14:27-38. 

  3. Dahlgren, R.A. 1997. Soil development along an elevational transect in the western Sierra Nevada, California. Geoderma 78:207. 

  4. Hong, S.Y., Y.S. Zhang, B.K. Hyun, Y.K. Sonn, Y.H. Kim, S.J. Jung, C.W. Park, K. C. Song, B.C. Jang, and E.Y. Choe. 2009 An introduction of Korean soil information system. Korean J. Soil Sci. Fert. 42(1):21-28. 

  5. Hyun, B.K, Y.T. Jung, G.S. Hyun, K.H. Moon, K.C. Song, Y.K. Sonn, Y.S. Zhang, C.W. Park, S.Y. Hong, and L.H. Kim. 2009. A study on the lava terraces with different elevation in Jeju. Korean J. Soil Sci. Fert. 42(2):88-97. 

  6. Moon, K.H., H.C. Lim, and H.N. Hyun. 2007. Distribution of soil series in Jeju Island by proximity and altitude. Korean J. Soil Sci. Fert. 40(3):221-228. 

  7. Moon, K.H., H.C. Lim, and H.N. Hyun. 2010.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 and Alo+1/2Feo contents in soils using principalcompon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Jeju Island. Korean J. Soil Sci. Fert. 43(5):626-632. 

  8. Peterson, G.A., I.D. Moore, G.A. Nielsen, and P.E. Gessler. 1993. Soil attribute prediction using terrain analysis. Soil Sci. Soc. Am. J. 57:443-452. 

  9. Shoji, S., M. Nanzyo, and R. Dahlgren. 1993. Volcanic ash soils: genesis, properties, and utilization. Elsevier Science. 

  10. Soil Survey Staff, USA. 2006. Keys to soil taxonomy. 

  11. Song, K.C. and S.H. Yoo. 1994. Andic properties of major soils in Cheju island (3). Conditions for formation of allophane. Korean J. Soil Sci. Fert. 27(3):149-157. 

  12. Won, J.H., J.W. Kim, G.W. Koh, and J.Y. Lee. 2005. Evaluation of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in Jeju Island, Korea. Geo. J. 9:33-4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