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척지 토양특성에 알맞은 사료작물 작부체계 연구
Study on Forage Cropping System Adapted to Soil Characteristics in Reclaimed Tidal Land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5 no.3, 2012년, pp.385 - 392  

양창휴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이장희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김선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정재혁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백남현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최원영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이상복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김영두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김시주 (국립식량과학원) ,  이경보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새만금간척지 광활 및 계화지구 신간척지에서 조사료의 안정생산을 위한 적정 작부체계를 설정코자 2009년 10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수행하였다. 동계 사료작물로 청보리 (영양), 호밀 (곡우),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passerel plus)와 하계 사료작물로 옥수수 (광평옥), 수수${\times}$수단그라스 (G7)를 재배하여 토양화학성, 양분흡수량, 사료가치, 생육 및 수량성을 검토하였다. 시험전 토양은 유기물, 유효인산 및 치환성칼슘 함량이 매우 적었고 치환성마그네슘 나트륨 함량이 많은 알칼리성 염류토양 이었다. 재배기간 동안 토양염농도 변화는 0.2%이하를 나타냈고 염피해는 없었다. 동계 사료작물 입모율은 호밀 > 청보리 >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순으로 양호하였고 생초 및 건물수량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 호밀 > 청보리 순으로 높았다. 조단백 함량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 청보리 > 호밀 순으로 총가소화영양 함량은 청보리 >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 호 밀 순으로 많은 경향을 나타냈다. 하계 사료작물 조단백질 및 중성용매불용성섬유, 산성용매불용성섬유 함량은 수수${\times}$수단그라스에서 총가소화영양 함량은 옥수수에서 높았다. 동 하계 사료작물 경엽 및 곡실의 무기양분 함량은 이탈리안 라이 그라스와 옥수수에서 높았다. 시험 후 토양화학성은 pH가 낮아지고 총질소 및 유효인산, 치환성칼륨.칼슘 함량이 증가한 반면에 유기물, 치환성마그네슘 나트륨 함량이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동작물과 하작물을 연계한 수량성 ('10~'11)에서 생초수량은 청보리 - 옥수수 (74,740 kg $ha^{-1}$) 대비 IRG - 수수${\times}$수단그라스 10%, IRG - 옥수수 7%, 호밀 - 수수${\times}$수단그라스 6%, 호밀 - 옥수수 및 청보리 - 수수${\times}$수단그라스 3% 증수되었고 건물수량은 청보리 - 옥수수 (20,280 kg $ha^{-1}$) 대비 IRG - 수수${\times}$수단그라스 7%, 호밀 - 수수${\times}$수단그라스 6%, IRG - 옥수수 3%, 청보리 - 수수${\times}$수단그라스 3%, 호밀 - 옥수수 3% 증수되었으며 TDN수량은 청보리 - 옥수수 (13,830 kg $ha^{-1}$) 대비 IRG - 수수${\times}$수단그라스 2%, 청보리 - 수수${\times}$수단그라스 및 IRG - 옥수수 1% 증수되었다. 따라서 생초, 건물수량 및 TDN수량이 높은 "IRG - 수수${\times}$수단그라스" 및 "청보리 - 수수${\times}$수단그라스" 조합을 신간척지 토양특성 (사양토, 배수약간불량, 토양염농도 0.2% 이하)에 알맞은 사료작물 작부조합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optimum cropping system for the stable production of forage crops in the newly reclaimed land located at Gwanghwal and Gyehwa region of Saemangum reclaimed tide land from October, 2009 to October, 2011. Whole crop barley (WCB), Rye, Italyan-ryegrass (IRG) 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시험은 신간척지인 새만금간척지에서 동・하계 사료작물 연계 재배시 토양특성 (토성, 염농도, 배수정도 등)에 알맞은 작부조합 및 생산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계작물의 출수기는 무엇이 가장 빠르고 무엇이 가장 늦었나요? 동계작물의 출수기는 호밀이 가장 빠르고 총체보리가 가장 늦었다. 초장은 호밀 >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 청보리 순으로 길었고, 수수는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 호밀 > 청보리 순으로 많았으며 수량성에 있어서 생초수량과 건물수량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 호밀 > 청보리 순으로 높았다 (Table 5).
간척지토양은 일반 토양에 비해 어떠한 문제점이 있나요? pH가 낮아지고 총질소 및 유효인산, 치환성칼륨・칼슘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유기물, 치환성마그네슘・나트륨 함량이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간척지토양은 일반 토양에 비해 자연 비옥도가 낮고 염농도가 높아 작물에 대한 수분의 이용도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양분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작물의 발아 및 생장에 악영향을 미쳐 생산량을 저해시킨다.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양분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는 종합적인 토양관리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토양화학성은 어떠한 경향을 나타내었나요? 시험 후 토양화학성은 Table 10과 같다. pH가 낮아지고 총질소 및 유효인산, 치환성칼륨・칼슘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유기물, 치환성마그네슘・나트륨 함량이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간척지토양은 일반 토양에 비해 자연 비옥도가 낮고 염농도가 높아 작물에 대한 수분의 이용도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양분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작물의 발아 및 생장에 악영향을 미쳐 생산량을 저해시킨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2. Choi, K.C., M.W. Jung, N.C. Cho, H.S. Park, S.H. Yoon, J.G. Kim, C.E. Song, E.M. Choi, C.M. Kim, and Y.C. Kim. 2011. Effect of application of swine slurry on productivity of sorghum ${\times}$ sorghum hybrid and soil environment in reclaimed land. Korean J. Grassl, Forage Sci. 31:159-166. 

  3. Choung, J.I. and S.J. Yoo. 1986. The study on selection of winter crop in reclaimed tideland. Report of National Honam Crop Experiment Station, PP 647-649, RDA, Gyehwa, Korea. 

  4. Goe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USDA Agric. Handbook No. 379, USDA. Washington, DC. 

  5. Kim, D.A. 1986. A method of cultivation and characteristics on forage crops. Seonjin munhwasa, Seoul, Korea. 

  6. Kim, J.G. and M.S. Han. 1990. Effects of sand mulching on forage production in newly reclaimed tidal lands II. Studies on growth, dry matter accumulation and nutrient quality of selected forage crops grown on saline soils. Korean J. Grassl Sci. 10:77-83. 

  7. Kim, W.H., J.S. Shin, Y.C. Lim, S. Seo, K.Y. Kim, and J.K, Lee. 2005. Study on the promising double cropping system of summer and winter forage crop in paddy field. Korean J. Grassl Sci. 25:233-238. 

  8. Lee, D.B., G.M. Shim, H.G. Park, B.I. Goo, and J.K. Ko. 2009. Development strategy on reclamation agriculture corresponding of climate change. J. Soc. Agr. Res. on Reclaimed Lands 7: 18-32. 

  9. Lee, S.H. 2006. Plant taxonomic approach and soil salinity class for evaluation of crop salt tolerance in reclaimed tidelands. Ph. D.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0. MIFAFF. 2010. Outlook of Agriculture.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11. MIFAFF. 2011. Production measures on crude feed.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12. NIAST. 2000. Analytical methods of soil and plant.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Suwon, Korea. 

  13. NLRI. 2002. The standard feed elements table in Korea.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Cheonan, Korea. 

  14. RDA. 2003. Standard of analysis and survey for agricultural research.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15. RRI. 1998. Development of cultivation techniques for upland crops in the reclaimed land. Res. Rpt. Rural Research Institute. pp 90-116, Korea Rural Community & Agriculture Corporation. 

  16. RRI. 2006. Agricultural complex development for upland & horticultural crops in the Seamangeum reclaimed farmland. Res. Rpt. Rural Research Institute. pp 1-504, Korea Rural Community & Agriculture Corporation. 

  17. RRI. 2007. Development method of the future agriculture complex in reclaimed land. Res. Rpt. Rural Research Institute. pp 1-400, Korea Rural Community & Agriculture Corporation. 

  18. Shin, J.S., W.H. Kim, S.H. Lee, S.H. Yoon, E.S. Chung, and Y.C. Lim. 2004. Comparison of dry matter and feed value of major summer forage crops in the reclaimed tidal land. Korean J. Grassl Sci. 24:335-340. 

  19. Shin, J.S., S.H. Lee, W.H. Kim, S.H. Yoon, J.G. Kim, and J.W. Nam. 2005a. Comparison of dry matter and feed value of major winter forage crops in the reclaimed tidal land. Korean J. Grassl Sci. 25:113-118. 

  20. Shin, J.S., S.H. Lee, W.H. Kim, J.G. Kim, S.H. Yoon, and K.B. Lim. 2005b. Effects of ammonium sulfate and potassium sulfate fertilizer on dry matter yield and forage quality of sorghum ${\times}$ sudangrass hybrid in reclaimed tidal land. Korean J. Grassl Sci. 25:245-250. 

  21. Shin, J.S., W.H. Kim, S.H. Lee, and Y.C. Lim. 2006. Effects of urea and ammonium sulfate application on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whole crop barley in reclaimed tideland. Korean J. Grassl Sci. 26:25-30. 

  22. Shin, J.S., W.H. Kim, S.H. Yoon, and S. Seo. 2007. Study on optimum forage cropping system in reclaimed tidal land. Korean J. Grassl Sci. 27:117-122. 

  23. Sohn, Y.M., G.Y. Jeon, J.D. Song, J.H. Lee, and M.E. Park. 2009. Effect of soil salinity variation on the growth of barley, rye and oat seeded at the newly reclaimed tidal lands in Korea. Korean J. Soil Sci. Fert. 42:415-422. 

  24. Stoneberg, E.C., Schaller, F.W., Hull, D.O., Meyer, V.M., Wickersham, T., Geasler, M.R., and Nelson, D.K. 1974. Silage production and use. Iowa. State Univ. Ext. p. 411-417. 

  25. Yoo, S.H. and M.E. Park. 2004. Proposal of land-use planing for agricultural use of the Saemangeum reclaimed land. J. Soc. Agr. Res. on Reclaimed Lands 2: 68-91. 

  26. Yoon, S.H., J.G. Kim, E.S. Jeong, and S.H. Sung. 2007. The study on double cropping system for organic forage production in middle part of Korea. Korean J. Grassl Sci. 27:275-280. 

  27. Yoon, S.H., J.G. Kim, E.S. Jeong, and Y.C. Lim. 2008. The study on double cropping system for organic forage production in southern region of Korea. Korean J. Grassl Sci. 28:315-32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