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낮과 밤의 순환에 대한 유아의 과학적 개념 발달 연구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Concepts on the Day-Night Cycle of Young Children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3 no.3, 2012년, pp.131 - 148  

김은정 (제주국제대학교 유아교육과) ,  신은수 (덕성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scientific concept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in terms of the day-night cycle. The subjects consisted of 180 three-, four-, and five-year-old children from two kindergartens and one children's center located in Seoul and Jeju.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아들이 매일 경험하는 현상이지만 경험적 직관과 관찰로는 과학적 개념을 형성할 수 없는 낮과 밤의 순환에 대한 만 3, 4, 5세유아의 과학적 개념의 발달을 살펴보고, 발달수준에 적합한 천문학의 내용 및 활동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이 매일 경험하는 현상이지만 경험적 직관과 관찰로는 과학적 개념을 형성할 수 없는 낮과 밤의 순환에 대한 만 3, 4, 5세 유아의 과학적 개념의 발달을 살펴보고, 유아수준에 적합한 천문학의 내용 및 활동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에게 낮과 밤의 순환은 어떠한 현상인가? 해, 달, 별과 같은 천체나 낮과 밤의 순환은 유아가 매일 경험하는 자연현상이고 신기한 호기심을 유발시키는 현상이다. 유아는 주변의 자연 현상에 대하여 초기에는 일상생활 속에서 이루어지는 개인적인 경험 및 직접적인 관찰에 의한 정보에 의존하여 인식하다가 점차 부모나 교사가 제공하는 설명이나 다양한 책과 미디어 자료 등을 통한 정보를 통하여 초기의 개념을 변화 시키며 지식을 구성해간다(Kikas, 2005, 2010; Vosniadou, 2007).
유아는 어떻게 초기의 개념을 변화시키며 지식을 구성해나가는가? 해, 달, 별과 같은 천체나 낮과 밤의 순환은 유아가 매일 경험하는 자연현상이고 신기한 호기심을 유발시키는 현상이다. 유아는 주변의 자연 현상에 대하여 초기에는 일상생활 속에서 이루어지는 개인적인 경험 및 직접적인 관찰에 의한 정보에 의존하여 인식하다가 점차 부모나 교사가 제공하는 설명이나 다양한 책과 미디어 자료 등을 통한 정보를 통하여 초기의 개념을 변화 시키며 지식을 구성해간다(Kikas, 2005, 2010; Vosniadou, 2007).
유아에게 과학적 개념을 형성하기 위하여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은 무엇인가? 낮과 밤의 순환 현상은 유아가 매일 경험하지만 경험적인 직관과 관찰만으로는 과학적 개념을 형성할 수 없는 추상적인 개념이다. 따라서 일상적 경험에서 지각된 초기의 개념이 외부에서 제공되는 과학적 개념과 만나 내면적으로 구성되는 과정에서 어떠한 갈등이 생기고 어떻게 개념이 구성되어 가는지에 대해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전조작기 유아의 경우 이러한 비과학적 개념을 오개념으로 인식하기보다는 대안적 개념으로 수용하여 교육의 출발점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axter, J. (1989). Children's understanding of familiar astronomical ev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1, 502-513. 

  2. Brown, A., Campione, J., Metz, K., & Ash, D. (1997). The development of science, learning ability in children. In K. Harnqvist & A. Burgen (Eds.). Growing up with science:Developing early understanding of science (pp. 7-40). London :Academia European. 

  3. Chung C. H., Back, K. M., & Kim, M. J. (2009). Young children's knowledge of the earth and changes in that knowledge after they engage in earth information activities based on a constructivist approach.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9(4), 73-96. 

  4. Flavell, J. H., Miller, P., & Miller, S. A. (2002). Cognitive development, 4th Edition, published by pearson Education, Inc, published as Prentice Hall. 정명숙 역(2003). 인지발달. 서울:시그마 프레스. 

  5. Frede, V., Nobes, G., Frappart, S., Panagiotaki, G., Troadec, B., & Martin, A. (2011). The acquisition of scientific knowledge:The influence of methods of questioning and analysis on the interpretation of children's conceptions of the Earth.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20, 432-448. 

  6. Gelman, R., & Brenneman, K. (2004). Science learning pathways for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9, 150-158. 

  7. Ha, O. S., & Lee, Y. B. (1997). Study on the conceptual type of elementary students concerning on the Earth's rotatio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6(1), 103-122. 

  8. Hannust, T., & Kikas, E. (2007). Children's knowledge of astronomy and its change in the course of learning.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2, 89-104. 

  9. Jang, T. H. (1995). The children's conceptions on the motion of the Earth and Mo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10. Kikas, E. (2005).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knowledge:The sky, the earth and the sun in children's explanations. http:///www.folklore.ee/folklore/vol31/kikas.pdf, 31-56. 

  11. Kikas, E. (2010). Children's thinking:Clouds, rain, and rainbow in children's explanations. http://www.folklore.ee/folklore/vol44/kikas.pdf, 113-130. 

  12. Kim, S. G. (2007). A study on the analysis of scientific misconception in early young children.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48, 59-83. 

  13. Kim, S. Y., & Lee, J. H. (2001). Young children's conceptions of the earth's shape.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8(2), 47-73. 

  14. Nobes, G., Moore, D., Martin, A., Clifford, B., Butterworth, G., Panagiotaki, G., & Siegal, M. (2003).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earth in a multicultural community:Mental models or fragments of knowledge? Developmental Science, 6(1), 74-87. 

  15. Nobes, G., Martin, A. E., & Panagiotaki, G. (2005).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knowledge of the Earth.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3, 47-66. 

  16. Nobes, G., & Panagiotaki, G. (2007). Adults' representations of the Earth:Implications for children's acquisition of scientific concept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8, 645-665. 

  17. Nobes, G., & Panagiotaki, G. (2009). Mental models or methodological artefacts? Adults' 'naive' responses to a test of children's conceptions of the earth.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100, 347-363. 

  18. Piaget, J. (1931). The child's concetion of physical casuality. NY:Harcourt Brace. 

  19. Piaget, J. (1950). The child's concetion of the world. Totowa, NJ:Littlefield, Adams & Co. 

  20. Samarapungavan, A., Vosniadou, S., & Brewer, W. (1996). Mental models of the earth, sun and moon:Indian children's cosmologies. Cognitive Development, 11, 491-521. 

  21. Schoultz, J., Saljo, R., & Wyndhamn, J. (2001). Heavenly talk:Discourse, artefacts, and children's understanding of elementary astronomy. Human Development, 44, 103-118. 

  22. Schwarz, B. B., Schur, Y., Pensso, H., & Tayer, N. (2011). Perspective taking and synchronous argumentation for learning the day/night cycle.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6, 113-138. 

  23. Siegal, M., Nobes, G., & Panagiotaki, G. (2011). Children's knowledge of the Earth. Nature Geoscience, 4, 134-136. 

  24. Trumper, R. (2001). A cross age study of senior high school student's conception of basic astronomy concepts.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19, 97-107. 

  25. Valanides, N., Gritsi, F., Kampeza, M., & Ravanis, K. (2000). Changing preschool children's conceptions of the day/night cycle.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Years Education, 8(1), 27-39. 

  26. Vosniadou, S. (2007). Conceptual change and education. Human Development, 50, 47-54. 

  27. Vosniadou, S., & Brewer, W. F. (1989). The concept of the earth's shape:A study of conceptual change in childhood (Tech. Rep. No. 467). Urbana-Champaign:University of Illinois, Center for the Study of Reading. 

  28. Vosniadou, S., & Brewer, W. F. (1990). Across-cultural investigation of children's conceptions about the earth, the sun, and the moon: Greek and American data (Tech. Rep. No. 497). Urbana-Champaign:University of Illinois, Center for the Study of Reading. 

  29. Vosniadou, S., & Brewer, W. F. (1992). Mental models of the earth:A study of conceptual change in childhood. Cognitive Psychology, 24, 535-585. 

  30. Vosniadou, S., & Brewer, W. F. (1994). Mental models of the day/night cycle. Cognitive Science, 18, 123-183. 

  31. Vosniadou, S., Skopeliti, I., & Ikospentaki, K. (2004). Modes of knowing and ways of reasoning in elementary astronomy. Cognitive Development, 19, 203-222. 

  32. Yun, J. H., & Nah, K. O. (2008). Analysis of the conceptual content of Earth and Space in the teaching materials for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8(5), 57-76. 

  33. Yun, J. H., & Nah, K. O. (2010). Analysis of science teaching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contents system about Earth and Space of Kindergarten curriculum.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7(1), 39-52. 

  34. Yun, J. H., & Nah, K. O. (2011). The system development of contents about earth and space based on analysis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ience teaching material.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8(1), 117-1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