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8세기 서화유물 배접지의 특성(제1보) - 배접지의 원지 특성 및 해부학적 특성 -
Characteristics of the Lining Papers Separated from the 18th Century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Part 1) - Physical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Lining Papers - 원문보기

펄프 종이기술 = Journal of Korea TAPPI, v.44 no.3, 2012년, pp.22 - 33  

정희원 (국립고궁박물관) ,  이상현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목재.종이과학과) ,  천주현 (국립중앙박물관) ,  최태호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목재.종이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ning papers which had been separated from six pieces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of the 18th and the 20th century. A total 20 kinds of lining papers were examined on the physical properties, colors, fiber morphology,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18세기의 서화유물 중 족자형태의 유물 2점과 첩 형태의 유물 3점에서 분리해 낸 배접지를 분석하였고, 19세기에서 20세기에 제작된 첩 형태의 서화유물에서 분리해 낸 배접지를 대조구로 종이의 기본 물성과 해부학적 특성을 비교 고찰하였다.
  • 서화유물의 보존처리 시 옛 배접지는 손상이 심한 경우, 분리해내고 새로운 배접지로 교체하여 다시 서화유물을 보강하고 장황하게 되는데, 특성상 파괴분석이 불가능한 여타의 지류유물과는 달리 이렇게 분리해 낸 배 접지는 그 시대의 종이 특성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파괴 분석이 가능한 시료이다. 즉, 이러한 배접지를 연구함으로써 유물에 행할 수 없었던 여러 가지 분석을 시행할 수 있고, 그만큼 그 시대 종이의 정보와 특성들을 세밀하게 알아낼 수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정보들은 그 종이의 특성과 제작 방법을 밝혀낼 수 있고 나아가 고문헌에 등재되어 있는 여러 종이의 명칭과 비교해 봄으로써 옛 종이의 재현에 관련된 특성들을 밝혀낼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종이는 언제 발명되었는가? 종이는 기원전 2세기경에 발명되고 105년 채륜이 종이를 개량한 후1-3) 우리나라에 종이와 제지술이 전래된 시기는 2세기부터 늦어도 불교가 전해진 4세기 사이였을 것으로 알려진다. 또한, 우리나라의 제지술은 초기에 중국의 기술을 모방하였으나, 7세기 초 이후에는 우리의 환경조건과 기호에 적당한 원료와 제법을 택하여 현재까지 내려오고 있다.
종이는 무엇에 따라 분류되는가? 이후 고려 중엽까지는 주로 닥나무 섬유를 이용하여 종이를 제조하였으나, 조선조에 들어서면서 닥나무 섬유 외에 다양한 식물섬유를 혼합하여 제조하게 되었다. 닥섬유 외의 원료 사용과 더불어 종이의 명칭도 다양해졌으며, 이 외에도 종이의 두께, 크기, 색상, 용도, 가공방법 등에 따라 분류되었다.5)
18세기 서화 유물의 배접지의 특성 연구 결과는? 1. 족자 형식의 배접에 사용된 한지는 첩 형식에 사용된 배접지보다 평량과 두께가 높았다. 이것은 말고 펴는 족자의 특성에 맞게 얇은 한지를 사용하거나, 배접 시 여러 번 두드려서 유연성을 부여하는 현재의 방법과는 상반되는 특징이다. 2. 종이 바탕과 비단 바탕의 첫 번째 배접지의 물성을 비교했을 때, 비단 바탕의 첫 번째 배접지의 평량 및 두께가 종이 바탕의 첫 번째 배접지에 비해 낮았다. 이것은 비단 바탕의 경우 배접 후 본문과 배접지간의 수축 팽창에 의한 이격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3. 배접지의 색상 분석결과 모든 배접지가 미표백 전통한지 고유의 색상인 Y및 YR계열의 색상을 나타냈다. 배접지의 반사율 측정결과 외부에 노출되는 최종 배접지의 색상이 짙은 것은 오염 및 열화에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내부 배접지의 색상이 진한 것은 본문 염료의 전이, 원지 자체의 색상, 또는 목재 펄프의 혼합으로 인한 변색에 기인된 것이라 판단된다. 4. 18세기 서화유물에 사용된 배접지 모두 닥나무 인피섬유의 특징인 횡문, 투명막 및 섬유 왜곡이 관찰되어 닥나무 인피섬유만으로 초지한 한지로 나타났으며, 19세기의 묵죽도 첫 번째 배접지는 닥나무 인피섬유뿐만 아니라 초본류와 침엽수 펄프를 혼합하여 제조한 한지가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5. 섬유의 C stain, Herzberg stain 및 Wilson's stain 정색반응 관찰 결과, 묵죽도 첫 번째 배접지를 제외한 모든 시료가 닥나무 인피섬유의 전형적인 정색반응을 나타냈으며, 묵죽도 첫 번째 배접지에서는 침엽수 화학펄프의 정색반응을 관찰할 수 있었다. 6. 유물 배접에 사용된 한지의 섬유장은 3 mm대의 짧은 섬유에서 9 mm대의 장섬유까지 유물 간 큰 편차를보였으며, 특히 묵죽도 첫 번째 배접지에는 섬유장이 짧은 침엽수 펄프가 혼합 된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潘吉星, 중국제지기술사, 도서출판 광일문화사, 서울, pp. 34-48 (2002). 

  2. 日本.紙アカデミ?, 紙の道 -原流から未來まで-, 株式會社わかみ堂, 東京, pp. 14-20 (1996). 

  3. 錢在訓, 中國の紙と印刷の文化史, 法政大學出版局, 東京, pp. 2-4 (2007). 

  4. 정선영, 종이의 전래시기와 고대 제지기술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5. 손계영, 조선시대 문서지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 논문 (2005). 

  6. 김경미, 박윤희, 조선왕실의 장황, 꾸밈과 갖춤의 예술 장황, pp. 146-165 (2008). 

  7. 조흥윤, 한국장황사료(I), 동방학지 57, pp. 177-195 (1988). 

  8. 이진희, 조선후기 서화 장황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9. 안희균, 김기연, 표구의 과학, 보존과학연구 9, pp. 219-224 (1988). 

  10. 천주현, 배접지에 사용된 종이에 관한 연구, 제3회 동아시아 종이문화재보존 심포지엄, pp. 327-356 (2008). 

  11. 紙パルプ技術協會, 紙パルプの種類とその試驗法, 紙パルプ技術協會, 東京, pp. 36-51 (1983). 

  12. T. E. Timell ed., Fiber Atlas, Identification of Papermaking Fibers, Springer-Verlag, Berlin, pp. 292-304 (1995). 

  13. 이상현, 고문헌 출전한지의 원료섬유 식별,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4. Yong-Hyeon Yoon, Seung-Cheol Lee, and Tae-Ho Choi, Characteristics of the Hanji for Movale Types Printing Volume of the Joseon Dynasty (Part 1), -Physical and Anatomical Properties of the Hanji-, J. Korea TAPPI 43(1): 47-56 (2011). 

  15. 국립중앙과학관, 전통한지 제조기술의 수월성 분석 및 특화 기술 개발, -원형 구현을 통한 한지 제품의 명품화- 결과보고서: 3-102 (2007). 

  16. Tae-Ho Choi and Nam-Seok Cho, New Korean Traditional Papermaking from Paper Mulberry(I) -Pulping Characteristics of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J. Korea TAPPI 28(1): 49-59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