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생충의 보조숙주로서의 한국산 연체동물 감염 실태: 기후변화에서 병원체 전파의 영향에 대한 고찰
Korean molluscs as auxiliary hosts for parasites: A study of implications for pathogen transmission in a changing climate 원문보기

한국패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28 no.1, 2012년, pp.13 - 19  

박갑만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환경의생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산 연체동물의 감염 병원체의 실태와 한반도 기후변화에 따른 질병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연구 보고된 문헌을 고찰하였다. 야생동물은 인체에 기생하는 인수공통전염병 기생충에 대한 중간숙주, 보유숙주 및 연체숙주로 제공되고 있다. 흡충류는 연체동물의 흔한 기생충이며 거의 모든 흡충류는 그들의 생활사에서 1차숙주로서 패류에 감염되며, 대부분은 또 다른 숙주를 포함하는 복잡한 생활사를 가지고 있다. 지금까지 기생충의 생태학에 대한 보조숙주로서의 중요성은 논의된 바 없다. 최근에 기후변화의 관점에서 많은 기생성 질병이 역학적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한국산 연체동물을 대상으로 연구 보고된 문헌을 중심으로 기생성 병원체를 가진 종들을 조사 한 결과 전체 21종의 패류가 매개 기생체를 가지며, 이들 패류 21종이 가지고 있는 병원체는 모두 39종류로 확인되었다. 이 중 담수패류가 15종 그리고 해산패류에서 6종으로 나타났다. 담수패류 중 다슬기과의 다슬기 (Semisulcospira livertina) 에서 페흡충, 요코가와흡충, 가시입이형흡충 등 가장 많은 11종류의 기생성 병원체를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쇠우렁이 (Parafossarulus manchouricus) 에서는 간흡충, 동양배반흡충, 메기장흡충, 오리오목흡충, 일본극구흡충 등 11종류, 다슬기류 (Semisulcospira sp.) 에서는 폐흡충, 요코가와흡충, 가시입이형흡충 등 10종류, 염주알다슬기(Koreanomelania globus) 에서는 메기소식흡충 등 7종류, 바지락 (Tapes philippinarum) 에서는 Cercariae tapidis 등 3 종류 그리고 나머지 패류에서 1-2 종류의 기생성 병원체를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앞으로 홍수나 가뭄과 같은 극심한 기후변화가 일어난다면 담수패류는 기생성 매개자로서의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termine the status of Korean molluscs infection and relation with climate change of Korean peninsula, references were reviewed. Wild animals serve as intermediate, reservoirs and paratenic hosts to zoonotic parasites of human beings. Trematode are common parasites of molluscs and almost all t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 야생동물 중 연체동물을 대상으로 각종에서 매개 및 병원체를 지금까지 연구·보고된 문헌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나아가 기후변화로 인한 온난화가 진행되면 야생동물 및 인수 공통전염병의 질병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어 연체동물 매개 질환을 유발하는 모든 종들을 조사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자연계에서 흡충류 기생충 질환 및 인수공통전염병의 매개체나 종 숙주로서 중요한 위치에 있는 패류를 대상으로 전세계적으로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보고된 문헌을 중심으로 앞으로 우리나라의 기후가 아열대성으로 바뀔 때 질병 변화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산 연체동물의 감염 병원체의 실태와 한반도 기후변화에 따른 질병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연구·보고된 문헌을 고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야생동물 중 연체동물에 기생하는 패류 매개성 기생충을 대상으로 현재까지 연구·보고된 문헌을 조사하여 각종 패류내에 기생하는 병원체들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일어나고 있는 기후변화 즉 온난화와 관련하여 병원체들의 전파에 어떤 영향을 받을 것인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매개체를 통한 질병들은 무엇에 의해 발생하는가? 최근에 우리나라에서 급격한 기후 변화는 질병의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매개체를 통한 질병들은 자연생태계 내에서 숙주와 매개체 및 병원체간에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며 이러한 상호작용은 각각 종들의 생활환경의 변화 즉 기후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장재 연과 조승헌, 2003).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는 전 세계적으로 홍수문제와 더불어 가뭄현상을 초래하게 되며 이러한 현상은 곧 야생동물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나아가 야생동물의 서식지 변화 및 생물다양성 감소 등 생태계의 변화를 초래하게 된다.
지구온난화에 의한 지속적인 환경변화에 따라 무엇이 발생할 것으로 판단되어 지는가? 신종 및 재출현 인수공통전염병 출현의 요인은 세계화, 여행 및 무역의 증가, 기후적 변화, 도시화, 토지의 이용, 야생동물의 이동과 분포 및 개체 수, 숙주 밖에서의 병원체의 생존기간 등이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Morand & Guegan, 2008). 앞으로 지구의 기온이 상승하고 환경변화가 지속적으로 일어날 것으로 예측되며 국제여행과 동물 및 축산물의 국제교역의 지속적 확대에 따라 인간과 동물에 전파되는 인수공통전염병의 발생이 증가될 것으로 판단된다.
지구온난화가 생태계에 초래한 변화는 무엇인가? 매개체를 통한 질병들은 자연생태계 내에서 숙주와 매개체 및 병원체간에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며 이러한 상호작용은 각각 종들의 생활환경의 변화 즉 기후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장재 연과 조승헌, 2003).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는 전 세계적으로 홍수문제와 더불어 가뭄현상을 초래하게 되며 이러한 현상은 곧 야생동물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나아가 야생동물의 서식지 변화 및 생물다양성 감소 등 생태계의 변화를 초래하게 된다. 기온상승 등의 기후변화는 곧 환경 및 생태계의 변화로 야생동물에 직접적인 변화를 가져와 예전에 통제 가능했던 병원체의 재등장 또는 신종 질병 증가와 확산을 초래하여 인수공통전염병(zoonosis)의 발생을 증가시키며 인간의 건강 문제를 더욱 위협할 수 있는 요인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Ahn, Y.K. and Ryang, Y.S. (1986) Experimental and epidemiological studies on the life cycle of Echinostoma hortense Asada, 1926 (Trematoda: Echinostomatidae).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24: 121-136. 

  2. Ahn, Y.K., Ryang, Y.S., Chai, J.Y. and Sohn, W.M. (1989) Cercarial shedding of Echinostoma cinetorchis and experimental infection of the cercariae to several kinds of snails.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27: 203-211. 

  3. Bae, K.H., Ahn, K.Y., Soh, C.T. and Tsutsumi, H. (1993) Epidemiological studies on Clonorchis sinensis infection along the Nam-river in Gyeongnam Province, Korea.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21: 167-186. 

  4. Barcante, T.A., Barcante, J.M.P., Dias, S.R.C. and Lima, W.S. (2003) Angiostrongylus vasorum (Baillet, 1866) Kamensky, 1905: Emergence of third-stage larvae from infected Biomphalaria glabrata snails. Parasitology Research, 91: 471-475. 

  5. Chai, J.Y., Cho, S.Y. and Seo, B.S. (1977) Study on Metagonimus yokogawai (Katsurada, 1912)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15: 115-120. 

  6. Chang, K., Choi, W.Y. and Chyu, I. (1967) Investigation of Anisakis infection among the marine fishes.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5: 12. 

  7. Cho, H.C., Chung, P.R. and Lee, K.T. (1983) Distribution of medically important freshwater snails and larval trematodes from Parafossarulus manchouricus and Semisulcospira libertina around the Jinyang Kake in Kyongsang-Nam-Do, Korea.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21: 193-204. 

  8. Choi, D.W., Ahn, D.H. and Kim, H.S. (1982) Larval Trematodes from Semisulcospira Snails in Kyungpook Province, Korea.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20: 147-159. 

  9. Chung, B.J., Joo, C.Y. and Choi, D.W. (1980) Seasonal Variation of Snail population of Parafossarulus manchouricus and larval trematode infection in River Kumho, Kyungpook Province, Korea.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18: 54-64. 

  10. Chung, D.I., Kong, H.H. and Joo, C.Y. (1998) Radix auricularia coreana: Natural snail host of Clinostomum complanatum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36: 1-6. 

  11. Chung, P.R., Jung, Y. and Kim, D.S. (1996) Segmentina (Polypylis) hemisphaerula (Gastropoda: Planorbidae): A new molluscan intermediate host of a human intestinal fluke Neodiplostomum seoulensis (Trematoda: Diplostomatidae) in Korea. The Journal of Parasitology, 82: 336-338. 

  12. Chung, P.R. and Jung, Y. (1999) Cipangopaludina chinensis malleata (Gastropoda: Viviparidae): A new molluscan intermediate host of a human intestinal fluke Echinostoma cinetorchis (Trematoda: Echinostomatidae) in Korea. The Journal of Parasitology, 85: 963-964. 

  13. Chung, P.R., Jung, Y.H., Park, Y.K., Hwang, M.G. and Soh, C.T. (2001a) Corbicula fluminea (Bivalvia: Corbiculidae): a possible second molluscan intermediate host of Echinostoma cinetorchis (Trematoda: Echinostomatidae)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39: 329-332. 

  14. Chung, P.R., Jung, Y. and Park, Y.K. (2001b) Segmentina hemisphaerula: a new molluscan intermediate host for Echinostoma cinetorchis in Korea. The Journal of Parasitology, 87: 1169-1171. 

  15. Dobson, A. and Carper, R. (1992) Global warming and potential changes in host-parasite and disease-vector relationships. In Gloval warming and biodiversity, ed. Peters, R.L. and Lovejoy, T.E.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16. Han, E.T. and Chai, J.Y. (2008) Mactra veneriformis, an intertidal clam, as a new second intermediate host for Acanthoparyphium marilae (Digenea: Echinostomatidae).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46: 101-104. 

  17. Han, J.S. (1968) Studies on the cerceria parasitic to Semisulcospira libertina in Un-Am River.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6: 16. 

  18.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s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avernment panel on climate change [Solomon, S. Qin, D., Manning, M. Chen, Z., Marquis, M., Averyt, K.B., Tignor, M. Miller, HL.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996pp. 

  19. Ishii, A.I. (1984)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larval development of Angiostrongylus cantonensis in the intermediate host, Biomphalaria glabrata. Zeitschrift fur Parasitenkunde, 70: 375-379. 

  20. Joo, C.Y., Ahn, S.H. and Park, Y.C. (1985) Epidemiological survey of Paragonimus westermani in Ulchin county, Kyungpook Province, Korea.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23: 102-110. 

  21. Kim, C.H. (1980) Study on the Metagonimus sp. in Gum River Basin, Chungchung-nam Do, Korea.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18: 215-228. 

  22. Kim, C.H., Kim, N.M., Lee, C.H. and Park, J.S. (1987) Studies on the Metagonimus fluke in the Daechong Reservoir and the upper stream of Geum River, Korea.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25: 69-82. 

  23. Kim, J.J., Min, D.Y. and Soh, C.T. (1984) Study on sensory papillae of Metagonimus yokogawai Cercaria.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22: 11-20. 

  24. Kim, J.S. (1969) A study on the infection status on intermediate hosts by Paragonimus on CheJu island.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7: 171-177. 

  25. Kim, Y.G. and Chun, S.K. (1981) Trematode parasitic in Bivalves 3. A furcocercous cercaria from Tapes philippinarum.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19: 183. 

  26. Kim, Y.G and Chun, S.K. (1982) A trematode genus Bacciger parasitic in the bivalves II. On the Cercaria of Bacciger harengulae found in the clam, Laternula limicola Reeve.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20: 70. 

  27. Kim, J.M. (1965) Studies on the molluscicidal and cercariacidal effects of various pesticides in liver fluke.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3: 14-34. 

  28. Kong, H.H., Moon, C.H., Suh, C.S. and Choi, D.W. (1991) Infestation of digenetic trematode cercariae from Semisulcospira Snails in stream.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29: 424. 

  29. Lee, J.B. and Chun, S.K. (1975) Studies on the Trematode larvae parasitized on Meretrix spp. (Marine clam).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13: 175-176. 

  30. Lee, J.H. (1964) Cercariae in fresh water snails (Preliminary Report).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2: 126. 

  31. Lee, S.H., Lee, J.K., Sohn, W.M., Hong, S.T., Hong, S.J. and Chai, J.Y. (1988) Metacercariae of Echinostoma cinetorchis encysted in the fresh water snail, Hippeutis (Helicorbis) cantori, and their development in rats and mice.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26: 189-197. 

  32. Lee, S.H., Chai, J.Y., Hong, S.T. and Sohn, W.M. (1990) Experimental life history of Echinostoma cinetorchis.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28: 39-44. 

  33. Lee, S.H., Sohn, W.M., Hong, S.J., Huh, S., Seo, M., Choi, M.H. and Chai, J.Y. (1996) A nationwide survey of naturally produced oysters for infection with Gymnophalloides seoi metacercariae.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34: 107-112. 

  34. Lv, S., Zhou, X.N., Zhang, Y., Liu, H.X., Zhu, D., Yin, W.G., Steinmann, P., Wang, X.H. and Jia, T.W. (2006)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development of Angiostrongylus cantonensis (Chen, 1935) in Pomacea canaliculata (Larmark, 1822). Parasitology Research, 99: 583-587. 

  35. Morand, S. and Guegan, J.F. (2008) How the biodiversity science may aid biological tools and ecological engineering to assess the impact of climatic change. OIE Revue Scientifique et Technique, 27: 355-366. 

  36. Park, J.H., Guk, S.M., Shin, E.H., Kim, H.J., Kim, J.L., Seo, M., Park, Y.K. and Chai, J.Y. (2007) A new endemic focus of Gymnophalloides seoi infection on Aphae Island, Shinan-gun, Jeollanam-do.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45: 39-44. 

  37. Rhee, J.K., Baek, B.K., Lee, S.B. and Koh, H.B. (1983) Epidemiological studies of Clonorchis sinensis in Mangyeong Riverside area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21: 157-166. 

  38. Rhee, J.K., Baek, B.K. and Lee, H.I. (1985) Experimental studies on the second intermediate hosts of Clonorchis sinensis. IV. Observations on the fate of metacercariae of Clonorchis sinensis in the fish host, Cultriculus eigenmanni.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23: 79-86. 

  39. Ryang, Y.S. (1990) Studies on Echinostoma spp. in the Chungju Reservoir and upper streams of the Namhan River.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28: 221-233. 

  40. UNDP (2009) Term for the preparation of the human development report 2009. Human Development Report, 2009. 217pp 

  41. Seo, B.S., Lee, S.H., Chai, J.Y., Hong, S.J. and Hong, S.T. (1988) The life cycle and larval development of Fibricola seoulensis (Trematoda: Diplostomatidae).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26: 179-188. 

  42. Sohn, W.M., Chai, J.Y. and Lee, S.H. (1996) Infection status of Tapes philippinarum collected from southern coastal areas of Korea with Parvatrema spp. (Digenea: Gymnophallidae) metacercariae.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34: 273-277. 

  43. 장재연, 조승헌 (2003) 한반도 기후변화영향평가 및 적응프로그램 마련. KEI 보고서. 아주대학교. 187pp. 

  44. 용태순, 신호준, 이규재, 박갑만, 이한일, 임경일 (2004) 인체 기생충학. 정문각. 서울. 209pp. 

  45. 최재천, 최용상 (2011) 기후변화교과서. 환경재단 도요새. 서울. 631 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