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소음진동 = Journal of KSNVE, v.22 no.3, 2012년, pp.16 - 19
서강원 (쌍용자동차 기술연구소)
초록이 없습니다.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청각계 좌우의 민감도 차이가 최대 값을 가지는 영역은? | 그림 4와 표 1은 전방 입사인 0를 기준으로 보정된 머리전달함수의 민감도 특성을 보여주며 이를 근거로 회전체 소음의 평가 모델에서 식 (1)과 같이 방향성 θ의 영향성을 추가적으로 고려 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흥미로운 점은 좌측 90°보다 30° 영역에서 청각계 좌우의 민감도 차이가 최대 값을 가진다는 것이며 이번 연구에서 우려하는 계측 오류의 가능성이 가장 높은 영역으로 가정하였고 향후 추가 연구를 통해 좌우 민감도 차이의 영향성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 |
모든 소음 신호를 실험적으로 재현하여 측정할 때 어려움은 어떤 방법으로 진행하였는가? | 우선, 그림 2에서 볼 수 있는 토널 요소의 과도 레벨 ΔL에 대한 머리전달함수의 영향성에 대해 공개된 머리전달함수 자료를 기초로 정량적으로 분석을 하고 발생 가능한 과도 레벨 ΔL의 모호성을 방향성에 따라 정리하였다. 그리고 주관적 감성 평가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모든 소음 신호를 실험적으로 재현하여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하기 때문에 정속 주행 중 측정된 실내 소음에 머리전달함수의 영향성을 반영하여 순음 성분을 합성하였다. 즉, 방향성을 가진 회전체 소음 성분이 존재는 과도 레벨 특성에 영향을줄 것이고 이러한 특성은 NVH 연구 개발 과정 중에 반복적으로 겪게 되는 토널리스의 고평가 또는 저평가 문제와 깊은 연관을 가진다고 판단이 되며 주관적 감성 평가를 수행하기에 앞서 음질 요소 모델들의 정량적 계산 결과를 기초로 인지 반응 특성을 대략적으로 예측하고 이를 근거로 평가 방향성을 설정하였다. | |
방향성을 가진 회전체 소음의 청각계 인지 특성에 대한 영향성 평가에 대한 결론은 무엇인가? | 이번 연구와 같이 합성 소음 신호 제작, 정량적 음질 요소 분석, 주관적 감성 평가를 통해 방향성을 가진 회전체 소음의 청각계 인지 특성에 대한 영향성 평가를 수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음향 공간과 머리전달함수의 영향으로 회전체 소음의 방향성에 따라 과도 레벨 ΔL은 ± 5dB 범위 내에서 토널리스가 고평가 또는 저평가 될 가능성이 존재하고 판단의 모호성을 야기한다. (2) 입사각 30°좌우의 소음을 monaural 타입의 청음 평가 과정 중에 동일한 조건의 소음원에 대한 전혀 다른 정량적 평가와 정보 왜곡의 가능성이 존재함을 주관적 감성 평가를 통해 확인하였다. (3) 결론적으로 방향성에 의해 인지된 소음 정보 왜곡의 가능성을 정량적, 주관적 평가 절차를 통해 확인하였고 향후 연구에서는 현업에서의 활용을 위한 응용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