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부산 금정산 일대 지하수공내 공막힘 물질의 특징과 형성원인
Characterization and Formation Mechanisms of Clogging Materials in Groundwater Wells, Mt. Geumjeong Area, Busan, Korea 원문보기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22 no.1, 2012년, pp.67 - 81  

추창오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함세영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이정환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이충모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추연우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한석종 (지오에스지) ,  김무진 (SJ지반기술(주)) ,  조희남 ((주)지앤지테크놀러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금정산 일대 지하수공으로부터 공막힘 물질(clogging material)의 형성원인과 특성을 연구하였다. 공막힘 원시료는 레이저입도측정기를 이용하여 입도분포 분석을 하였고, 광물분석, 미세구조특성분석을 위하여 X-선회절분석(XRD)전자현미경(SEM, TEM)분석을 실시하였다. 대부분의 시료들은 로그정규분포에 가까운 입도분포의 특성을 나타내나 일부 시료에서는 여러 구간에서 높은 빈도분포를 보인다. 이 같은 입도특징은 입자의 형성단계가 다양하여 입자의 크기가 다르거나, 물질의 종류 자체가 다름을 의미한다. XRD 분석결과에 의하면, 공막힘 물질들은 주로 침철석, 페리하이드라이트, 래피도크로사이트와 같이 결정도가 낮은 철수산화물이 우세하며, 일부는 철, 망간, 아연의 금속물질, 또는 석영, 장석, 운모 및 스멕타이트 등으로 구성된다. 적갈색 시료의 경우 철수산화물, 암적색 및 암흑색 시료는 철수산화물, 망간수산화물, 회백색 및 연갈색 시료는 스멕타이트, 석영, 장석, 철수산화물 등으로 이루어진다. SEM하에서 공막힘 물질은 주로 철수산화물과 미량의 암편으로 구성되는데, 철박테리아의 일종인 Gallionella와 Leptothrix가 철수산화물과 흔히 수반된다. TEM하에서 철박테리아는 협막과 내부에 철수산화물의 덩어리를 산점상의 형태로 보유하고 있어 대사과정에서 철의 침전작용과 밀접하게 관련됨을 보인다. 석영, 장석, 백운모와 같은 조암광물은 지하수공 분포지역인 금정산 일대의 화강암편으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토양이나 대수층으로부터 유래되었다. 지하수공의 성능을 잘 유지하려면 공막힘물질의 형성원인 규명이 중요한 과제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clogging materials formed within groundwater wells in the Mt. Geumjeong area, Busan, Korea, were characterized.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PSD) of clogging materials was measured by a laser analyzer. XRD, SEM, and TEM analyses were performed ...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수행한, 금정산 일대 지하수공으로부터 공막힘 물질의 형성원인과 특성을 연구한 결과는 어떠한가? 공막힘 원시료는 레이저입도측정기를 이용하여 입도분포 분석을 하였고, 광물분석, 미세구조특성분석을 위하여 X-선회절분석(XRD)과 전자현미경(SEM, TEM)분석을 실시하였다. 대부분의 시료들은 로그정규분포에 가까운 입도분포의 특성을 나타내나 일부 시료에서는 여러 구간에서 높은 빈도분포를 보인다. 이 같은 입도특징은 입자의 형성단계가 다양하여 입자의 크기가 다르거나, 물질의 종류 자체가 다름을 의미한다. XRD 분석결과에 의하면, 공막힘 물질들은 주로 침철석, 페리하이드라이트, 래피도크로사이트와 같이 결정도가 낮은 철수산화물이 우세하며, 일부는 철, 망간, 아연의 금속물질, 또는 석영, 장석, 운모 및 스멕타이트 등으로 구성된다. 적갈색 시료의 경우 철수산화물, 암적색 및 암흑색 시료는 철수산화물, 망간수산화물, 회백색 및 연갈색 시료는 스멕타이트, 석영, 장석, 철수산화물 등으로 이루어진다. SEM하에서 공막힘 물질은 주로 철수산화물과 미량의 암편으로 구성되는데, 철박테리아의 일종인 Gallionella와 Leptothrix가 철수산화물과 흔히 수반된다. TEM하에서 철박테리아는 협막과 내부에 철수산화물의 덩어리를 산점상의 형태로 보유하고 있어 대사과정에서 철의 침전작용과 밀접하게 관련됨을 보인다. 석영, 장석, 백운모와 같은 조암광물은 지하수공 분포지역인 금정산 일대의 화강암편으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토양이나 대수층으로부터 유래되었다.
공막힘(clogging) 현상으로 인해 무슨 일이 발생하는가? 공막힘(clogging) 현상은 지하수 관정을 지속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거의 모든 지하수공에서 흔히 발생하는데, 최소 채수량에 대해서 80~85%까지 채수량이 감소하고 수질도 저하될 수 있다(Houben and Treskatis, 2007). 공막힘 현상으로 인한 관정의 효율저하 원인은 크게 우물 케이싱, 수중펌프의 산화 및 침식, 지표에서 미립자의 유입과 기계적인 집적같은 물리적 과정, 우물 케이싱, 스크린, 수중 모터의 산화 및 부식, 물-암석 반응으로 인한 광물의 침전과 같은 화학적 과정과 철, 망간박테리아에 의한 침전물 형성과 같은 생물학적 과정이 있다(김규범 외, 2011; 추창오 외, 2011).
현재 사용하지 않는 방치공은 무엇에 의해 발생하는가? 최근 국내에서 발생하는 불용공은 2009년 12월 기준으로 4,152개이고, 이중에서 3,865개가 처리되었으며, 2008년 말까지 발생한 불용공은 77,247개로서, 이 중 약 12,377개의 공이 제대로 처리되지 못한 방치공에 해당한다(국토해양부와 한국수자원공사, 2010). 현재 사용하지 않는 방치공은 개발과정, 지하수의 수량부족, 수질악화, 상수도의 설치 및 용도변경 등에 의하여 발생하며, 이를 폐공으로 처리하게 된다. 2009년말 기준 폐공처리 공법의 경우 케이싱 제거 및 시멘트슬러리 몰탈 되메움법(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국토해양부, 한국수자원공사, 2010, 2009 지하수 조사연보, 635p 

  2. 김규범, 최두형, 박준형, 황기섭, 2011, 지하수 우물 재개발 및 관리 기술, SWRRC Technical Report TR 2011-31,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 사업단, 94p. 

  3. 이정환, 함세영, 한석종, 옥순일, 차은지, 조희남, 추창오, 김무진, 2011, 공기-브러쉬와 폭약 세척 방법에 의한 암반관정의 세척 효과 검증, 지질공학, 21(4), 369-379. 

  4. 추창오, 함세영, 이정환, 한석종, 김무진, 2011, 지하수공내 공막힘 물질의 광물학적, 수리지질학적 특성 연구: 부산 금정산 일대, 2011년 춘계 지질과학기술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p. 307. 

  5. Chapelle, F. H., 2001, Ground-Water Microbiology and Geochemistry, John Wiley and Sons, Inc. 477p. 

  6. Cornell, R.M. and Schwertmann, U., 2003, The Iron Oxide. Structure, Properties, Reactions, Occurrences and Uses. 2nd Ed., Wiley-VCH GmbH and Co. KGaA. 664p. 

  7. Cullimore, D. R., 2008, Practical Manual of Groundwater Microbiology. CRC Press, 379p. 

  8. Cullimore, D. R. and McCann, A. E., 1978, The identification, cultivation and control of iron bacteria in ground water, In: Skinner, F. A. and Shewan, J. M.(ed.), Aquatic Microbiology, New York Academic Press, 219-261. 

  9. Emerson, D., 2000, Microbial oxidation of Fe(II) and Mn(II) at circumneutral pH, In: Lovley, D. R.(ed.), Environmental Microbe-Metal Interactions, ASM Press, 31-52. 

  10. Fortin, D., Davis, B., and Beverridge, T. J., 1996, Role of Thiobacillus and sulfate-reducing bacteria in iron biocycling in oxic and acidic mine tailings, FEMS Microbiol. Ecol., 21, 11-24. 

  11. Ghiorse, W. C., 1984, Biology of iron-and manganese depositing bacteria, Annual Review of Microbiology, 38, 515-550. 

  12. Hallbeck, L. and Pedersen, K., 1990, Culture parameters regulating stalk formation and growth rate of Gallionella ferruginea, Jour. Gen. Microbiol., 136, 1675-680. 

  13. Hallberg, R. and Ferris, F. G., 2004, Biomineralization by Gallionella, Gemicrobiol. Jour., 21, 325-330. 

  14. Hamm, S.-Y., Lee, J.-H., Han, S. J., Cho, H. N., Lee, S. Y., and Ok, S.-I., 2010, Verifying well rehabilitation using hydraulic test and geophysical well log, 2010 Annual Meeting, Korea Soc. Ground. Soil, 219. 

  15. Hanert, H. H., 1981, The genus Gallionella. In: Starr M. P., Stolp, H., Truper, H. G., Balows, A., Schlegel, H. G.,(eds.), The Prokaryotes, A Handbook on Habitats,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acteria, Berlin, Springer, 509-515. 

  16. Hanert, H. H., 1992, The genus Gallionella, In: Balows, A., Truper, H. G., Dworkin, M., Harder, W. and Schleifer, K. H.,(eds.), The Prokaryotes, vol. IV, Springer-Verlag, 4082-4088. 

  17. Houben, G. and Treskatis, C., 2007, Water well rehabilitation and reconstruction, McGraw-Hill Companies, Inc., 606p. 

  18. James, R. E. and Ferris, F. G., 2004, Evidence for microbial-mediated iron oxidation at a neutrophilic groundwater spring, Chem. Geol., 212, 301-311. 

  19. Katsoyiannis, I. A. and Zouboulis, A. I., 2004, Biological treatment of Mn(II) and Fe(II) containing groundwater: kinetic considerations and product characterization, Water Res., 38, 1922-1932. 

  20. Kucera, K.-H. and Wolfe, R. S., 1957, A selective enrichment method for Gallionella ferruginea, Jour. Bacteriol., 74, 344-349. 

  21. Langmuir, D., 1997, Aqueous Environmental Geochemistry, Prentice Hall, 600p. 

  22. Macalady, D. L., Langmuir, D., Grundl,, T., and Elzerman, A., 1990, Use of model generated $Fe^{3+}$ ion activities to compute Eh and ferric oxyhydroxide solubilities in anaerobic systems. In: Chemical Modeling in Aqueous Systems II, Melchior, D. C. and Bassett. R. L.(ed), Am. Chem. Soc. Symp. Ser., 416, Washington, DC. Am. Chem. Soc., 350-367. 

  23. Sogaard, E. G., Aruna, R., Abraham-Peskir, J., and Koch, C. B., 2001, Condition for biological precipitation of iron by Gallionella ferruginea in a lightly polluted ground water, Appl. Geochem., 16, 1129-1137. 

  24. Tuhela, L., Carlson, L., and Tuovinen, O. H., 1997, Biochemical transformations of Fe and Mn in oxic groundwater and well water environments, Jour. Env. Sci. Health, A32, 407-426. 

  25. van Beek, C. G. E. M. and Kooper, W. F., 1980, The clogging of shallow discharge wells in the Netherlands river region, Ground Water, 18, 578-5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