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 영일만 쇄파대에 서식하는 곤쟁이 Archaeomysis kokuboi와 Acanthomysis nakazatoi의 성장단계에 따른 주야 및 조석간 분포
Diel and Tidal Distributions of the Sand-burrowing Mysids Archaeomysis kokuboi and Acanthomysis nakazatoi on a Sandy Shore Surf Zone of Yongil Bay, Eastern Korea, in Relation to Growth Stages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7 no.2, 2012년, pp.112 - 119  

조수근 (군산대학교 해양생물공학과) ,  김청아 (군산대학교 해양생물공학과) ,  서해립 (전남대학교 해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 동해안 영일만 쇄파대에 서식하는 두 종의 곤쟁이, Archaeomysis kokuboi와 Acanthomysis nakazatoi의 성장 단계에 따른 주야 및 조석간의 분포에 관해 조사하였다. 곤쟁이의 채집은 썰매형 채집망을 이용하여 3 지점, 즉 수심 1 m의 해수 표층과 해저 모래 표면, 물가장자리에서 2시간 간격으로 24시간 동안 이루어졌다. Archaeomysis kokuboi의 유체는 주야간 모두 출현개체수가 없거나 매우 적어 주야간의 차이를 알 수 없었다. A. kokuboi의 미성숙개체는 해수표층에서 야간의 밀도가 주간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았으나, 다른 곳에서는 주야간 밀도 차이가 없었다. A. kokuboi 성체, 특히 숫컷에서는 바닥에서 주간의 밀도가 야간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았으며, 해수표층에서는 주야간 모두 전혀 출현하지 않았다. 그에 비해서 Acanthomysis nakazatoi의 경우, 유체는 모든 정점에서 주야간에 유의적인 밀도 차이가 없었으나, 바닥에서 가장 높은 밀도로 분포하였다. A. nakazatoi의 미성숙단계에서도 모든 곳에서 주야간에 유의적인 밀도 차이가 없었으며, 해수표층에는 전혀 출현하지 않았다. A. nakazatoi의 성체, 특히 암컷에서는 바닥에서 야간의 밀도가 주간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다른 장소에서는 주야간 밀도 차이가 없었다. 두 종 곤쟁이의 밀물과 썰물 간의 밀도 차이는 A. kokuboi의 미성숙개체를 제외하고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A. kokuboi의 미성숙개체, 특히 숫컷은 해수표층에서 썰물 때의 밀도가 밀물 때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쇄파대 모래해변에서 두 종의 주야간 분포는 종간에는 물론이고 종내의 성장단계에 따라서도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며, 밀도변화는 주로 주야간에 의해 일어나고 조석의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쇄파대에서 A. nakazatoi의 개체수 밀도는 주야간 모두 A. kokuboi보다 훨씬 더 높았으며, 유체단계부터 성체에 이르기까지 높은 밀도로 주로 모래바닥에 서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A. nakazatoi는 유체단계부터 모래 저층으로의 잠입능력이 A. kokuboi보다 더 뛰어나며 동해안 쇄파대에서 매우 잘 적응한 곤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el and tidal distributions of the two mysids, Archaeomysis kokuboi and Acanthomysis nakazatoi, in relation to their growth stages in the sandy surf zone of Yongil Bay, located o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Sampling was conducted with a sledge net at ev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영일만 쇄파대에 우점하는 2종의 곤쟁이 Archaeomysis kokuboi와 Acanthomysis nakazatoi를 대상으로 성장단계별로 주·야간 및 조석에 따른 곤쟁이의 분포 형태에 관해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곤쟁이류가 분포하는 곳은? 소형갑각류에 속하는 곤쟁이류 (Mysidacea)는 열대에서 극지까지 광범위하게 분포한다(Mauchline and Murano, 1977). 곤쟁이는 연안에서 실제로는 적지 않은 양으로 존재하지만, 대부분 해저 가까운 곳에서 주로 서식하여 플랑크톤 시료에는 그다지 흔하지 않다(Murano, 1979).
유기물입자 및 플랑크톤과 같은 하위 영양단계와 어류 같은 상위 영양단계 간 에너지의 중간전달자 역할을 하는 분류군이라 할 수있다고 본 이유는? 소형갑각류에 속하는 곤쟁이류 (Mysidacea)는 열대에서 극지까지 광범위하게 분포한다(Mauchline and Murano, 1977). 곤쟁이는 연안에서 실제로는 적지 않은 양으로 존재하지만, 대부분 해저 가까운 곳에서 주로 서식하여 플랑크톤 시료에는 그다지 흔하지 않다(Murano, 1979). 이들은 연안역에서 육상 및 해조류 기원의 유기쇄설입자, 식물플랑크톤 및 동물플랑크톤 등을 섭식하는 한편 유영어류 및 저서어류의 먹이로서 천해 및 쇄파대 먹이사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Fulton, 1982; Wooldridge, 1989). 따라서 유기물입자 및 플랑크톤과 같은 하위 영양단계와 어류 같은 상위 영양단계 간 에너지의 중간전달자 역할을 하는 분류군이라 할 수있다(Webb et al.
곤쟁이류는 어디에 속하는가? 소형갑각류에 속하는 곤쟁이류 (Mysidacea)는 열대에서 극지까지 광범위하게 분포한다(Mauchline and Murano, 1977). 곤쟁이는 연안에서 실제로는 적지 않은 양으로 존재하지만, 대부분 해저 가까운 곳에서 주로 서식하여 플랑크톤 시료에는 그다지 흔하지 않다(Murano, 197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rown, A.C. and A. McLachlan, 1990. Ecology of Sandy Shores. Elsevier, Amsterdam, 328pp. 

  2. Calil, P. and C.A. Borzone, 2008. Population structure and reproductive biology of Metamysidopsis neritica (Crustacea: Mysidacea) in a sand beach in south Brazil. Rev. Bras. Zool., 25: 403- 412. 

  3. Chihara, M. and M. Murano, 1997. An Illustrated Guide to Marine plankton in Japan. Tokai University Press. 

  4. Clark, B.M., B.A. Bennett and S.J. Lamberth, 1996. Factors affecting the spatial the variability in seine net catches of fish in the surf zone of False bay, South Africa.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1312: 17-34. 

  5. Fulton, R.S., 1982. Preliminary results of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mysid predation on estuarine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Hydrobiologia, 93: 79-84. 

  6. Ii, N., 1964. Fauna Japonica, Mysidae (Crustacea). Biogeogr. Soc. Japan, 1-610. 

  7. Jo, S.G. and C.W. Ma, 1996. Mysidacea (Crustacea) from the west coast of Korea. J. Korean Fish. Soc. 29(6): 805-82. 

  8. Ma, C.W., S.Y. Hong and S.G. Jo, 2002. Marsupial development and molt cycle of Acanthomysis nakazatoi (Crustacea: Mysidacea). J. Fish. Sci. Tech., 5(4): 271-280. 

  9. Matsudaira, C., T. Kariya and T. Tsuda. 1952. The study of the biology of a mysid Gastrosaccus vulgaris Nakazawa. Tohoku J. Agricul. Research, 3: 155-174. 

  10. Mauchline, J. and M. Masaaki, 1977. World list of the Mysidacea. J. Tokyo Univ. Fish., 64(1): 39-88. 

  11. Macquart-Moulin, C., 1977. Le controle de Iemnergence et des nages nocturnes chez les Peracarides des plages de Mediterranee. Eurydice affinis Hansen (Isopoda), Gastrosaccus mediterraneus Bacescu, Gastrosaccus spinifer (Gos) (Mysidacea). J. Exp. Mar. Biol. Ecol., 27: 61-81. 

  12. McLachlan, A., T. Wooldridge and G. van der Horst, 1979. Tidal movements of the macrofauna on an exposed sandy beach in South Africa. J. Zool., Lond., 187: 433-442. 

  13. Morgan, S., 1972. Ecology of distribution of the sand-dwelling mysid Gastrosaccus sanctus (van Beneden, 1861) along the Mediterranean sandy shore of Israel. Crustaceana (Suppl.), 3: 357-361. 

  14. Murano, M., 1979. A guide to mysidology: systematics, distribution and ecology. Aquabiology, 1(1), 1-10. 

  15. Nathan, C.N. and N.K. Pillai, 1973. The alimentary system of the littoral mysid Gastrosaccus simulans (van Beneden). J. Mar. Biol. Ass. India, 15: 577-586. 

  16. Nonomura, T., Y. Hayakawa, Y. Suda and J. Ohtomi, 2007. Habitat zonation of the sand-burrowing mysids (Archaeomysis vulgaris, Archaeomysis japonica and Iella ohshimai), and diel and tidal distribution of dominant Archaeomysis vulgaris, in an intermediate sandy beach at Fukiagehama, Kagoshima Prefecture, southern Japan. Plankton Benthos Res., 2(1): 38-48. 

  17. Suh, H.L., S.G. Jo and K.Y. Kim, 1995. Diel horizontal migration of the two mysids Acanthomysis nakazatoi and Acanthomysis sp. in the sandy shore surf zone of Yongil Bay, eastern Korean. J. Kor. Soc. Oceanogr., 30(6): 523-528. 

  18. Takahashi, K. and K. Kawaguchi, 1995. Inter- and intraspecific zonation in three species of sand-burrowing mysids, Acanthomysis nakazatoi, A. grebnitzkii and Iiella ohshimai, in Otsuchi Bay, northeastern Japan. Mar. Ecol. Prog. Ser., 116: 75-84. 

  19. Takahashi, K. and K. Kawaguchi, 1996. Practical key characters to identify the closely related sand-burrowing mysids, Archaeomysis kokuboi and A. japonica (Mysidacea: Gastrosaccinae) throughout all developmental stages. Bull. Plankton Soc. Japan, 43: 133-137. 

  20. Takahashi, K. and K. Kawaguchi, 1997. Diel and tidal migrations of the sand-burrowing mysids, Acanthomysis nakazatoi, A. japonica and Iiella ohshimai, in Otsuchi Bay, northeastern Japan. Mar. Ecol. Prog. Ser., 148: 95-107. 

  21. Takahashi, K. and K. Kawaguchi, 1998. Diet and feeding rhythm of the sand-burrowing mysids, Acanthomysis nakazatoi and A. japonica in Otsuchi Bay, northeastern Japan. Mar. Ecol. Prog. Ser., 162: 191-199. 

  22. Takahashi, K. and K. Kawaguchi, 2004. Reproductive biology of the intertidal and infralittoral mysids Acanthomysis nakazatoi and A. japonica on a sandy beach in NE Japan. Mar. Ecol. Prog. Ser., 283: 219-231. 

  23. Webb P., R. Perissinotto and T.H. Wooldridge, 1988. Diet and feeding of Gastrosaccus psammodytes (Crustacea: Mysidace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surf diatom Anaulus birostratus. Mar Ecol Prog Ser 45: 255-261. 

  24. Wooldridge, T., 1981. Zon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beach mysid, Gastrosaccus psammodytes (Crustacea, Mysidacea). J. Zool., Lond., 193: 183-189. 

  25. Wooldridge, T., 1989.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mysid shrimps and phytoplankton accumulations in a high energy surfzone. Vie Milieu, 39: 127-1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