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를 이용한 종분포모형 연구
A Study on the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using National Ecosystem Survey Data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1 no.4, 2012년, pp.593 - 607  

김지연 (국립환경과학원) ,  서창완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  권혁수 (국립환경과학원) ,  류지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  김명진 (국립환경과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ave started the 'National Ecosystem Survey' since 1986. It has been carried out nationwide every ten years as the largest survey project in Korea. The second one and the third one produced the GIS-based inventory of species. Three survey methods were different from eac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째, 수집된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의 특성에 가장 적합한 종분포모형을 찾고자 하였다. 둘째, 제 2차 및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의 조사방법 차이에 따른 모형결과를 살펴보고 전국단위 생물종다양성 분석에 이용하기 위한 최적의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셋째, 서로 서식 특성이 다른 분류군별로 모형을 개발하여 분류군에 따라 나타나는 결과의 특징을 파악하고 추후 생물종다양성 분석 연구에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전국자연환경조사에 가장 적합한 종분포모형을 찾기 위해 종분포모형 기법을 비교하고, 각기 다른 조사방법으로 수집된 제2차 및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를 생물종다양성연구 분석에 활용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자료 활용 형태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또한, 서식 특성이 각기 다른 분류군별로 모형을 개발하여 분류군에 따라 나타나는 결과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 번째,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에 적합한 종분포모형 기법을 찾기 위해서 GAM (Generalized Additive Model)과 Maxent (Maximum Entropy Model)를 이용하여 종분포모형을 구축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 마지막으로, 생태적 특성과 위치자료 수집 방법이 각기 다른 분류군에 대하여 구축한 종분포모형이 어떠한 차이점을 갖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목표종 9종에 대하여 서식예측분포도를 작성하고, 서식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도출하였다.
  • 본 연구를 통하여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의 특징을 파악하고, 향후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를 활용할 종분포 연구 및 생물종다양성 연구에 그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전국자연환경조사에 가장 적합한 종분포모형을 찾기 위해 종분포모형 기법을 비교하고, 각기 다른 조사방법으로 수집된 제2차 및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를 생물종다양성연구 분석에 활용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자료 활용 형태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또한, 서식 특성이 각기 다른 분류군별로 모형을 개발하여 분류군에 따라 나타나는 결과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추후 전국단위의 생물종다양성 연구에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를 활용하기 위하여 제 2차 및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의 특성을 살펴보고, 종분포모형 구축과 관련하여 이를 활용하기 위한 여러 방법을 검토해 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첫째, 수집된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의 특성에 가장 적합한 종분포모형을 찾고자 하였다. 둘째, 제 2차 및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의 조사방법 차이에 따른 모형결과를 살펴보고 전국단위 생물종다양성 분석에 이용하기 위한 최적의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물다양성 분석에 필요한것은? 생물다양성 분석에는 종분포도가 필요하며, 종분포 예측을 위해 현재 다양한 모형들이 개발 적용되고 있다(서창완 등, 2008). 최근에는 통계모형에 기반한 종분포모형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다양한 자료 형태 및 분류군에 따른 분포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서창완 등, 2008; Flanklin, 2009; 권혁수, 2011).
종분포모형이 이용되는 곳은? 최근에는 통계모형에 기반한 종분포모형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다양한 자료 형태 및 분류군에 따른 분포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서창완 등, 2008; Flanklin, 2009; 권혁수, 2011). 이러한 종분포모형은 생물다양성 평가, 보호 지역 지정, 서식지 관리 및 복원 등과 같은 자연자원 관리 및 보전계획 등에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종이나 개체군, 종풍부도에 대한 지리적 분포나 개체군의 속성을 파악하여 보호가 우선되어야 할 지역이나 현재 또는 중장기적으로 위협이 될 만한 지역을 찾아내 보호지역을 설계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Scott et al., 1993; Li, 1999; Rodrigues et al.
환경변화에 따라 많은 생물종과 그들의 서식지가 위협을 받고있는데 이를 막기위해 하는 효과적인 방법은? 그러나 그들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은 한계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지출된다. 따라서 우선순위를 두고 이들을 보호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생물종다양성이 높은 가치 있는 지역의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Myers et al.,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국립환경과학원, 2003, 자연환경조사는 왜 하는가, 국립환경과학원. 

  2. 권혁수, 2011, 보호지역계획을 위한 생물다양성 통합평가모형; 지리산과 덕유산, 가야산 권역을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지연, 류지은, 도재화, 이두범, 이윤경, 김동원, 서재화, 서민환, 서창완, 권혁수, 서진수, 박종화, Thorne, J. H., 2010, 전국자연환경조사 결과를 활용한 종분포모델링 연구(I), 국립환경과학원. 

  4. 김휘, 강우창, 이길훈, 최윤자, 장진성, 1988, 희귀식물, 히어리 생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수목원 연구보고, 18, 44-56. 

  5. 노일, 문현식, 2004, 히어리 군락의 입지특성과 식생구조 분석, 농업생명과학연구, 38(2), 41-51. 

  6. 문현식, 노일, 김종갑, 전남 곡성지역 히어리 군락의 입지환경 및 식생구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6(3), 196-203. 

  7. 서창완, 박유리, 최윤수, 2008, 위치자료의 종류에 따른 생물종 분포모형 비교 연구, 한국지리공간정보학회지, 16(4), 59-64. 

  8. 원병오, 1981, 한국동식물도감, 문교부. 

  9. 이동근, 송원경, 2008, 삵의 서식지 적합성 평가를 위한 분석단위 설정 및 보전지역 선정, 2008, 한국조경학회지, 36(5), 64-72 

  10. 이우신, 박찬열, 임신재, 허위행, 정옥식, 최창용, 박용수, 이은재, 2010, 야생동물 생태 관리학, 라이프사이언스. 

  11. 이장호, 2000, 까막딱다구리(Dryocopus martius)의 서식지 이용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이정환, 강호철, 안현철, 조현서, 1999, 한국 특산 히어리 군락의 식생구조와 맹아지 동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3), 280-287. 

  13. 임동옥, 황인천, 정흥락, 2005, 보호종인 히어리의 자생지내외 보전과 지역사회 협력 모델 개발; 히어리 분포지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2), 162-176. 

  14. 임동옥, 고갑천, 김철환, 이재석, 이현우, 장준명, 정흥락, 황인천, 2011, 히어리, 서울: 광일문화사. 

  15. 장형태, 김남춘, 김무열, 권혜진, 송호경, 2008, 히어리 개체군의 식생과 토양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6), 609-615. 

  16. 최창용, 남현영, 이우신, 2007, 서로 다른 환경에서 서식하는 수리부엉이(Bubo Bubo)의 먹이 이용,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1(1), 30-37. 

  17. 최태영, 박종화, 2004, 설악산국립공원내 산양(Nemorhaedus Caudatus Raddeanus)의 잠재 서식지 적합성 모형; 다기준평가기법(MCE)과 퍼지집합(Fuzzy Set)의 도입을 통하여, 한국복원학회지, 32(4), 28-38. 

  18. 환경부, 1997,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환경부. 

  19. 환경부, 2005, 멸종위기야생동식물 보고서. 환경부. 

  20. 환경부, 2006,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환경부. 

  21. 환경부, 2007, 보호종인 히어리의 자생지내외 보전과 지역사회 협력 모델 개발, 환경부. 

  22. Anon, 1999, S-plus 2000 Guide to Statistics, 1, MathSoft. 

  23. Baldwin, R. A., 2009, Use of Maximum Entropy Modeling in Wildlife Research, Entropy, 11, 854-866. 

  24. Beazley, K., Smandych, L., Snaith, T., MacKinnon, F., Austen-Smith, P., Duinker, P., 2005, Biodiversity considerations in conservation system planning: Map-based approach for Nova Scotia, Canada, Ecological Applications, 15, 2192-2208. 

  25. Condit, R., Ashton, P., Balslev, H., Brokaw, N., Bunyavejchewin, S., Chuyong, G., Co, L., Dattaraja, H. S., Davies, S., Esufali, S., Ewango, C. E. N., Foster, R., Gunatilleke, N., Gunatilleke, S., Hernandez, C., Hubbell, S., John, R., Kenfack, D., Kiratiprayoon, S., Pamela, Hart, T., Itoh, A., LaFrankie, J. V., Liengola, I., Lagunzad, D., Lao, S., Losos, E., Magard, E., Makana, J., Manorkaran, N, Navarrete, H., Mohammednur, S., Okhubo, T., Perez, R., Samper, C., Hua Seng, L., Sukumar, R., Svenning, J .C., Tan, S., Thomas, D., Thompson, J., Vallejo, M., Villa Munoz, G., Valencia, R., Yamakura, T., Zimmerman, J., 2005, Tropical tree ${\alpha}$ -diversity: Results from a worldwide network of large plots, Biologiske Skrifter, 55, 565-582. 

  26. del Barrio, G., Harrison, P. A., Berry, P. M., Butt, N., Sanjuan, M. E., Pearson, R. G., Dawson, T. P., 2006, Integrating multiple modelling approaches to predict the potential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species' distributions in contrasting regions: comparison and implications for policy,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icy, 9(2), 129-147. 

  27. Elith, J., Catherine, Robert, Dudik, M., Ferrier, S., Guisan, A., Huettmann, F., John, Lehmann, A., Li, J., Lucia, Bette, Manion, G., Moritz, C., Nakamura, M., Nakazawa, Y., Jacob, A., Steven, Richardson, K., Scachetti-Pereira, R., Soberon, J., Williams, S., Mary, Niklaus, 2006, Novel methods improve prediction of species' distributions from occurrence data, Ecography, 29(2), 129-151. 

  28. Ferrier, S., 2002, Mapping spatial pattern in biodiversity for regional conservation planning: where to from here? Systematic Biology, 51(2), 331-363. 

  29. Franklin, J., 2009, Mapping species distributions spatial inference and predic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Gramendia, A., Carcamo, S., Schwendtner, O., 2006, Forest management considerations for conservation of Black Woodpecker Dryocopus martius and White-backed Woodpecker Dendrocopos leucotos populations in Quinto Real (Spanish Western Pyrenees),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15, 1399-1415. 

  31. Huntley, B., Green, R. E., Collingham, Y. C., 2004, The performance of models relating species geographical distributions to climate is independent of trophic level, Ecology letters, 7, 417-426. 

  32. Kremen, C., Cameron, A., Moilanen, A., Phillips, S. J., Thomas, C. D., Beentje, H., Dransfield, J., Fisher, B. L., Glaw, F, Good, T. C., Harper, G. J., Hijmans, R. j., Lees, D. C., Louis, E., Nussbaum, R. A., Raxworthy, C. J., Razafimpahanana, A., Schatz, G. E., Vences, M., Vieites, D. R., Wright, P. C., and Zjhra M. L., 2008, Aligning conservation priorities across taxa in Madagascar with high-resoultion planning tools. Science, 320(5873), 222- 226. 

  33. Li W., 1999, Designing the core zone in a biosphere reserve based on suitable habitats: Yancheng Biosphere Reserve and the red crowned crane (Grus japonensis), Biological Conservation, 90(3), 167-173. 

  34. Margules, C. R., Pressy R. L., 2000, Systematic conservation planning, Nature, 405 (6783), 243-253. 

  35. Seo, C., Thorne, J. H., Hannah, L., Thuiller, W., 2009, Scale effects in species distribution models: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planning under climate change, Biology Letters, 5(1), 39-43. 

  36. Manel, S., Williams, H.C., Ormerod, S. J., 2001, Evaulating presence-absence models in ecology: the need to account for prevalence. Journal of Applied Ecology, 38, 921-931. 

  37. Mike, A., 2007, Species distribution models and ecological theory: A critical assessment and some possible new approaches, Ecological modeling, 200(1), 1-19. 

  38. Myers, N., Mittermeier, R. A., Mittermeier, C., G., Fonseca, G., Kent, G., 2000, Biodiversity hotspots for conservation priorities, Nature, 853-858. 

  39. Swets, J. A., 1998, Measures of the accuracy of diagnostic systems, Science, 240, 1285- 1293. 

  40. Pearson, R. G., Dawson, T. P., Berry, P. M., Harrison, P. A., 2002, SPECIES: A spatial evaluation of climate impact on the envelope of species, Ecological modeling, 154(3), 289-300. 

  41. Pearson, R. G., Raxworthy, C. J., Nakamura M., 2007, Predicting species distribution from small numbers of occurrence records: a test case using cryptic geckos in Madagascar, Journal of Biogeography, 34(1), 102-117. 

  42. Phillips, S. J., Anderson, R. P., Schapire, R. E., 2006, Maximum entropy modeling of species geographic distributions, Ecological Modelling, 190, 231-259. 

  43. Primack, R., B., 2004, A primer of conservation biology, Sinauer. 

  44. Regan, H. M., Davis, F., W., Andelman, S. J., Widyanata, A., Freese, M., 2007, Comprehensive criteria for biodiversity evaluation in conservation planning, Biodiversity Conservation, 16, 2715-2728. 

  45. Rodrigues, A. S. L., Andelman, S. J., Andelman, S. J., Bakarr, M. I., Boitani, L., Brooks, T. M., Cowling, R. M., Fishpool, L. D. C., Gaston, K. J., Hoffman, M., Long, J. S., Marquet, P. A., Pilgrim, J. D., Pressy, R. L., Schipper, J., Sechrest, W., Stuart, S. N., Underhill, L. G., Waller, R. W., Watts, M. E. J., Yan, X., 2004, Effectiveness of the global protected area network in representing species diversity, Nature 428(6983), 640-643. 

  46. Scott, J. M., Davis, F., Csuti, B., Noss, R., Butterfield, B., Anderson, H., Caicco, S., Erchia, F. D., Edwards, T. C., Ulliman J., 1993, Gap analysis: A geographic approach to protection of biological diversity, Wildlife Monographs, 123, 3-41. 

  47. Thorn, J. S. V., Nijman, D., Smith, Nekaris K. A. I., 2009, Ecological niche modelling as a technique for assessing threats and setting conservation priorities for Asian slow lorises (Primates:Nycticebus), Diversity and Distributions, 15(2), 289- 298. 

  48. Thuiller, W., 2003, BIOMOD: optimising predictions of species distributions and projecting potential future shifts under global change, Global Change Biology, 9(10), 1353-1362. 

  49. Woodward, F. I., Williams, B. G., 1987, Climate and plant distribution at global and local scale, Vegetatio, 69(3), 189-197. 

  50. World Resources Institute, 1994, World Resources 1994-1995: A Guide to the Global Environment, Oxford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