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부(臟腑)와 삼음삼양(三陰三陽)으로 살펴본 소갈(消渴) 병기(病機) 연구
Study on the Mechanism of Wasting-thirst in Viewpoint of 'Viscera and Bowels' and 'Three Yin and Three Yang'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26 no.3, 2012년, pp.265 - 272  

김경신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생리학교실) ,  김병수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생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pplicability of Diabetes Mellitus(DM) in Oriental Medicine might be placed under the category in Wasting-thirst(消渴, WT). However, because of WT having so various concepts, classification, and names in Oriental Medicine, this resulted in confusion in applying WT treatment to DM. WT occurs main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消渴에 관련된 陽明과 厥陰을 關闔樞로 살펴보면 모두 闔에 해당하여 闔의 이상으로 消渴이 발현됨을 추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消渴의 생리병리적 기전을 파악하기 위해 『內經』의 소갈 용어를 정리하고 장부적 해석을 한 뒤 삼음삼양이 소갈에 미치는 영향을 정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갈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일반적인 消渴에 대한 인식은 五臟의 脆弱으로 인해 발현되는 것20)으로 脾臟(膵臟) 등의 장부병으로 인식되고 있다21). 그러나 내경에서 消渴에 해당하는 용어는 膈消⋅脾癉⋅消渴⋅消癉⋅肺消⋅食亦⋅消中 등 다양한 용어로 제시되고 있는데 이들 용어를 살펴볼 때 모두 장부병을 설명하는 것으로 볼 수는 없다.
消란 어떤 뜻인가? ‘消渴’은 『素問․陰陽別論』에 “二陽結謂之消”라고 처음 언급된 이후 대부분의 綜合醫書에서 다루고 있는 중요한 질환이다. ‘消’는 消穀, 消爍, 消耗, 消瘦의 뜻이고, ‘渴’은 口渴引飮의 뜻으로서 多飮, 多食而消瘦, 多尿而頻數, 或混濁, 或尿甛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1).
消渴의 증상은 무엇인가? 消渴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대부분 ‘燥熱’로 인하여 津液을 말림으로써 口渴⋅消穀善飢⋅小便頻數의 증상을 보이며18), 『聖濟總錄』에서도 “消癉病은 고량진미를 많이 먹는 사람의 병으로 기름진 음식이 과하게 쌓이면 脾癉이 되고 癉病이 이미 이루어지면 바로 체중이 마르게(消中) 되는데 모두 양만 있고 음이 없어 邪熱이 편승한 까닭”이라고 했다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조선영 외. 朝鮮 前.中期의 消渴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18(2):229-244, 2005. 

  2. 楊思樹, 張樹生, 傳景華 主編, 안세영 역. 동의임상내과학. 서울, 법인문화사, pp 396-413, 1999. 

  3. 조선영 외. 한국 한의학에서 소갈 분류의 형성과정. 한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13(2):1-14, 2007. 

  4. 전현정. 당뇨병의 원인과 증상에 대한 동서양의 병기론적 접근 및 동, 서양, 대채의학적 치료연구. 한국한의정보학회지 11(1):1-25, 2005. 

  5. 이연경 외. 당뇨병 및 소갈의 최신 연구 동향. 대한한의학 방제학회지 15(2):21-33, 2007. 

  6. 장석순. 의학중충참서록(상). 서울, 의성당, pp 137-138, 1999. 

  7. 陣士鐸. 石室秘錄. 서울, 행림출판사, p 202, 1987. 

  8. 박대원, 박경수 공역, 명의 31인의 消渴驗方 해설집. 서울, 의성당, pp 90-91, 103-104, 2004. 

  9. 신재용. 당뇨병과 소갈. 서울, 성보사, pp 16-17, 1985. 

  10. 윤창렬, 이남구, 김선호 역. 현토완역 황제내경소문 왕빙주(中). 대전, 주민출판사, p 231, 2003. 

  11. 김영일, 권동렬. "消?"과 "消渴"에 대한 인식변천考.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2(3):203-209, 2009. 

  12. 김선호 역. 선호 영추. 대전, 주민출판사, pp 55-62, 2003. 

  13. 張景岳. 景岳全書.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p 408, 1995. 

  14. 김중한. 劉完素의 三消論에 대한 硏究.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4(1):85-93, 2011. 

  15. 趙佶. 聖濟總錄.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p 1064, 1982. 

  16. 張從正. 金元四大家醫學全書(儒門事親). 天津科學技術出版社. p 486, 1992. 

  17. 孫思邈. 備急千金要方. 서울, 대성문화사, p 373, 1984. 

  18. 王燾. 外臺秘要(上冊). 臺北, 文光圖書有限公司, p 303, 1979. 

  19. 이용범. 관합추의 조합원리 및 몇 가지 활용 예. 대한한의학원전학회 17(1):218-225, 2004. 

  20. 山東中醫學院 河北醫學院 校釋. 黃帝內經素問校釋.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pp 102-103, 1991. 

  21. 이용범. 양상선의 삼음삼양학설에 대한 연구. 대한원전의사학회지 10(1):448-493, 1996. 

  22. 이동원. 국역 내외상변혹론 난실비장. 서울 대성문화사, pp 137-140, 1995. 

  23. 虞搏. 醫學正傳. 서울, 성보사, p 276, 1986. 

  24. 허준. 대역동의보감. 서울, 법인문화사, p 1329, 1999. 

  25. 周一謨. 고대 중국의학의 재발견. 서울, 법인문화사, p 410, 2000. 

  26. 黃元御. 黃氏醫書八種. 서울, 서원당, pp 534-535, 1983. 

  27. 王鋼柱. 中醫疏肝調氣法治療糖尿病.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p 2, 2001. 

  28. 김정제. 진료요감 2. 서울, 동양의학연구원, pp 264, 273, 546, 582-583, 1983. 

  29. 강석봉, 김권철. 소갈병의 증상에 대한 병기론적 접근. 동서의학 23(4):21-40, 1998. 

  30. 두호경. 동의신계학(하). 서울, 동양의학연구원, p 1175, 1992. 

  31. 대한당뇨병학회. 당뇨병학 제3판. 서울, 고려의학, pp 8-11, 25-31, 2005. 

  32. 柯韻伯, 김선호 역. 柯氏傷寒論注. 대전, 주민출판사, p 397, 2007. 

  33. 尤在涇. 금궤요락심전 역해. 서울, 집문당, p 233, 2008. 

  34. 鄭孝昌, 李克光 主編. 黃帝內經太素校注(上).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p 115, 2006. 

  35. 范冠杰 主編. 名醫臨證經驗叢書 糖尿病.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pp 6-9, 2005. 

  36. 이상협, 김중한. 黃帝內經太素의 特徵 및 楊上善의 醫學理論에 대한 硏究. 대한원의사학회지 22(2):35-6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