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주암호 생태습지의 수생태학적 효율 평가
Evaluation of Aquatic Ecological Efficiency in Juam Lake Eco-wetlands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Pollutants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5 no.2, 2012년, pp.317 - 324  

이상규 (순천대학교 생물환경학과) ,  서동철 (순천대학교 생물환경학과) ,  최익원 (순천대학교 생물환경학과) ,  강세원 (순천대학교 생물환경학과) ,  서영진 (순천대학교 생물환경학과) ,  임병진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 물환경 연구소) ,  이준배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 물환경 연구소) ,  김상돈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 물환경 연구소) ,  허종수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BK21 농생명산업 글로벌 인재 육성 사업단) & 농업생명과학원) ,  조주식 (순천대학교 생물환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해 설치된 주암호 생태습지의 수질정화효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스템별 및 시기별 오염물질의 함량과 처리효율을 조사하였다. 유입원수의 BOD, COD, SS, T-N 및 T-P의 함량은 각각 0.20~0.91, 1.24~8.00, 0.6~8.6, 0.04~2.50 및 $0.001{\sim}0.685mg\;L^{-1}$ 범위로 나타났다. 주암호 생태습지 유입수의 대부분이 현행 오염물질 수질기준을 초과하지 않은 상태로 유입되었지만 비점오염원이 많이 유입되는 특정 시기 (장마철)에는 높은 오염물질 함량을 나타내었다. 시기별로는 전반적으로 여름철에 유입원수의 영양염류의 유입이 다른 시기에 비해 높은 경향이었다. 전반적으로 C 시스템이 오염물질의 처리효율이 가장 높은 경향이었다. A 시스템의 습지들은 대부분 겨풀이 우점하고 있었으며 B 시스템의 습지들은 겨풀과 연꽃이 우점하고 있었다. C 시스템의 습지들은 겨풀, 수련 및 부들이 우점하고 있었다. 주암호 생태습지는 오염물질의 처리능이 전반적으로 안정화 상태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겨풀 및 물 참새피 등 식물교란종의 습지 내 침투로 인하여 습지의 수질정화효율이 전반적으로 낮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로부터 조성초기 인공습지식생의 발달 여부가 수질의 안정화와 습지의 수생태학적 역할을 증대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reduce non-point source pollutants in Juam Lake eco-wetlands, purification efficiencies of pollutants were investigated at three different systems. The constructed wetlands (CWs) consisted of A system, B system and C system. A system consisted of $1^{st}$ free water surface (FWS) CW,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신규 조성된 주암호 생태습지의 오염 물질 정화효율과 수생태학적 역할을 평가하기 위하여 인공 생태습지 조성 초기부터 시스템 및 시기에 따른 오염물질 함량과 처리효율을 조사하였고, 인공 생태습지 내 식생특성과 수질특성을 고려하여 수생태학적 효율을 평가하였다.
  • 주암호 생태습지는 조성초기라 식생의 발달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이 많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조사대상 인공생태습지에서 수생 식물의 분포특성을 조사하여 인공습지에서 식생과 수질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인공습지의 수생태학적 역할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인공 생태습지의 각 시스템별 식생결과는 Table 2에서 보는 바와 같다. 수생식물은 습지생태계의 1차 생산자로서 습지의 토양을 안정화시키고 침식을 방지하며, 수 중 부유물질의 침전촉진과 영양염류와 유해물질을 흡수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점오염원은 어떤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가? 수질오염을 일으키는 오염원은 크게 점오염원 (Point pollutant source)과 비점오염원 (Non-point pollutant source)으로 나누어지는데 (Lee and Bae, 2002), 특히 비점오염원은 농경 지에 살포된 농약과 비료, 축사에서의 유출물, 도로상 오염 물질, 도시지역의 먼지와 쓰레기 및 지표상 퇴적 오염물질 등이 강우 시 빗물과 함께 유출되면서 발생한다 (Seo et al., 2006).
수생식물은 어떻게 수질을 정화하는가? 수생식물은 습지생태계의 1차 생산자로서 습지의 토양을 안정화시키고 침식을 방지하며, 수 중 부유물질의 침전촉진과 영양염류와 유해물질을 흡수한다. 또한 수중과 저토에 산소를 공급하여 수생식물의 근계와 저토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분해효율을 높이고, 차광에 의한 식물플랑크톤의 발생억제로 수질을 정화한다. 이와 같은 수생식물의 여러 기능 중에서 부영양화의 원인물질을 흡수 및 제거하는 수질정화기능은 환경 보전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Kim et al.
수질오염의 원인인 비점오염원은 어떤 문제점으로 인해 관리대책에 어려움이 있는가? 비점오염원은 배출지점이 유역전체에 걸쳐있어 제어가 어렵고, 제어를 한다고 해도 일정한 처리효과를 얻기 위해 서는 장시간이 소요되며, 강우량에 따라 유입량이 크게 변동되어 일정한 처리효율을 얻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관리대책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다 (Kwun, 1998; Lee and Bae,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PHA, AWWA, WCF. 199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pp. 4-112. 

  2. Cho, J.S. 2011. Evaluation and monitering of Juam Lake eco-wetlands. Report, Bosung-gun. 

  3. Choi, K.C., O.U. Kwun, Y.D. Kim, Y.H. Kim, W.S. Lee, J.Y. Lee, S.J. Jun, and S.K. Jung. 2004. Annotation for standard methods of water quality. printed in Dong Hwa Technology Publishing Co. 

  4. Corbitt, R. A. and Bowen, P.T. 1994. Constructed wetlands for wastewater treatment, in applied Wetlands science and technology, Kent, D.M. (ed.) Publishers Lewis. 221-241. 

  5. Kang H.C., C. Freeman, D. Lee, and W.J. Mitsch. 1998. Enzyme activities on constructed wetland: Implication for water quality amelioration. Hydrobiologia. 368:231-235. 

  6. Kadlec, R.H. 2005. Vegetation effects on ammonia reduction in treatment wetlands. Natural and constructed wetlands: nutrients, metals and management, J. Vymazal (ed), Backhuys publishers, Leiden, The Netherlands. 233-260. 

  7. Kang S.W., D.C. Seo, I.W. Choi, J.B. Lee, B.J. Lim, J.H. Park, K.S. Kim, S.D. Kim, J.S. Heo, and J.S. Cho. 2011. Characteristics of nutrient uptake by water plants in free water surface constructed wetlands for treat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Korean J Agric. 30(3):304-309. 

  8. Kim, C.S., J.Y. Ko, J.S. Lee, S.T. Park, Y.C. Ku, and H.W. Kang. 2007. Selection of aquatic plants having high uptake ability of pollutants in raw sewage treatment. Korean J. Environ. Agric. 26(1):25-35. 

  9.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Environmental white book of 2006. Ministry of environment republic. Seoul, Korea. 

  10. Kwun, S.K. 1998. Management improvement and perspective on nonpoint sources of water pollut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0:1497- 1510. 

  11. Lee, H.D. and C.H. Bae. 2002. Runoff characteristics and strategies for non-point source reduction.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18:569-576. 

  12. Luderitz, V. and F. Gerlach. 2002. Phosphorus removal in different constructed wetlands. Ackt Biotechnologica. 22(1-2):91-99. 

  13. Park, W.Y., D.C. Seo, J.S. Im, J.K. Park, J.S. Cho, J.S. Heo, and H.S. Yoon. 2008. Optimum configuration filter media depth and wastewater load of small-scale constructed wetlands for treating the hydroponic waste solution in greenhouse. Korean J. Environ. Agric. 27:217-224. 

  14. Seo, D.C., B.I. Jang, I.S. Jo, S.C. Lim, H.J. Lee, J.S. Cho, H.C. Kim, and J.S. Cho. 2006. Selection of optimum water plant in constructed wetland by natural purification method for municipal sewage treatment. Korean J. Environ. Agric. 25:25-33. 

  15. Seo, D.C., H.J. Kim, W.Y. Park, J.S. Im, S.H. Hwang, C.H. Park, J.H. Choi, H.J. Lee, D.J. Lee, J.S. Cho, and J.S. Heo. 2008. Behavior and decomposition velocity of pollutants on various forms from domestic sewage in small-scale sewage treatment plant by natural purification method. Korean J. Environ. Agric. 27:18-26. 

  16. Seo, D.C., I.C. Jo, S.C. Lim, B.J. Lee, S.K. Park, Y.S. Cheon, J.H. Park, H.J. Lee, J.S. Cho, and J.S. Heo. 2009. Evaluation of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in environmentally friendly full-scale constructed wetlands for treating domestic sewage during long-term monitoring. Korean J. Environ. Agric. 28(2):97-105. 

  17. Seo, D.C., S.W. Kang, H. Kim, M.J. Han, B.J. Lim, J.H. Park, K.S. Kim, Y.J. Lee, I.W. Choi, J.S. Heo, and J.S. Cho. 2011a. Evaluation of treatment efficiencies of pollutants in Boknae bio-park constructed wetlands. Korean J. Soil Sci. Fert. 44:263-270. 

  18. Seo, D.C., S.W. Kang, B.J. Lim, J.H. Park, K.S. Kim, J.B. Lee, H. Kim, J.S. Heo, N.I. Chang, H.H. Seong, and J.S. Cho. 2011b. Evaluation of aquatic ecological charateristics in Sinpyeongcheon constructed wetlands for treat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Korean J. Soil Sci. Fert. 44:400-407. 

  19. Yoon, C.G., S.K. Kwun, and J.H. Ham. 2001. Effect of treated sewage irrigation on paddy rice culture and its soil. irrigation and drainage. 50(3):227-23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