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DCA 모형에 기초한 QI활동 평가틀 개발 및 사례분석
Development of QI Activity Evaluation Framework Based on PDCA and Case Study on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8 no.2, 2012년, pp.222 - 233  

박연화 (전북대학교병원 의료질향상팀) ,  이명하 (전북대학교 간호대학) ,  정석희 (전북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evaluation framework for QI activity in medical institutions and to analyze QI activity cases by applying the developed evaluation framework. Method: A four-phase process was employed to develop the evaluation framework, and a descriptive survey was 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의료기관 QI활동의 평가준거로 사용할 수 있는 QI활동 평가틀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QI활동 사례를 분석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의료기관에서 진행되는 QI활동 방법과 내용에 대한 분석 및 QI활동 현황 파악을 위해 FOCUS-PDCA모형에 기반한 QI활동 평가틀을 개발한 후 이를 이용하여 한국의료QA학회에 발표된 총 157개의 QI활동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의료기관의 QI활동은 병원 형태와 병원 규모, 활동부서, 참여부서의 수 등의 특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 없이 비교적 평준화를 이루고 있었으며 QI활동의 질적인 측면에서는 단계별 접근, 팀 접근, 분석도구의 사용 등에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접근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 따라서 이러한 QI활동의 단계적 접근방법은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는데 사용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QI활동 평가틀을 개발하기 위해 먼저 QI활동의 진행단계에 대한 관련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과학적인 방법을 강조하고 의료 분야 실무에서 적용이 용이한 미국병원협회(1989)의 FOCUS-PDCA 9단계를 기본 틀로 설정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기관에서 적용 가능한 QI활동 평가틀을 개발하여 QI활동의 단계별 진행 및 평가를 위한 기준을 제시하고, 이를 적용한 QI활동의 사례 분석을 통해 QI활동의 질적 수준을 파악함으로써 QI활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또한 우리나라 의료기관의 QI활동에 대한 평가 도구가 표준화되어 있지 않아 평가를 실시하는 QI담당자나 QI활동을 진행하는 실무자들에게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QI활동의 질적인 향상을 위해 QI활동에 대한 개념적 이해를 돕고 QI활동의 각 단계별로 포함해야 할 활동내용을 반영하는 기준을 포함하는 QI활동 평가틀을 제시함으로써 QI활동에 대한 이론적 지침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연구 결과 제시된 QI활동 사례 분석결과는 우리나라 의료기관의 QI활동의 현 상태를 파악하게 함으로써 앞으로 우리나라 의료기관의 QI활동이 나아가야 할 목표와 방향설정의 유용한 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이처럼 QI활동이 양적인 성장을 거듭해오고 있는 현 시점에서 우리나라 QI활동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해서 QI활동의 효과적인 방법론적 모색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 의료기관의 QI활동 수준을 파악하고 미래 QI활동을 위한 방법론적인 지침을 제공하기 위해 QI활동 평가틀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QI활동 사례를 분석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QI활동을 통해 어떠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가? QI활동은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전 직원들이 과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업무과정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는 과정으로, 의료 서비스의 질 향상과 비용 절감을 추구하는데 효과적인 기법이며(Lee, 2001), 이러한 질관리 활동을 통해 의료기관은 환자만족도 제고를 통한 환자 확보, 의료사고 최소화, 운영효율성 제고 등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Tak, 2001). 우리나라 의료계의 QI활동은 1994년 한국의료QA학회가 설립되면서 본격적으로 도입되었는데, 한국의료QA학회는 우리나라 의료 분야의 질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활동 전개를 목표로 의료의 질 평가 및 개선을 위한 학술 연구, QI전문가 양성 교육 그리고 학술대회 개최 등 의료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한 다양한 지원을 통해 QI 활동의 중추적인 역할을 해오고 있다.
QI활동이란? QI활동은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전 직원들이 과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업무과정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는 과정으로, 의료 서비스의 질 향상과 비용 절감을 추구하는데 효과적인 기법이며(Lee, 2001), 이러한 질관리 활동을 통해 의료기관은 환자만족도 제고를 통한 환자 확보, 의료사고 최소화, 운영효율성 제고 등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Tak, 2001). 우리나라 의료계의 QI활동은 1994년 한국의료QA학회가 설립되면서 본격적으로 도입되었는데, 한국의료QA학회는 우리나라 의료 분야의 질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활동 전개를 목표로 의료의 질 평가 및 개선을 위한 학술 연구, QI전문가 양성 교육 그리고 학술대회 개최 등 의료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한 다양한 지원을 통해 QI 활동의 중추적인 역할을 해오고 있다.
(PDCA)의 4단계는 미국에서 어떻게 제시되었는가? , 2004). 이 PDCA cycle은 미국병원협회(1989)에 의해 좀 더 세분화하여 실제적인 보건의료 분야의 QI 활동에 적용하도록 FOCUS-PDCA모형으로 제시되었다. 이 모형은 현재 국내외에서 병원을 포함한 보건의료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데(Graham, 2001), 프랑스의 병원인증기관인 ANAES는 변형된 4단계의 FOCUS-PDCA모형을 병원 질향상 활동의 기본 모형으로 각 의료기관에 제시하기도 하였다(Maguerez, Erbault, Terra, Maisonneuve, & Matillon,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rsness, Z. I., Shortell, S. M., Gillies, R. R., Hughes, E. F. X., O'Brien, J. L., Bohr, D., Izui, C., et al. (1993, Dec 5). The Quality March: National survey of hospital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Hospital and Health Care Networks, 67(23), 52-55. 

  2. Brook, R. H. (2010). The end of the quality improvement movement: Long live improving value. JAMA: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304(16), 1831-1832. doi: 10.1001/jama.2010.1555 

  3. Chae, Y. M., Lee, S. H., & Choi, K. S. (2001). Study on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in Korean hospita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8(2), 232-243. 

  4. Cho, S. H., Kim, H. J., & Kim, C. Y. (1997).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in Korean hospita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4(2), 196-209. 

  5. Cho, W. H. (2000). QI concept and method in medical institution & understanding of CQI. Hospital management outcome evaluation. Symposium conducted at the scientific meeting of the Korea Society of Hospital Administration, Seoul, Korea. 

  6. Choi, J. H. (2003). (The) Performance of QI programs in general hospit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7. Choi, K. S., Lee, S. H., Cho, W. H., Kang, H. Y., & Chae, Y. M. (2001). Succeeding factors and barriers to implementing quality improvement program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8(2). 146-159. 

  8. Ernst & Young Global Limited (1992). International quality study: Health industry report. Cleveland: The American Quality Foundation. 

  9. Graham, N. O. (2001). Quality in health care: Theory, application, and evolution (C. B. Kim, T. O. Yoo, G. O. Koh, H. Choi, J. A. Lee, Trans). Seoul: Gyechukk Munhawasa. 

  10. Han, Y. J. (2003). Awareness and attitude of medical personnel for the activities to improve medical quality in a university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Cheonan. 

  11. Hyun, S. K. (2002). (A) Study on the follow-up management system of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activ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2. Hong, A. R. (2005). (A) Study on the effect of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in healthcare organizat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yang University, Nonsan. 

  13. Hwang, J. H. (1996). Quality improvement activity in hospitals and its acceptance among hospital personnels quality assurance, hospital personne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3(2), 86-97. 

  14. 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 (1992). Striving toward improvement: Six hospital in search of quality. Chicago: JACHO 

  15. Koo, I. S., & Kim, T. S. (2005). A Study on the effective guide of quality small group activity in Korea. The Journal of Namseoul University, 11(2), 37-50. 

  16. Lee, K. I., & Kim, H. (2007). A suggestion on the promotive directions of quality circle activity. Journal of Quality Management, 35(2). 1-26. 

  17. Lee, S. I. (1998). Attitudes toward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of QA committee member physicians in Korean university hospita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5(1), 76-91. 

  18. Lee, S. I. (2003). Country status and challenges of the activities of the hospital quality improvement. Journal of the Korean Hospital Association. 32(2), 36-41. 

  19. Lee, S. H. (2001).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egree of quality improvement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egree of quality improvement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 Administration. 11(4), 54-69. 

  20. Lee, S. H., Chae, Y .M., Jee, Y. K., & Choi, K. S. (2001). A study on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in Korean hospita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8(2), 172-185. 

  21. Maguerez, G., Erbault, M., Terra, J. L., Maisonneuve, H., & Matillon, Y. (2001). Evaluation of 60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projects in French hospitals.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13(2), 89-97. doi: 10.1093/ intqhc/13.2.89 

  22. Massoud, R., Askov, K., Reinke, J., Franco, L. M., Bornstein, T., Knebel, E., & Macaulay, C. (2004). Modern paradigm for improving healthcare quality (S. I. Lee, Trans). Seoul: Han Hak Munhasa.(Original work published 2001) 

  23. Melum, M. M., & Sinioris, M. E. (1993). Total quality management in health care: Taking stock. Quality Management in Health Care, 1(4), 59-63. 

  24. Oh, K. Y. (2003).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quality improvement using an effective guidance of quality control circl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onju University, Jeonju. 

  25. Stoltz, P. K. (1996). FOCUS-PDCA. Today's Management Methods, 223-244. 

  26. Tak, K. C. (2002). Research on the total quality management (TQM) of the general hospita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san University, Daegu. 

  27. The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2007a, 2008a, 2009a). Annual fall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seminar handout II. Seoul: The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28. The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2007b, 2008b, 2009b).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Seoul: The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29. The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2010, April 20). Oral session presentation data of Scientific Meeting. Retrieved June 25, 2010, from http://www.kosqua.net/?sub pub&sub22c# clk 

  30. Yun, T. Y. (2007). Study on the change of tools at quality circle activities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Taej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