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치위생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12 no.1, 2012년, pp.67 - 79
김정희 (영동대학교 치위생학과) , 유왕근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대학원)
Objectives :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experience of musculoskeletal disorder symptoms of dental hygienists and evaluate the risk with ergonomic evaluation method(RULA).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44 dental hygienists working at dental clinics and general hospitals i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근골격계질환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은? | 근골격계질환은 생산성의 증대에 따른 단순반복 작업의 횟수와 작업동작 속도의 증대에 따른 작업환경의 변화, 그리고 작업자의 개인적, 심리적 특성과 여러 가지 작업조건들이 상호 복합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여 근육,관절, 혈관, 신경 등에 발생한 미세한 손상이 누적되어 어느 순간에 발생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3).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4)에서 보건 및 사회복지업의 근골격계질환 발생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근골격계질환자 270명 중 239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중량물을 취급하거나 무리한 힘 또는 동작으로 인한 원인을 포괄하는 과도한 힘·동작으로 인한 질환자가 182명(70. | |
치과위생사의 신체부위별 자각증상 호소율은 어떠한가? | 2%)순으로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신체부위별 자각증상 호소율은 스켈링 업무의 경우 어깨 47.4%, 손/손목/손가락 28.9%, 목 23.7%로 나타났으며, 진료협조 업무는 어깨(53.6%), 목(38.6%),다리(37.3%), 허리(36.6%), 손/손목/손가락(35.9%) 순으로 조사되었고, 접수 및 상담업무는 어깨(37.2%), 목(23.0%),손/손목(21.2%) 순으로 조사되었다<표 5>. | |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이란? |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s)이란 특정한 신체 부위의 반복 작업과 불편하고 부자연스러운 작업 자세, 강한 노동 강도, 과도한 힘, 불충분한 휴식, 추운 작업환경, 진동 등이 원인이 되어 주로 관절 부위를 중심으로 근육과 혈관, 신경 등에 미세한 손상이 생겨서 결국 통증과 감각 이상을 호소하는 근육골격계의 만성적인 건강 장해1)로발생 원인 중에서 갑작스러운 사고나 미끄러짐, 추락이나 충동에 의한 상해는 제외된다. 근골격계질환의 증상들은 보통 한 번 통증이 발생되면 1주일 이상 지속되거나 과거 1년간 적어도 한 달에 한 번 이상 통증이 반복되는 경우에 해당되며 동일한 신체부위에 유사질병(류마티스 관절염, 당뇨병, 통풍, 루프스병, 갑상선 질환, 악성종양 등)과 사고병력이 없어야 하고 현재의 작업이 시작된 이후에 발생한 증상을 직업병으로 정의하고 있다2). |
Erdil M, Dickerson OB. Comulative trauma disorders, Preven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New York:Van Nostrand Reinhold;1997.
NIOSH.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workplace factors: A critical review of epidemiologic evidence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neck, upper extremity and low back. USA:NIOSH;1997.
김정룡.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인간 공학-유해요인조사방법론 중심으로. 서울:민영사; 2004.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근골격계질환 예방, 보건분야-기술자료. 서울: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2006.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07?2008 산업재해원인조사. 서울: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2009.
정원균, 강현경, 곽정숙 외 21인. 알기 쉬운 고급치주 기구 조작법. 6판. 서울:대한나래출판사; 2006:11-17.
박정란, 박재용. 치과위생사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7;31(3):416-431.
Anton D, Rosecrance J, Merlino L, Cook T.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Carpal Tunnel Syndrome among dental hygienists. Am J Ind Med 2002;42(3):248-257.
Macdonald G. Hazards in dental workplace. Dent Hyg 1987;61(5):212-218.
Kibom A, Person J. Work technique and its consequences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Ergonomics 1987;30(2):273-279.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근골격계부담작업 유해요인 조사 지침. 서울: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2008.
김규상. 작업 특성에 따른 인간공학적 유해요인 평가 방법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2005.
조권환. 병원조사자의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유병률과 위험요인[박사학위논문]. 김해:인제대학교대학원;2002.
김민아. 치과위생사의 작업관련 근골격계 통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석사학위논문]. 인천: 가천의과학대학교 보건대학원;2009.
최미숙, 지동하, 최재호. 치과병.의원 환기방법에 따른 실내공기질 자각증상 수준 및 근무환경 만족요인. 치위생과학회지 2011;11(4):353-359.
강동묵, 고상백, 김성아 외 14인. 직무스트레스의 현대적 이해. 서울: 고려의학;2005.
문정일, 박동현. 전자제품제조업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에 대한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09;93-104.
한지형, 김진, 남수현, 김창희. C지역 치과종사자의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과 사회심리적 특성과의 관계. 치위생과학회지 2010;10(4):279-286.
최명관. 일부 치과의사의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 호소율과 관련 유해요인[박사학위논문]. 대구: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2006.
정유선. 치위생과 재학생들의 신체통증과 근골격계 질환 지식 및 예방행위. 한국치위생학회지 2009; 9(2):45-56.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