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앉은 자세에서 의자 표면 경사도가 호흡기능과 구어 산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at Surface Inclination on Respiratory Function and Speech Production in sitting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4 no.1, 2012년, pp.29 - 34  

신화경 (대구가톨릭대학교 의료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김혜수 (대구가톨릭대학교 의료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이옥분 (대구사이버대학교 언어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 between respiratory function and speech production, according to the seat surface inclination while in the sitting position. Methods: Respiratory function (FVC, FEV1) and speech production (inspiratory frequency, unit reading time, 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앉기 자세에서 의자 표면 경사도가 호흡 기능과 구어 산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의자 표면 경사도에 따라서 호흡 기능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전방 경사 자세가 호흡 기능을 높이는데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앉기 자세에서 의자 표면 경사도가 호흡과 구어 산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셋째, 폐활량과 구어산출의 상관관계를 알아본다. 이를 통하여 의자 경사도에 따른 앉기 자세가 폐활량과 구어산출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어 산출의 메커니즘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구어 산출의 메커니즘은 기본적으로 호흡계(respiratory system), 발성계(phonation system), 공명계(resonance system), 조음계(articulation system)로 구성된다. 말소리 산출은 근본적으로 호흡계에서 생성되는 기류가 원천이 되며, 이 기류는 호기와 흡기의 정밀한 조화 메카니즘에 의해 만들어진다.
보다 정확하게 말하기 위해서 충분한 호흡량이 바탕이 되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구어 산출의 메커니즘은 기본적으로 호흡계(respiratory system), 발성계(phonation system), 공명계(resonance system), 조음계(articulation system)로 구성된다. 말소리 산출은 근본적으로 호흡계에서 생성되는 기류가 원천이 되며, 이 기류는 호기와 흡기의 정밀한 조화 메카니즘에 의해 만들어진다.2 흡기와 호기의 조절과 안정성은 말소리의 흐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는 말을 알아듣는 정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기본적인 호흡 수준과 말 산출 동안의 안정된 흡기와 호기의 지속력에 따라 전체적인 음성이나 말 명료도(speech intelligibility)에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 건강한 사람은 말을 할 때 흡기 시간이 호기 시간에 비해 극히 짧고, 한숨에 재빨리 흡입하여 그 공기를 서서히 조절하여 내뱉음으로써 자연스런 발화가 이루어진다.3 그러나 호기량이 매우 작거나 호흡의 속도와 호흡의 길이가 의도적으로 조절되지 않을 경우에는 불규칙한 호흡패턴으로 인해 음성 산출이 불안정하거나 음질이 나빠지게 되고, 말하는 도중에 불필요한 끊김이나 전체적인 말의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즉, 불규칙하거나 불안정한 호흡패턴은 말소리의 명료도를 저하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4 따라서 보다 정확하고 유창하게 말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충분한 호흡량이 바탕이 되어야 하며, 이때 필요한 호흡량은 자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어란 무엇인가? 구어는 인간의 감정, 욕구, 의사를 전달하고 사회 속에서 관계를 형성하는데 있어 중요한 매개체이다.1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싣고 있는 말소리의 명료성 정도는 의사소통의 효율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Lee HM. The effect of the breathing training program on utterance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aegu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8. 

  2. Ju JY, Shin HS. The effects of respiratory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on the respiratory and phonation capacity in spastic cerebral palsy child. Kor J Sports Med. 2010;20(3):285-92. 

  3. Im IH. Investigation on the vital capacity after breathing exercise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New Med J. 1995;38(10):23-6. 

  4. Jung JJ. The effect of motor training on language abilit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SHD. 1998;7(2):27-46. 

  5. Hodge MM, Rochet AP. Characteristics of speech breathing in young women. JSHR. 1989;32(3):466-80. 

  6. Solomon NP, Hixon TJ. Speech breathing in Parkinson's disease. JSHR. 1993;36(2):294-310. 

  7. Murdoch BE, Chenery HJ, Bowler S et al. Respiratory function in parkinson's subjects exhibiting a perceptible speech deficit: a kinematic and spirometric analysis. JSHD. 1989;54(4):610-26. 

  8. Manifold JA, Murdoch BE. Speech breathing in young adults: effect of body type. JSHR. 1993;36(4):657-71. 

  9. Mori RL, Bergsman AE, Holmes MJ et al. Role of the medial medullary reticular formation in relaying vestibular signals to the diaphragm and abdominal muscles. Brain Research. 2001;902(1):82-91. 

  10. Allen SM, Hunt B, Green M. Fall in vital capacity with posture. Br J Dis Chest. 1985;79(3):267-71. 

  11. Bridger RS. Postural adaptations to a sloping chair and work surface. Human factors. 1988;30(2):237-47. 

  12. Song JY, Sim HV, Current ME et al. A comparison of vital capacity values with healthy subjects in standing and head-down positions. KAUTPT. 1996;3(1):40-7. 

  13. Marini JJ, Tyler ML, Hudson LD et al. Influence of head-dependent positions on lung volume and oxygen saturation in chronic air-flow obstruction. Am Rev Resp Dis. 1984;129(1):101-5. 

  14. Troyer AD. Mechanical role of the abdominal muscles in relation to posture. Respir Physiol. 1983;53(3):341-53. 

  15. Kwon DH, Seok DI, Kwang SG et al. Assessment of communication disorder. Korea, Korean Speech-language & Health Association. 1994:15-65. 

  16. Kim YR, Lee JW. A comparison of vital capacity value with spinal cord injury following changing positions. KAUTPT. 1998;5(3):48-55. 

  17. Kisner C, Collby LA.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s and techniques. 5th ed. Philadelphia, F. A Davis Co, 2007:852-3. 

  18. Cameron MH, Monroe LG. Physical rehabilitation: evidence based examination, evaluation and intervention. Philadelphia, Elsevier Health Sciences, 2007:689-732. 

  19. Song JY. The changes of respiratory functions following postures in cerebral palsy: spastic diplegia. J Kor Soc Phys Ther. 2004;16(4):115-128. 

  20. An SH, Lee J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in chronic stroke patients. J Kor Soc Phys Ther. 2009;21(1):9-17. 

  21. Frownfelter D, Dean E. Cardiovascular and pulmonary physical therapy: evidence and practice. 4th ed. Philadelphia, Mosby, 2006:569-93. 

  22. Walker J, Cooney M, Norton S. Improved pulmonary function in chronic quadriplegics after pulmonary therapy and arm ergometry. Paraplegia. 1989;27(4):279-83. 

  23. Carter RE. Respiratory aspects of spinal cord injury management. Paraplegia. 1987;25(3):262-6. 

  24. Kim JH, Park SK, Kang JI et al. Effects of lumbar stability exercise program on trunk, lower extremity of muscle activity and balance in soccer player. J Kor Soc Phys Ther. 2010;22(5):25-31. 

  25. Kang JI, Jeong DK, Park SK et al. Effects of chest resistance exercise on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and fatigue in patients with copd. J Kor Soc Phys Ther. 2011;23(2):37-43. 

  26. Geytenbeek J. Prevalence of speech and communication disorders in children with CP. Dev Med Child Neurol. 2011;53(1):10-1. 

  27. Bax M, Trydeman C, Flodmark O. Clinical and mri correlates of cerebral palsy: The european cerebral palsy study. J Am Med Assn. 2006;296(13):1602-8. 

  28. Kim HK, Kwon DH. The effect of respiratory muscles training program on improvement of speech production mechanism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JSHD. 200514(2):89-1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