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두산 화산의 전조활동 분석 연구
Analysis of Unrest Signs of Activity at the Baegdusan Volcano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1 no.1 = no.67, 2012년, pp.1 - 12  

윤성효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이정현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 민족의 영산인 백두산은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활동적인 화산의 하나이며, 10세기 대분화는 지난 2,000년 이내에서 가장 격렬한 화산활동이었다. 백두산 천지 일원에서는 2002년에서 2005년까지 지하 마그마의 관입에 의한 화산성 지진의 급증 및 비정상적인 지표 변형이 발생하였다. 화산구조성 지진의 규모가 2002년 7월부터 갑자기 급증하였으며, 지진발생 빈도도 한 달에 수십 회에서 수백 회로 증가하였으며, 2002-2003년도에는 하루에 백 여 회의 군발(群發)지진이 발생하였으며, 2003년에는 연간 2,100여 회 발생하였고, 2006년도부터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현재에는 1999년-2001년의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주파수가 대체로 5 Hz 또는 5-10 Hz의 범위에 속하는 이러한 지진들은 B-형 화산구조성 지진(VT-B)과 장주기 지진(LP)으로 지하 3~5 km 천부에 위치한 마그마방 상부의 균열과 마그마의 관입에 기인하는 것이다. 2002년도부터 2009년도까지의 GPS관측에 의한 지표면의 수평변위에 의하면 2002년 이후 천지 칼데라 정상부를 중심으로 화산체가 팽창하는 것이 감지되었으며, 2002년도 대비 2003년도에는 약 4 cm 이상이었고 2003년도 이후에 그 변화율은 감소하는 경향으로 보였다. 백두산 성층화산체 사면에서의 정밀수준 측량에 의한 지표면의 수직적 팽창 또한 최대 10 cm 이상의 변위를 보였으며, 수직 변위와 수평 변위 모두 2006년도 이후 변화율은 다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나, 여전히 불안정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온천에서 채취한 화산가스로부터 분석된 헬륨 동위원소비($^3He/^4He$)의 높은 값은 이들 가스들이 맨틀로부터 유래된 것임을 증명하고 있다. 천지 주변의 온천수의 온도가 $69^{\circ}C$에서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최대 $83^{\circ}C$에 이르고 있다. 그간 비교적 큰 규모의 지진에 의한 산사태, 암벽붕괴, 화산가스에 의한 나무의 고사 등이 관찰되었고, 올해 여름 천지 칼데라 외륜산의 절벽으로부터 수차례의 암벽붕괴도 발생하였다. 이런 모든 현상들이 백두산 천지화산이 불안정한 상태에 있으며, 잠재적으로는 충분하게 분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지시하는 것이다. 강력한 화산 감시 모니터링화산재해 경감을 위한 사전 방재대책이 필요한 단계라고 평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aegdusan volcano is one of the most active volcanoes in northeastern Asia, and the 10th century eruption was the most voluminous eruption in the world in recent 2,000 years. During the period from 2002 to 2005, volcanic earthquakes and abnormal surface distortions by suspected subsurface magm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백두산 화산의 폭발적 분화 가능설이 알려진 후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윤성효 외, 2007; 윤성효, 2010; 윤성효와 이정현, 2010). 백두산은 어떠한 화산체인지 그 형성과정과 역사기록을 알아보고, 지난 10년간의 화산전조 기록을 토대로 현재의 상태와 화산 분화 가능성 및 예상되는 재해에 대해 고찰해 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산 분화란 무엇인가? 우리는 흔히 화산이 분화(噴火: eruption)하는 모습을 폭발한다고 단정적으로 이야기한다. 지하에서 암석이 녹아 있던 물질인 마그마가 화산의 화구(火口)를 통하여 지표로 나오는 현상을 ‘화산 분화’라고 말한다. 화산 분화에는 뿜어져 나오는 마그마의 물성에 따라 ‘폭발(爆發: explosive eruption)’과 ‘분출(噴出)또는 일류(溢流)(effusive/extrusive eruption)’로 나눌 수 있다(Heiken and Wohletz, 1985; USGS, 2010).
화산 분화는 나오는 마그마의 물성에 따라 종류가 나뉘는데, 그것이 무엇인가? 지하에서 암석이 녹아 있던 물질인 마그마가 화산의 화구(火口)를 통하여 지표로 나오는 현상을 ‘화산 분화’라고 말한다. 화산 분화에는 뿜어져 나오는 마그마의 물성에 따라 ‘폭발(爆發: explosive eruption)’과 ‘분출(噴出)또는 일류(溢流)(effusive/extrusive eruption)’로 나눌 수 있다(Heiken and Wohletz, 1985; USGS, 2010).폭발적인 화산 분화는 마그마가 화도를 통해 나오면서 산산이 부서지거나 조각난 고체 상태인 화성쇄설물(火成碎屑物: pyroclastic materials)이 되어 화구로부터 빠른 속도로 격렬하게 뿜어져 나오는 현상이다.
백두산 천지 일원의 화산성 지진과 비정상적 지표 변형의 발생 현황은 어떠한가? 백두산 천지 일원에서는 2002년에서 2005년까지 지하 마그마의 관입에 의한 화산성 지진의 급증 및 비정상적인 지표 변형이 발생하였다. 화산구조성 지진의 규모가 2002년 7월부터 갑자기 급증하였으며, 지진발생 빈도도 한 달에 수십 회에서 수백 회로 증가하였으며, 2002-2003년도에는 하루에 백 여 회의 군발(群發)지진이 발생하였으며, 2003년에는 연간 2,100여 회 발생하였고, 2006년도부터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현재에는 1999년-2001년의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주파수가 대체로 5 Hz 또는 5-10 Hz의 범위에 속하는 이러한 지진들은 B-형 화산구조성 지진(VT-B)과 장주기 지진(LP)으로 지하 3~5 km 천부에 위치한 마그마방 상부의 균열과 마그마의 관입에 기인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기상청, 2011, 백두산 화산재 영향 분석. 2011. 2. 8. 보도 자료. 10p. 

  2. 김정배, 구난희, 조법종, 강석화, 이종석, 이서행, 도성재, 윤성효, 현영남, 정치영, 이상훈, 장원석, 김병선(공저), 2010, 백두산: 현재와 미래를 말한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459p. 

  3. 소원주, 윤성효, 1999, 백두산 화산의 홀로세 대분화 연구 : 개관. 한국지구과학회지, 20(5), 534-543. 

  4. 윤성효, 2010, 자연재해: 백두산 화산 분화전조 현상. 한국지구과학회 2010년 추계학술발표회 초록집, 2010년 9월 30일-10월 1일 세종대학교, 3-7. 

  5. 윤성효, 2011, 백두산 대폭발의 날. 해맞이출판사, 서울, 374p. 

  6. 윤성효, 원종관, 이문원, 1993, 백두산 일원의 신생대 화산 활동과 화산암류의 특성 고찰. 지질학회지, 29(3), 291- 307. 

  7. 윤성효, 이정현, 2010, 과거 백두산의 화산활동과 향후 분화 가능성 그리고 남한학자들의 백두산 연구 참여 방안. 대한지질학회,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한국고생물학회, 한국광물학회, 한국암석학회 추계지질과학연합학술발표회 초록집, 14. 

  8. 윤성효, 최종섭, 1996, 백두산 천지 칼데라 화산의 역사 분출기록. 한국지구과학회지, 17(5), 376-382. 

  9. 윤성효, 히로미추 타니구치, 하이첸 웨이, 지아치 류, 2007, 백두산 화산 위기.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대한지질공학회, 대한지질학회, 한국석유지질학회 공동학술발표회 논문집, p.130-132. 

  10. 윤성효, 이정현, 한상재, 임근희, 정희윤, 2011, 백두산 화산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상청, 343p. 

  11. 윤성효, 이정현, 2011, 백두산 화산의 1702년 강하화산재 기록에 대한 화산학적 해석. 암석학회지, 20(4), 243-250. 

  12. 이순환, 윤성효, 2011, 백두산 화산 분출물 확산 예측에 대기흐름장 평균화가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회지, 32(4), 360-372. 

  13. 좌용주, 이종익, Zheng Xiangshen, 2003, 백두산의 화산분출 연대에 대한 연구: 1. 목탄과 나무 시료에 대한 14C방사성 연대. 지질학회지, 39(3), 347-357. 

  14. 高玲, 上官志冠, 魏海泉, 武成智, 2007, ?白山天池火山近期?? 地球化?的常?化. 地震地?, 21(2), 179-188. 

  15. ?雨文, ??男, ??志, 李雪梅, ?昕, 2011, ?白山天池火山地震活?特征. 科技??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No.5, 213-215. 

  16. ?健平, 明??, ?恒?, 2005, 2002年夏季長白山天池火山區的地震活動硏究. 地球物理??, 48(3), 621-628. 

  17. 町田洋, 新井房夫, 森脇廣, 1981, 日本海を渡ってきたテフラ. 科學, 51, 562-569. 

  18. 宮本毅, 中川光弘, 田中勇三, 吉田まき技, 2004, 白頭山10世紀噴火の噴火推移, 中國東北部白頭山の 10世紀巨大噴火とその歷史?果(谷口宏充 編). 東北アジア硏究センタ一叢書 第16, 東北大學東北アジア硏究センタ一, 15-43. 

  19. 早川由紀夫, 小山?人, 1998, 日本海をはさんで10世紀に相次いで起こった二つの大噴火の年月日--十和田湖と白頭山 --. 火山, 43(5), 403-407. 

  20. 福澤仁之, 塚本すみ子, 塚本齊, 池田まゆみ, 岡村眞, 松岡裕美, 1998, 年縞堆積物を用いた白頭山- ?小牧火山灰(B-Tm)の降灰年代の推定. 汽水域年究, 55-62. 

  21. ?先康, ?成科, ?金仁, ?卓欣, 李松林, ?建?, ??峰, 成?喜, ???, 潘素珍. 2002. ?白山天池火山?岩?系?深部??的深地震深硏究. 地震??, 24(2), 135-143. 

  22. 張成科, 張先康, 趙金仁, 劉寶峰, 張建獅, 楊卓欣, 海燕, 孫國偉, 2002, 長白山天池火山區及?近地區殼結結構探測硏究. 地球物理學報, 45(6), 812-820. 

  23. Asahi TV news, 2006, Hot heat and gas eruption at the Baegdusan volcano, 2006-10-20. 

  24. Clague, D.A. and Dixon, J.E., 2000, Extrinsic controls on the evolution of Hawaiian ocean island volcanoes. Geochemistry, Geophysics, Geosystems-G (super 3) 1 (Paper 1999GC000023) 

  25. Decker, R.W. and Decker, B., 1991, Mountains of fire: the nature of volcano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8, 199p. 

  26. Dunlap, C., 1996, Physical, chemical, and temporal relations among products of the 11th century eruption of Baitoushan, China/North Korea. Ph.D thesis, University of Califirnia, Santa Cruz, 215p. 

  27. Fisher, R.V., Heiken, G. and Hulen, J., 1998. Volcanoes: Crucibles of Chan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334p. 

  28. Gao, Q.W., 2004, Volcanic hydrothermal activities and gas-releasing characteristics of the Tianchi lake region, Changbai mountain. Acta Geoscientica Sinica, 25(3), 345-350(in Chinese with English abstract). 

  29. Gill, J., Dunlap, C and McCurry, M., 1992, Large-volume, mid-latitude, Cl-rich eruption during 600-1000 AD: Baitoushan, China. Chapman Conference on Climate, Volcanism and Global change, AGU, Hilo, Hawaii, 23-27. 

  30. Gillespie, M.R, and Styles, M.T., 1999, BGS Rock Classification Scheme, Volume 1: Classification of igneous rocks. British Geological Survey Research Report, (2nd edition), RR 99-06. 

  31. Gudmundsson, M.T., Pedersen, R., Vogfjord, K., Thorbjarnardottir, B., Jakobsdottir, S. and Roberts, M.J., 2010, Eruption of Eyjafjallajokull Volcano, Iceland. EOS, 91, 190-191. 

  32. Heiken, G. and Wohletz, K., 1985, Volcanic Ash.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246p. 

  33. Horn, S. and Schmincke, H.U., 2000, Volatile emission during the eruption of Baitoushan Volcano(China/ North Korea) ca. 960. Bulletin of Volcanology, 61, 537-555. 

  34. Klugel, A., Hansteen, T.H. and Galipp, K., 2005, Magma storage and underplating beneath Cumbre Vieja volcano, La Palma (Canary Islands).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236, 211-226. 

  35. Liu, G., Yang, J., Wang, L. and Sun, J., 2011, Analysis of Tianchi volcano activity in Changbai Mountain, NE China. Global Geology, 14(1), 45-53. 

  36. Liu, R. and Wei, H., 1996, The large eruption of Tianchi Volcano, Changbaishan during 750-960 AD. Proceeding of the 30th International Geological Congress (IGC), Beijing, China, 18-5-4. 

  37. Machida, H. and F. Arai, 1983, Extensive ash falls in and around the Sea of Japan from large, late Quaternary eruptions.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18, 151-164. 

  38. Machida, H., H. Moriwaki, and D.C. Zhao, 1990, The recent major eruption of Changbai volcano and its environmental effects. Geographical Reports of Tokyo Metropolitan University, 25, 1-20. 

  39. Nicole, A.S., Klugel, A. and Hansteen, T.H., 2009, The magmatic plumbing system beneath El Hierro (Canary Islands): constraints from phenocrysts and naturally quenched basaltic glasses in submarine rocks. Contribution to Mineralogy and Petrology, 157, 593-607. 

  40. Oppenheimer, C., 2003, Climatic, environmental and human consequences of the largest known historic eruption: Tambora volcano (Indonesia) 1815. Progress in Physical Geography, 27(2), 230-259. 

  41. Ozawa, T. and Taniguchi, H., 2006, Detection of crustal deformation around Baitoushan volcano using JERS-1 and ENVISAT SAR interferometry. 2006 ERI Workshop 'New Generation InSAR'(Workshop: 2006-W-02). 

  42. Ozawa, T. and Taniguchi, H., 2007, Detection of Crustal Deformation Associated with Volcanic Activity of Baitoushan Volcano Using SAR Interferometry, Report NIED, 71, 1-10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43. Pallister, J.S., Hoblitt, R.P., Crandell, D.R. and Mullineaux, L.S., 1992, Mount St. Helens a decade after the 1980 eruptions: magmatic models, chemical cycles, and a revised hazards assessment. Bulletin of Volcanology, 54, 126-146. 

  44. Sigurdsson, H., Cashdollar, S. and Sparks, S.R.J., 1982, The Eruption of Vesuvius in A. D. 79: Reconstruction from Historical and Volcanological Evidence. American Journal of Archaeology, 86(1), 39-51. 

  45. Sims, K.W.W., Goldstein, S.J., Blichert-Toft, J., Perfit, M.R., Kelemen, P., Fornari, D.J., Michael, P.J., Murrell, M. T., Hart, S. R., DePaolo, D. J., Layne, G. D., Ball, L., Jull, M. and Bender, J.F., 2002, Chemical and isotopic constrains on the generation and transport of magma beneath the East Pacific Rise.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66(19), 3481- 3504. 

  46. Stone, R., 2010, Is China's riskiest volcano stirring or merely biding its time?: Science, 329, 498-499. 

  47. Tilling, R.I., 2000, Volcanoes notes. Geotimes, 45(5), 19. 

  48. Tilling, R.I. and Dvorak, J.J., 1993, Anatomy of a basaltic volcano. Nature, 363, 125-133. 

  49. USGS, 2010, VHP Photo Glossary: Effusive Eruption. 29 December 2009, retrieved 3 August 2010. http://volcanoes.usgs.gov/images/pglossary/effusive.php 

  50. Wei, H., Wang, Y., Jin, J., Gao, L., Yun, S.H. and Jin, B., 2007, Timescale and evolution of the intracontinental Tianchi volcanic shield and ignimbrite-forming eruption, Changbaishan, Northeast China. Lithos, 96, 1-2, 315-324. 

  51. Wu, J., Ming, Y. and Zhang, H., 2005, Seismic activity at the Changbaishan Tianchi volcano in the summer of 2002. Chinese Journal of Geophysics, 48(3), 621-628 (in Chinese with English abstract). 

  52. Xu, J., 2011, Active volcano monitoring program of China, presentation(Session 3: Volcano monitoring). Seminar on East-Asia earthquake studies, Beijing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