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양 용화광산의 광미 및 침출수의 광물학적 및 지화학적 특성 연구
Studies on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ailings and Leachate Water in Yonghwa Mine, Yeongyang A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5 no.3, 2012년, pp.265 - 276  

강한 (아름다운환경건설(주)) ,  김영훈 (안동대학교 환경공학과) ,  장윤득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김정진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용화광산의 광미와 침출수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광미로부터 부과될 수 있는 성분을 예측하고, 침출수가 주변하천으로 유입될 때 오염물질의 거리에 따른 변화를 측정하였다. 하천수의 거리에 따른 변화는 갱내수와 침출수가 유출되는 지점에는 대체로 높게 나타나고 하류로 갈수록 이온의 농도는 급격히 낮아진다. 이는 침출수에 비해 훨씬 유량이 많은 비오염하천수에 의한 희석효과 때문이다. 광미는 붉은색과 노란색으로 구분되며 붉은색 광미의 주 구성광물은 석영, 일라이트, 플럼보자로사이트와 약간의 섬아연석이며 노란색 광미는 백운모, 석영, 플럼보자로사이트(Plumbojarosite) 그리고 소량의 황동석(Chalcopyrite)과 섬아연석(Sphalerite)을 포함하고 있다. 침출수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는 Pb, Zn 등은 광미에 포함된 플럼보자로사이트와 섬아연석의 용해작용에 의한 것으로 하천수의 오염에 주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rrent study includes the analysis of mine tailings and leachate water and prediction of species originated from the tailings. The variation of contaminants were measured upon the distance from the tailings to the nearby stream. The ions concentration was highest at the tailings and pit mouth and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광산 주변에 적치된 광미의 광물화학적 특성이 침출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광미의 광물학적 특성과 침출수의 화학적 특성의 연관성을 연구였다. 광미에 포함된 주요 금속광물은 플럼보자로사이트, 섬아 연석, 황동석으로 침출수에 부가될 수 있는 금속이온은 주로 Pb, Zn, Fe, Cu이며, 음이온은 SO4로 추정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영양 용화광산의 광물찌꺼기 적치장으로 부터 유출되는 침출수의 수리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여 용화광산 침출수가 주변 수계에 미치는 환경오염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용화광산 광미의 광물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침출수와 주변 하천수의 중금속 오염 정도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광산이 폐광된 이유는? 국내 광산은 1920-1930년대에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하여 1960년대 및 70년대에 국가 산업 활동의 기초가 되는 원료자원을 확보하는 기간산업으로 개발되 었다. 하지만 90년대 이후 광량 고갈 및 국제자원가격 하락으로 인한 채산성 악화로 대부분의 광산이 폐광되 었으며, 대다수의 폐광산들은 환경보호 조치와 같은 사후 처리를 하지 않은 상태로 방치되어 있다.
갱내수 및 침출수의 유출, 광산폐기물 유실에 의한 주변의 환경오염 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폐 갱도에서는 오염된 갱내수가 지표 환경으로 유출되기도 하며, 광산 폐기물이 유실되거나 혹은 침출수를 발생시켜 인근 수계 및 토양환경을 오염시킨다. 이러한 갱내수 및 침출수의 유출, 광산폐기물 유실에 의한 주변의 환경오염 정도는 폐광 시 사후 처리, 광산 개발 방식, 개발 정도, 지질, 광종 및 광산 주변환경에 좌우된다. 휴·폐광산의 갱내수 및 침출수와 광산폐기물에 의한 수질및 토양 환경오염은 폐광지역의 자연환경 오염과 폐광산 주변의 거주민의의 민원을 초래하여 사회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광산폐기물 내 중금속 원소의 영향 평가 방법에 관한 선행 연구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국외에서는 지난 30년 간 광산주변 환경에 미치는 광산폐기물 내 중금속 원소들의 잠재적이고 실제적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을 찾기 위해 많은 기초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즉, 총함량분석, 광미-물 상호반응에 대한 실험실 규모의 simulation 연구 (Humez et al., 1997; Kedziorek et al., 1998), 중금속의 광물학적 형태에 관한 연구(Walder and Chavez, 1995; Davis et al., 1998), 산성광산배수의 산도를 예측하기 위한 연구(Jennings and Dollhopf, 1995; Jurjovec et al., 2002; Equeenuddin et al., 2010; Daviesa et al., 2011), 중금속의 존재 형태 규명을 위한 연속추출방법에 대한 연구(Clevenger, 1990), 중금속의 이동과 확산과 관련된 지화학/수리지질학적 모델링 연구(Appel and Reilly, 1994; Alpers and Nordstrom, 1994) 등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lpers, C.N. and Nordstrom, D.K. (1994) Seasonal variations of Zn/Cu ratios in acid mine water from Iron Mountain, California. In Environmental Geochemistry of Sulfide Oxidation (C.N. Alpers & D.W. Blowes, eds.). Am. Chem. Soc. Symp. Ser., v.550, p.324-344. 

  2. Alpers, C.N., Nordstrom, D.K. and Ball, J.W. (1989) Solubility of jarosite solid solutions precipitated from acid mine water, Iron mountain, California, USA. Sci. Geol. Bull. v.42, p.281-289. 

  3. Appel, C.A. and Reilly, T.E. (1994) Summary of selected computer programs produced by the U.S. Geological Survey for simulation of ground-water flow and quality. v.4, p.98. 

  4. Bottcher, J.O.S. and Duynisveld, H.M. (1985) Verikale Stoffkonzentrations profile im Croundwasser eines Lockergesteins-Aquifers und deren Interpretation. Z. dt. Geol. Ges., v.136, p.543-552. 

  5. Cheong, Y.W. (2004) An Overview of Coal Mine Drainage Treatment. Econ. Environ. Geol., v.37, p.107-111. 

  6. Clevenger, A. (1990) Calorimetric Study of the Kinetics of $Al_3Ni$ Nucleation and Growth During Reactions in Al/Ni Thin Films. v.26, p.203-208. 

  7. Daviesa H., Weberb, P., Lindsayb, P., Crawa, D. and Popec, J. (2011) Characterisation of acid mine drainage in a high rainfall mountain environment, New Zealand. Sci, Total Environ. v.409, p.2971-2980. 

  8. Davis, S.R., McMahon, R.J. and Cousins, R.J. (1998) Metallothionein knockout and transgenic mice exhibit altered intestinal processing of zinc with uniform zincdependent zinc transporter-1 expression. Jour. Nutrition. v.128, p.825-831. 

  9. Equeenuddin, S.M., Tripathy, S., Sahoo, P.K. and Panigrahi, M.K. (2010) Hydro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cid mine drainage and water pollution at Makum Coalfield, India. Jour, Geochem. Explor., v.105, p.75- 82. 

  10. Humez, A.L., Juste, C. and Prost, R. (1997) A new assessment of mobility of elements in sediments and wastes. Chem. Speciation and Bioavailability, v.9, p.57-65. 

  11. Jennings, S.R. and Dollhopf. D.J. (1995) Acid-base account effectiveness for determination of mine waste potential acidity. Jour. Hazardous Materials. v.41, p.161-175. 

  12. Ji, S.W and Cheong, Y.W. (2005) Experiment of Reactive Media Selection for the Permeable Reactive Barrier Treating Groundwater contaminated by Acid Mine Drainage. Econ. Environ. Geol., v.38, p.237-245. 

  13. Jung, M.C. (2003) Environmental Assessment for Acid Mine Drainage by Past Coal Mining Activities in the Youngwol, Jungseon and Pyungchang areas, Korea. Econ. Environ. Geol., v.36, p.111-121. 

  14. Jurjovec, J., Ptacek, C.J. and Blowes, D.W. (2002) Acid neutralization mechanisms and metal release in mine tailings: a laboratory column experiment. Geochim, Cosmochim. Acta, v.66, p.1511-1523. 

  15. Kang, M.J., Lee, P.K. and Youm, S.J. (2006) Characteristics of Geochemical Behaviors of Trace Metals in Drainage from Abandoned Sechang Mine. Econ. Environ. Geol., v.39, p.213-227. 

  16. Kedziorek, A.M., Alain, C.M. and Fabrice, C. (1998) Leaching of Cd and Pb from a Polluted Soil during the Percolation of EDTA: Laboratory Column Experiments Modeled with a Non-Equilibrium Solubilization Step. Environ. Sci, Technol., v.32, p.1609-1614. 

  17. Kim, J.J. and Kim, S.J. (2002) Variations in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Acid Mine Drainages due to Mineral-Water Interactions in Donghae Mine Area in Taebaek, Korea. Econ. Environ. Geol., v.35, p.55-66. 

  18. Kim, J.J. and Kim, S.J. (2004) Seasonal factors controlling mineral precipitation in the acidminedrainage at Donghae coal mine, Korea. Sci. Total Environ., v.325, p.181-191. 

  19. Kim, S.O., Jung, Y.I. and Cho, H.G. (2006) Evalu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Streams within Samsanjeil and Sambong Cu Mining Area. Jour. Miner. Soc. Korea, v.19, p.171-187. 

  20. Lee, W.C., Jeong, J.O., Kim, J.Y. and Kim, S.O. (2010) Characterization of Arsenic Immobilization in the Myungbong Mine Tailing. Econ. Environ. Geol., v.43, p.137-148. 

  21. Nordstrom, D.K. and Ball, J.W. (1984) Chemical models, computer programs and metal complexation in natural water. In complexation of trace metals in natural water. p.149-164. 

  22. Oh, D.G., Kim, J.Y. and Cheon H.T. (1995) Geochemistry of Acid Mine Water and Stream Sediment around the Donghae Coal Mine. Econ. Environ. Geol. v.28, p.213-220. 

  23. Park, C.Y., Jeong, Y.J. and Kang, J.S. (2000) Geochemistry and Mineralogy of Mine Drainage Water Precipitate and Evaporite Minerals In the Hwasoon Area. Econ. Environ. Geol., v.33, p.391-404. 

  24. Schecher, W.D. and Driscoll, C.T. (1987) An evaluation of uncertainty associated with aluminum equilibrium calculations. Water Resources Research v.23, p.525- 534. 

  25. Sear, S.O. and Langmuir, D. (1982) Sorption and claymineral equilibria controls on moisture chemistry in a C-horizon soil. Jour. Hydrol. v.56, p.287-308. 

  26. Song, S.H., Min, E.S., Kim, M.H. and Lee, H.K (1997) Pollution by Acid Mine Drainages from the Daeseong Coal Mine In Keumsan. Econ. Environ. Geol., v.30, p.105-116. 

  27. Walder, I.F., and Chavez, W.X. (1995)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behavior of mill tailing material produced from lead-zinc skarn mineralization, Hanover, Grant County, New Mexico, USA. Environ. Geol., v.26, p.1-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