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흥저수지 지역의 지반조사를 통한 신갈단층대 확인
Identification of the Singal Fault Zone in the Kiheung Reservoir Area by Geotechnical Investigations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5 no.3, 2012년, pp.295 - 306  

권순달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주)희송지오텍) ,  김선곤 (현대산업개발(주)) ,  이성한 (현대산업개발(주)) ,  박권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경기육괴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 대규모 단층대인 신갈단층을 기흥지역에서 확인하였다. 기흥저수지 지역의 지질공학적 조사를 실시하여 단층대 위치 및 특징을 파악하였다. 이 단층대는 신갈단층으로 알려져 있으며, 남북방향으로 발달된 이 단층대는 추가령 열곡 내에서 리델 타입(Riedel-type)의 주향이동 단층으로 해석된다. 단층대를 따라서 62공의 시추조사와 전기비저항탐사 약 11 km, 바이브로사이즈 탄성파탐사 약 500 m를 실시하였다. 시추조사 및 물리탐사 결과, 최대 폭 300미터의 단층대는 주로 가우지 및 단층각력으로 구성되며, 망상의 2차 균열이 단층대 안에 서로 평행하게 발달함이 확인되었다. 시추조사 및 물리탐사 결과, 신갈단층의 휘어지는 부분인 기흥저수지 지역에서 꽃 구조(flower structure)와 유사한 지질구조의 발달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지만, 연구지역의 특성상 노두 확인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해석에는 불확실성이 있다. 따라서 단층대의 기하학적 특징, 단층간의 연결 형태 등에 대한 자세한 조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Singal fault zone in the Gyeonggi massif is identified in the Kiheung area. Geotechnical investigations were carried out to locate and characterize of the Singal fault zone in the Kiheung reservoir area. The N-S striking Shingal fault is known to be a Riedel-type strike-slip faul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차원 전기비저항탐사와 측정원리 및 탐사방법은 동일하지만 3차원 전기비저항탐사의 실시는 3차원적 해석을 통하여 해석영역 내에 분포하는 전기비저항이 낮은 비저항 이상대(저비저항 이상대)를 3차원으로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3차원 전기비저항탐사는 2차원 전기비저항탐사 결과에서는 확인할 수 없는 단층대의 주향방향 및 규모를 파악할 수 있다.
  • 우리의 연구는 서울 이남지역의 기흥저수지 인근에서 신갈단층의 확인을 위해 이루어졌다. 이 지역에 기흥저수지 하저로 터널이 계획되어 있기 때문에(Kim et al.
  • 우리의 연구는 서울 이남지역의 기흥저수지 인근에서 신갈단층의 확인을 위해 이루어졌다. 이 지역에 기흥저수지 하저로 터널이 계획되어 있기 때문에(Kim et al., 2011) 단층대 분포의 기하학적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여 터널과 단층대간의 교차구간을 최소화 하는데에 연구의 주안점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3차원 전기비저항탐사의 실시의 목적은? 2차원 전기비저항탐사와 측정원리 및 탐사방법은 동일하지만 3차원 전기비저항탐사의 실시는 3차원적 해석을 통하여 해석영역 내에 분포하는 전기비저항이 낮은 비저항 이상대(저비저항 이상대)를 3차원으로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3차원 전기비저항탐사는 2차원 전기비저항탐사 결과에서는 확인할 수 없는 단층대의 주향방향 및 규모를 파악할 수 있다.
신갈단층대에 대하여 서울 이남지역에서의 연구 자료가 없는 이유는? 신갈단층대에 대하여 대부분 서울 이북지역에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서울 이남지역에서의 연구 자료는 거의 전무하다. 이러한 이유는 이 지역에서 신갈단층대의 상당부분이 경부고속도로와 평행하고 논과 밭 지역상에 위치하여 노두 관찰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신갈단층의 특징은? 신갈단층은 경기육괴내에 연천-포천-의정부-서울-평택에 이르는 남북방향의 뚜렷한 선구조로 나타난다(KIGAM, 2002). 위성영상 자료를 이용한 서울-동두천 간의 선구조 분석에 의하면 이 선구조는 추가령 단층대에 속하는 주향이동단층으로 확인되었다(Ka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oi, S.J. and Chwae, U.C. (2010) Sagang Sedimentary Basin, Econ. Environ. Geol., v.43, p.43-45. 

  2. Kang, P.C., Chi, K.H., Cho, M.J. and Choi, Y.S. (2011) A Geological Study on the Seoul-Dongducheun Lineament Using Digital Image Processing Teachiques of Landsat Dat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emote Sensing, v.1, p.39-51. 

  3. Kee, J.S. (2000) Tectonic Study on the Chugaryeong Fault Zone in the Vicinity of Euijeongbu-Dongducheon Area using Geophysical Methods, Yonsei University, 118p. 

  4. KIGAM (1999) Explanatory note of the Seoul-Namchonjeom sheet (1:250,000),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 KIGAM (2002) Tectonic Map of Korea (1:1,000,000), KIGAM. 

  6. Kim, H.J., Jeong, T.H., Choi, D.J., and Kim, S.G. (2011) Characterization of the Sin-gal Fault in the Sin-gal Reservoir Area by Geophysical Methods, KTA 2011 Annual Conference, p.165-179. 

  7. Kim, J.H (1997) A study on Fault structures in the Chukaryong Rift Valley (Uijeongbu-Dongducheon),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Chirihak Yeongu, v.31, p.19-26. 

  8. Kim, J.H (1998) A study on Fault structures in the Chukaryong Rift Valley (Uijeongbu-Pocheon),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Chirihak Yeongu, v.32, p.29-38. 

  9. Kim, O.J. (1973) The Stratigraphy and Geologic Structure of the Metamorphic Complex in the Northwestern Area of the Kyonggi Massif. Mining Geol., v.6, p.201-218. 

  10. Kim, K.H. and Song, M.Y. (1995) Structure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Mid-west Crust of Korea:Paleomagnetism of the Cretaceous Volcanic Rocks in . Jour.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16, p.65-73. 

  11. Kim, K.H., Song, M.Y., Jeong, J.G., Kim, W.S. and Lee, D.W. (1997) Structure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Mid-west Crust of Korea (III): Paleomagnetism of the Cretaceous Volcanic Rocks in the Southern Choogaryong Rift Zone. Jour.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18, p.332-338. 

  12. Kim, J.H. (2002) Structural Geology. Woosung, Korea, p.260-265. 

  13. Kim, J.H., Lee, M.J., Song, Y.H., Jo, S.J., Lee, S.G. and Son, J.S. (2002) KSEG 4th special symposium, p.56- 60, 139-162. 

  14. Lee, D.S., Ryu, K.J. and Kim, G.H. (1983) Geotectonic Interpretation of Choogaryong Rift Valley, Korea. J. Geol. Soc. Korea, v.19, p.19-38. 

  15. Lee, Y.S., Min, K.D. and Hwang, J.H. (2001) The Geodynamic Evolution of the Chugaryeong Fault Valley in a View Point of Paleomagnetism, Econ. Environ. Geol., v.34, p.555-571. 

  16. Oh, I.S. and Yuhn, Y.Y. (1972)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Su Weon sheet (1:50,000), KIGAM. 

  17. Ramsay, J.G. and Huber, M.I. (1987) The Techniques of Modern Structural Geology. v. 2: Folds and Fractures. Academic Press, London, p.700. 

  18. Son, H.W., Kim, J.S., Song, Y.S., Yun, Y.J., Kim, I.S., Seo, M.C., Kim, K.Y., Cho, I.K. and Kim, H.S. (2000) Geophysical survey for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Sigma Press, Korea, p.363-366. 

  19. Wilcox, R.E., Harding, T.P. and Seely, D.R. (1973) Basic wrench tectonics: American Association of Petroleum, Geologists Bulletin, v.57, p.74-96. 

  20. Won, C.K., Kim, Y.K. and Lee, M.W. (1990) The Study on the Geochemistry of Choogaryong Alkali Basalt, Jour. Geol. Soc. Korea, v.26, p.70-81. 

  21. Yule, D. and Sieh, K. (2003) Complexities of the San Andreas fault near San Gorgonio Pass: Implications for large earthquake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108, NO. B11, 2548, doi:10.1029/2001JB0004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