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복디자인에서의 모듈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ularity in Clothing Design 원문보기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14 no.2, 2012년, pp.1 - 10  

임소연 (연세대학교 의류과학연구소) ,  이주현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lothing design is one of design products for human, the end user and corresponds to artifacts. Sometimes artifacts with one mono module exist, and so does artifacts assembled and combined with multi modules of same shape and size or various shapes and sizes and thus all design products can be und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는 우선, Baldwin과 Clark(2000)이 정의한 모듈성에 대해 규명하고, 다양한 의복 발달사(고애란, 2008; 박일록, 조진애, 1998; 신상옥, 1998, 2009)에서 보여지는 고대 의복 원형 자료들 중 특히 의복 평면 구성도 자료들을 기초로 하여 의복을 구성하는 각각의 패턴을 하나의 모듈로 이해하는 방식으로 의복디자인에 모듈성 개념을 적용하였다. 또한, 이러한 의복 모듈성을 분석함에 있어서 그 유형과 방향 그리고 범주를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의복 모듈화 디자인 유용성에 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모듈성과 의복 모듈성을 이용한 의복 모듈화 디자인에 대한 연구로서 기존의 선행연구들 중 패션과 건축의 공간구성 방식에서의 건축적 패러다임 이용 유사성을 분석한 연구(양희영, 양숙희, 2006)와 20세기후반 이후 패션 구성 방식에 나타난 모듈러 시스템에 대한 연구 (양희영, 2008)에서 나타난 현대 패션에의 모듈성 개념의 적용을 그 출발점으로 하였다. 하지만 선행 연구가 현대 패션에 적용된 모듈성을 밝히고 그 특성들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었던 것과는 달리 본 연구는 복식사를 통해서 우리 인간과 오랜 역사를 통해 함께 해온 의복 디자인이 이미 스스로 가지고 있는 본연의 의복 모듈성에 대해 보다 심도 있게 기초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패션의 독창성과 창의성 접근을 위하여 의복 원형 진화 역사를 통한 의복 모듈성의 유형, 방향, 그리고 범주와 같은 기초 분석과 더불어 이러한 의복 모듈성을 의복디자인에 적용한 의복디자인, 즉, 의복 모듈화 디자인의 유용성에 대한 기초 분석 결합을 통해서, 보다 근원적으로 의복디자인에서의 모듈성에 대해서 연구 분석한 것으로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발맞추어 다양하고도 많은 새로운 접근의 선행 연구들이 이뤄졌는데, 특히, 양희영, 양숙희(2006)의 1990 년대 이후 패션에 나타난 건축적 패러다임을 연구한 선행 연구는 건축디자인 영역에서 시작된 모듈성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하여 모듈성 개념의 모듈러 시스템을 패션에 적용하였고, 모듈성 개념의 근원 영역인 건축디자인 영역과의 비교고찰을 통해서 패션과 건축이 공간구성 방식의 패러다임에서 유사성을 가지고 있음을 밝혀냈고, 양희영(2008)의 20세기후반 이후 패션 구성방식에 나타난 모듈러 시스템에 대한 선행 연구는 현대 패션에서 실제적 디자인 산물로 나타나는 모듈러 시스템의 적용 모습과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선행 연구가 보여준 현대 패션에서의 모듈성의 적용에서 좀 더 근원으로 다가가, 본 연구는 복식사속에서 나타나는 의복 원형들이 이미 스스로 가지고 있는 의복 모듈 성 개념에 접근하고자한다. 즉, 본 연구는 의복이 근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의복 모듈성이 무엇인지에 대해 기본적으로 고찰하고 그 의복 모듈성에는 어떠한 유형이 있는가, 의복 모듈성은 어떠한 방향으로 진화 또는 퇴화하는가, 그리고 의복 모듈성을 어떠한 범주로 나누어 볼 수 있는가를 고찰하여 이러한 의복 모듈성을 이용한 의복 모듈화 디자인 작업 시 어떠한 유용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가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한다.
  • 이렇듯 상기 연구 분석을 통해 분석된 의복 모듈성의 유형과 방향 그리고 그 범주를 적용하고 이용하는 의복 모듈화 디자인은 다양한 유용성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기에 본 연구는 의복디자인 전체 작업 속 의복 디자이닝단계, 의복 패턴 구성 단겨], 의복 제작 단계에서의 유용성을 모두 고려하고자, 시간적 효율, 비용 효율, 디자인 질적 효율, 작업수행 효율 등을 기준 근거로 의복 모듈화 디자인이 가지는 유용성을 분석 도출하였다.
  •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의복디자인의 모듈성에 기초하여, 인류의 복식사 속 다양한 의복 원형들안에서 나타나는 의복 모듈성에 대해 연구 접근하였으며, 의복 모듈성의 기초적인 유형, 진화 및 퇴화의 발달 방향, 의복 안에서 나타나는 모듈성의 범주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의복 모듈화 디자인의 유용성을 분석하여 의복 모듈성에 대해 보다 기초적이고도 근본적으로 연구 접근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앞으로 기존의 정형적인 의복디자인을 탈피한 새롭고도 창의적인 디자인을 모색함에 있어서 유용하고도 흥미로운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하는바이다.
  • 즉, 본 연구는 의복이 근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의복 모듈성이 무엇인지에 대해 기본적으로 고찰하고 그 의복 모듈성에는 어떠한 유형이 있는가, 의복 모듈성은 어떠한 방향으로 진화 또는 퇴화하는가, 그리고 의복 모듈성을 어떠한 범주로 나누어 볼 수 있는가를 고찰하여 이러한 의복 모듈성을 이용한 의복 모듈화 디자인 작업 시 어떠한 유용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가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앞으로 의복디자인 창작에 있어 의복 모듈성을 보다 활발하게 활용하고, 보다 새로운 창의성 접근을 연구하는데 있어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이러한 선행 연구가 보여준 현대 패션에서의 모듈성의 적용에서 좀 더 근원으로 다가가, 본 연구는 복식사속에서 나타나는 의복 원형들이 이미 스스로 가지고 있는 의복 모듈 성 개념에 접근하고자한다. 즉, 본 연구는 의복이 근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의복 모듈성이 무엇인지에 대해 기본적으로 고찰하고 그 의복 모듈성에는 어떠한 유형이 있는가, 의복 모듈성은 어떠한 방향으로 진화 또는 퇴화하는가, 그리고 의복 모듈성을 어떠한 범주로 나누어 볼 수 있는가를 고찰하여 이러한 의복 모듈성을 이용한 의복 모듈화 디자인 작업 시 어떠한 유용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가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앞으로 의복디자인 창작에 있어 의복 모듈성을 보다 활발하게 활용하고, 보다 새로운 창의성 접근을 연구하는데 있어 도움이 되고자 한다.
  • 하지만 선행 연구가 현대 패션에 적용된 모듈성을 밝히고 그 특성들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었던 것과는 달리 본 연구는 복식사를 통해서 우리 인간과 오랜 역사를 통해 함께 해온 의복 디자인이 이미 스스로 가지고 있는 본연의 의복 모듈성에 대해 보다 심도 있게 기초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는 우선, Baldwin과 Clark(2000)이 정의한 모듈성에 대해 규명하고, 다양한 의복 발달사(고애란, 2008; 박일록, 조진애, 1998; 신상옥, 1998, 2009)에서 보여지는 고대 의복 원형 자료들 중 특히 의복 평면 구성도 자료들을 기초로 하여 의복을 구성하는 각각의 패턴을 하나의 모듈로 이해하는 방식으로 의복디자인에 모듈성 개념을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