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심도 지중열전도도에 의한 지열 응용의 효율성
Efficiency of Geothermal Energy Generation Assessed from Measurements of Deep Depth Geothermal Conductivity 원문보기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22 no.2, 2012년, pp.233 - 241  

조희남 (지앤지테크놀러지) ,  이달희 (연세대학교 지하수토양환경연구소) ,  정교철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장의 지중열교환기에서 조건별 지중열전도도, 유속, 유량 및 파이프관내 압력을 측정하고, 이들 시험자료들을 분석하여 지열응용의 효율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규정에 따라 현장측정 장비를 설치한 후 3가지 다른 경우에서 각각 열전도도를 얻었다. 2차와 3차 경우의 결과를 바탕으로, 동일한 암반 지중하에서 다른 깊이(506 m, 151 m), 다른 파이프관경(65 mm, 30 mm)별 얻어진 열전도도는 각각 k=2.9, k=2.8로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4차 경우는 2차 경우와 같은 조건의 심도 지중하에서도 이중관일 경우에는 열전도도가 k=2.5로 크게 차이 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지열이용 시, 같은 지질일 경우 깊이가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또한 이 시험에서 얻은 물의 유속과 물의 유량 측정값 및 열전도도를 시뮬레이션 분석한 결과, 지열시스템의 운영 시 심도 506 m 지열공 한개가 심도 151 m 지열공 3개 운영보다 더 경제적임이 확인되었다. 비슷한 지중열전도도 환경에서 0.8 m/sec로 같은 유속일 경우 약 4배의 유량($9.3{\sim}9.8m^3/d$, $2.3{\sim}2.5m^3/d$)의 차이를 보였다. 특히 대도시 건물 밀집형 지대 또는 지가가 비싸서 간접비가 많이 발생하는 대도시 지역에서는 훨씬 더 경제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test geothermal conductivity (k), water velocity, water quantity, and pipe pressure from a ground heat exchanger in the field, and then to analyze these data in relation to the effectiveness and economical efficiency for application of geothermal energy. After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밀폐형 지열측정 설비를 설치하기 위해 한밭대학교의 승인 및 협조를 얻고, 지하수법 제9조의 4 제1항 및 시행령 제14조의 3에 의거 굴착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 연구 현장의 반경 500 m 이내에 타 지열 설비가 설치 및 운영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이 지역은 이러한 열적 간섭 영향이 없었다.
  •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장에서 조건별(공의 깊이, 파이프 관경 등) 열전도도 값(k) 및 물의 유속, 물의 유량, 관(공급관, 환수관)의 압력을 측정하고, 이들 시험자료들을 분석하여 지열응용의 효율성을 분석·평가 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신·재생에너지의 기술개발의 목표는 무엇인가? 1988년에 본격적으로 시작한 국내 신·재생에너지의 기술개발은 2030년까지 전체 에너지의 11%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겠다는 목표로, 실천 가능한 실행 계획을 수립하여 진행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양적 목표 외에도 질적인 목표로서 신·재생에너지 녹색성장동력산업화가 제시되었고 이의 달성을 위한 기본적인 추진전략이 제시되었다.
2011년의 지열 에너지의 설비용량은 2005년에 비해 얼마나 증가하였는가? 9배 성장하였다. 또한 설비용량(installed capacity)은 연평균 16.6% 성장률로 2.15배 증가하였는데, 이는 전세계적으로 지하수나 지하열을 이용하는 지열펌프의 용량이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Lund et al., 2011).
지열 에너지의 직접적인 사용에 중요한 계기는 무엇인가? 1973년에 석유파동 이후, 우리나라는 여러 가지 에너지 자원을 연구 개발하고 있으며, 특히 1980년대 후반부터 다양한 환경문제(지구온난화 가속 등)의 제기와 더불어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적인 개발개념을 적극적으로 도입한 결과, 신·재생에너지의 개발과 보급이 새롭게 조명을 받고 있다 (산업자원부, 2004; (사)한국지열협회, 2011). 특히 지열펌프에 대한 인식과 인기는 지열 에너지의 직접적인 사용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Lund et al.,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김성균, 1984, 한반도 지열류량에 대한 약간의 고찰, 광산지질, 1, 109-114. 

  2. (사)한국지열협회, 2010a, 지열설비 시공능력 향상을 위한 시공가이드, 56p. 

  3. (사)한국지열협회, 2010b, 한국지열협회 창립 세미나 논문집, 3-40. 

  4. (사)한국지열협회, 2011, 공공기관설치 의무화에서 지열냉난방시스템의 고려사항 대응 방안, 44p. 

  5. 산업자원부, 2004, 대체에너지기술개발 사업안내, 16p. 

  6. 송윤호, 김형찬, 이상규, 2006, 한국의 지열 연구와 개발, 자원환경지질, 39, 485-494. 

  7. 심병완, 이철우, 2010, 천부 지열에너지로서의 지하 열에너지 저장 기술 동향, 자원환경지질, 43, 197-205. 

  8. 에너지관리공단, 2011, 신재생에너지백서, 134p. 

  9. 지식경제부, 2011a, 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 이용 보급 촉진법. 

  10. 지식경제부, 2011b,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지원 등에 관한 기준 및 지침. 

  11. 한국 에어콘 냉동기기 연구조합, 2010, 친환경신재생에너지 정책동향 및 응용기술전망, 98p. 

  12. 한욱, 김영석, 1996, 한반도와 그 주변지역의 지열류량분포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32, 267-275. 

  13. 한정상, 한규상, 한혁상, 한찬, 2005, 지열펌프 냉난방 시스템, 도서출판 한림원, 69p. 

  14. 한정상, 한찬, 2010, 지열에너지, 도서출판 한림원, 56p. 

  15. 환경부, 2010, 지열 설비의 설치.운영 등에 관한 환경관리요령, 23p. 

  16. Barbier, E., 2002, Geothermal energy technology and current status: an overview,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6, 3-65. 

  17.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Home Page, http://www.epa.gov/ 

  18. Ever Source Technology Development Home Page, http://www.hyy.com.cn/ 

  19. Geothermal Heat Pump Consortium Home Page, http://www.geoexchange.org/ 

  20. Kazemann, R.G. and Whitehead, W.R., 1980, The spacing of heat pump supply and discharge wells, Groundwater Heat Pump Journal, 1, 25-36. 

  21. Lee, J.Y., 2009, Current status of ground source heat pumps in Korea,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13, 1560-1568. 

  22. Lund, J.W., Freeston, D.H., L. Boyd, T.L., 2011, Direct utilization of geothermal energy 2010 worldwide review, Geothermics, 40, 159-18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