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건강정보 웹사이트의 소비자 중심 품질요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umer-focused Quality Factor of Health Information Websites 원문보기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17 no.7, 2012년, pp.129 - 138  

신현산 (충청대학교 보건의료정보과) ,  김평중 (충북도립대학 컴퓨터정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선진국을 중심으로 의료시장 개방 압력이 거세지고 있다. 아울러 일반인들도 건강정보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최근 건강(의료)정보 포털 사이트의 폭발적 증가를 가져왔으나 시대의 흐름에 적합한 양질의 의료정보 검증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정보 웹사이트의 소비자 중요도와 만족도 면에서 사용성, 정보구조 및 내용, 그리고 상호작용성과 이와 관련하여 재방문 의향 여부를 측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보시스템 품질평가에 유용한 도구로 평가되는, 수정된 기술수용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된 WebQual 모형을 이용하여 건강정보 웹사이트의 소비자 중심 품질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목적에 적합한 수정된 WebQual 품질 요인 48개의 문항으로 323명의 충청지역 거주자에 대한 건강정보 웹사이트 품질 요인을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 분석결과는 WebQual 품질 요인 중에서 소비자 중심의 품질요인으로 크게 사용성, 정보품질(정보체계, 정보내용), 상호작용성(개인화, 개인정보보호) 각각의 세부 주요 요인들을 도출하였으며 재방문성과의 관련 정도를 나타낼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무한 경쟁 시대의 건강정보 웹사이트 구축에 유용한 시장 전략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spite of increasing pressure of opening to free for medical market by an advanced nation and increasing number of portal websites for health information,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issues of enhancing the service quality of health information websites. The survey exhibited that the qual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웹사이트의 소비자 중심 품질요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WebQual 모형에서 제시된 품질요인을 수정하여 적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제시된 품질요인을 소비자 입장에서 건강정보 웹사이트에 대한 중요도 및 만족도 문항을 조사 분석하여 주요 품질 요인을 추출하였고, 아울러 그 요인들이 재방문의향에 영향을 주는 지를 분석하였다. 더불어서 일반인이 선호하는 국내 건강 정보 6개 웹사이트에 대하여 의료정보 전문가의 의견을 조사하여 소비자중심의 품질요인 도출 과정에 보완하였다.
  • 본 연구는 건강정보 웹사이트 품질 평가 및 요인 도출을 위하여 현재는 전자도서관, 웹 포털 시스템 외에 사례가 거의 없는 WebQual을 적용함에 따른 무리를 감수하면서, 미래의 의료시장 개방과 소비자 중심의 서비스를 고려해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추출된 평가요인을 참고하여 정형화된 건강정보 웹사이트 품질 평가 모델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으로 본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 공급자보다는 일반소비자에게 적합한 건강정보 웹사이트 품질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웹사이트의 소비자 중심 품질요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WebQual 모형에서 제시된 품질요인을 수정하여 적용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정보 및 서비스 제공자보다는 일반 소비자에게 적합한 건강정보 웹사이트 품질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웹사이트의 소비자 중심 품질요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웹사이트 설계에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고 확산했는지를 분석 평가하는 기술수용모형(TAM)을 토대로 수정된 WebQual 모형을 이용하였다.
  • 연구대상자의 주요 중요도 및 만족도 요인들에 대하여 상호 평균 비교하였다. 사용자들에게 중요한 품질 요인이지만 기존의 웹사이트에서는 만족하지 못한 품질 항목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연구대상자와 전문가의 평가 결과를 통해 서로의 품질 요인 차이를 관찰하고 이에 대한 보완책을 알아보기 위함이었다.
  • 사용자들에게 중요한 품질 요인이지만 기존의 웹사이트에서는 만족하지 못한 품질 항목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연구대상자와 전문가의 평가 결과를 통해 서로의 품질 요인 차이를 관찰하고 이에 대한 보완책을 알아보기 위함이었다.
  • 전문성과 다양성 그리고 고객관계관리와 같은 서비스 품질 향상은 웹사이트의 사용자 만족도와 중요도를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소로 건강정보 웹사이트 품질의 중요한 방향으로 평가되고 있다⦗14⦘. 아울러 이런 부문은 전문가의 견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본 연구에서는 일반 소비자를 위한 품질 요인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일부 의료정보 전문가의 의견을 조사하였다.
  • 의료정보 전문가의 설문 조사 이유는 연구대상자인 일반 소비자는 정보시스템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고, 전문적인 혹은 세분화된 평가항목에 대해서 웹사이트의 제공여부를 쉽게 알 수 없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보완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 아울러 전문가가 평가한 6개 병원의 건강정보 웹사이트에 대한 항목별 만족도를 빈도 분석하고 항목간 비교하였다. 이는 전문가의 주요 품질 요인을 도출하여 연구대상자와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연구결과를 보완하기 위함이었다.
  • WebQualC은 WebQual(표 1) 평가 항목의 틀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각각의 평가 항목을 건강정보 웹사이트 제공 기능과 대응시켜 조사하였다. 이유는 조사과정에서 표 1의 WebQual 평가 항목은 상당한 정도의 웹 전문지식이나 구축경험이 요구되며 항목에 따라서는 평가 난이도가 매우 높다는 평가자들의 의견이 많아서 평가 항목별로 가능하면 각 항목들을 웹사이트 제공 기능과 대응시켜서 평가 항목 이해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전문가 설문 항목(WebQualE)은 표 1의 WebQual의 평가항목을 거의 대부분 수용하였다.
  • 추가적으로 일반인이 선호하는 국내 건강정보 6개 웹사이트에 대하여 의료정보 전문가의 의견을 조사하여, 전문성, 다양성, 고객관계관리 서비스 등의 소비자중심 품질요인 도출 과정에 보완하였다. 전문가의 설문 조사 이유는 연구대상자인 일반 소비자는 정보시스템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고, 또한 전문적이고 세분화된 평가항목에 대해서 웹사이트의 제공여부를 쉽게 알 수 없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보완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의료 환경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나? 국내 의료 환경은 최근 들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전자의무기록(EHR)에서 스마트폰, 스마트카드를 접목한 개인맞춤형건강기록(PHR)으로의 진화와 유비쿼터스 건강관리 서비스 등 전 국민 평생건강관리가 현실화되고 있다. 또한 의료 전문기관뿐만 아니라 국내⋅외 의료관련 사업자들이 웹사이트를 통해 개인건강정보를 상업화하는 의료포털서비스 전성시대가 멀지 않을 것으로 경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1,2,3⦘. 최근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의 세계적 기업들이 단순한 건강정보 제공과는 다른 차원의 고객 맞춤식 의료정보 포털 서비스를 시범 운영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많은 건강정보 웹사이트들이 서비스되고 있거나 준비 중에 있다.
기술수용모형은 무엇이며 대표적인 예는? 이러한 입장에서 웹사이트 설계에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고 확산했는지를 분석 평가하는 연구가 기술수용모형(TAM)을 이용하여 시도되었다⦗4⦘. 기술수용모형은 이용의 편리성과 유용성이 이용태도에 미치는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며 이의 대표적인 연구가 수정된 기술수용모형인 WebQual 모형이다⦗5⦘. WebQual 모형을 토대로 전자도서관, 웹 포털 시스템의 품질을 평가한 연구는 있었다.
의료서비스는 어떻게 구분하나? 의료서비스는 의료기관 브랜드, 의사의 명성, 병원위치 및 규모, 병원시설 등의 기술적인 품질과 병원 직원들의 친절성, 전문성, 외래, 입퇴원 및 기타 수속의 편리성, 의료처치의 신뢰성, 사후지원체계의 만족성 등의 기능적인 품질로 구분한다. 이와 같은 두 부류의 항목들은 웹사이트 설계 및 구축에 반영되어, 정보시스템 관점에서 세 가지로 영역으로 정보영역, 서비스영역, 시스템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ker L, et al., "Use of the Internet and E-mail for Health Care Information", JAMA, Vol.28, No.1, pp.2400-2406 2003. 

  2. T. M. Song,"Health Information Websites in Korea", KIHASA,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pp.61-66, 2006. 

  3. H. J. Yu, et al., "Inetractivity Represented on Health-related Websites", Journal of Korean Adv. Promotion, Vol.13, No.1, pp.65-104 2011. 

  4. Chu, C.H, Cheng, C.Y and Wu, C.W, "Applications of the Web-based Collaboratiove Visualization in Distributed Product Development", Computers in Industry., Vol.57, No.3, pp.272-282, 2006. 

  5. Hong, O.S, "Developing Web Site Quality Evaluation Models: Focused on Airline Web Site", A Doctoral Dissertation of Bussiness Adminitration, Korea Aerospace University, Aug. 2009. 

  6. Aladwani AM, Palvia PC, "Developing and Validating an Instrument for Measuring User-Perceived Web Quality", Inform. Manage., Vol.3, No.9, pp.467-476, 2002. 

  7. B. S. Jee, et al.,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Behavior for Information Quality: Health Psy- chology Theory Perspectives", Journal of Quality Management, Vol.39, No.3, pp.432-443, Sep. 2011. 

  8. K. W. Cho, et al., "Analysis of Internet Usage Patterns of Health Consumers for Internet Health Information Assessment Criteri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24, No.2, pp.15-28, 2007. 

  9. Parasuraman A, et al., "Conceptual Model of Service Quality and Its Implication for Future Research", J. Mark Vol.7, No.2, pp.36-49 2003. 

  10. Barnes SJ, Vidgen R, "An Evaluation of Cyber-Bookshops: The webQual Method", Int J. Electon. Commerce", Vol.6, No.1, pp.11-30, 2001. 

  11. Eleanor TL, Richard TW, Dale LG, "WebQualTM: A Measure of Web Site Quality. Tech Memo", pp.1-71, 2003. 

  12. J. H. Park, et al., "Korea Internet Health Information Quality Evaluation using DISCERN", S.N.U. Depart. of Health Policy & Management, 2006 

  13. M. J. Kim, et al.,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Checklist for Internet Health/Disease Information", Journal of Medicine Informatics, Vol.12, No.4, pp.283-292, Dec. 2006. 

  14. Sam Ok, et al., "The Impact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Service Quality on Expectation and Purchase Intention of Offline Health Service", The e-business studies, Vol.10, No.3, pp.173-201, 2009; 10(3): 

  15. S. K. Hong, S. I. Baek, "A Study on the Internet Bookstore Quality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WebQual Measurement",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Vol.19, No.5, pp.1895- 1912, May 2006. 

  16. H. J. Kim, H. A. Park, "Selection Criteria and Utilization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by Consumers" Journal of Medicine Informatics, Vol.10, No.1, pp.55-68, 2004. 

  17. Y. M. Son, C. S. Park. "A Study on the Relationship Marketing Implement Factors and Repurchase in Hospital",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Vol.19, No.2, pp.379-401, Apr. 2006. 

  18. H. K. Kim, et al., "Development of User Based Recommender System using Social Network for u-Healthcare", J. of Knowledge Information Research Vol.16, No.3, pp.181-199, Sep. 2010. 

  19. H. S. Shin, "Quality Factor for the Consumerfocused Health Information Websites" ChungNam National Univ. M.D. Theses, 2009. 

  20. K. R. Park, et al., "Utilization of Internet Health Information Sites by Undergraduates at Colleges Related to Public Health",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21, No.1, pp.85-102, Mar.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