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뉴미디어를 활용한 재난방송 전달체계 개선 연구
A Study on Improving The Delivery System of Emergency Disaster Broadcast using New Media 원문보기

방송공학회지 = Korea society broadcast engineers magazine, v.17 no.3, 2012년, pp.24 - 39  

최재웅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1년 3월 11일 일본 혼슈 센타이 동쪽 179Km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9.0의 지진에 의한 쓰나미로 동북부 지역에 엄청난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지진을 비롯한 각종 대규모 자연재해 상황 하에서 재난방송에 대한 체계를 전반적으로 재점검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지금까지 우리는 재난이 발생하면 TV나 라디오 등 전통적인 매체에 의존하고 있으며 실제 이러한 매체는 지금까지 국민들에게 신속하게 재난정보를 알리는 중요하고도 충실한 역할을 담당해 오고 있다. 그러나 지난해 일본의 쓰나미와 같이 인간의 능력으로 감당하기 힘든 대규모 재난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러한 전통적인 재난 방송 매체만으론 역 부족이 될 수 있고. 실제로 일본에서 효과를 나타낸 것은 인터넷 전화(VoIP)와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 뉴미디어로 구글, 페이스북과 국내의 NHN, 다음 등은 실종자 정보와 피난처 정보를 제공하고 피해자의 안위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하는 등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알리는 새로운 매체로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본 고에서는 뉴미디어를 재난방송 전달 매체로 활용하기 위해 현재 운영되고 있는 재난방송 체계 및 시스템의 조사를 통해 개선되어야 할 사항을 도출하고 활용 가능한 뉴미디어 현황 조사를 통해 재난방송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고 외국의 재난방송 운영 사례를 참고하여 새로운 전달체계 모델의 정립과 이를 위한 법적, 제도적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분배서버는 기상청, 소방방재청, 시·도 등 지자체가 요청한 재난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권역별 서버로 재난정보를 전달하고, 권역서버는 재난방송 요청 내역을 지역에 따라 필터링하며, 클라이언트는 방송통신위원회가 발송한 재난방송 요청을 수신한다. 각 방송사에서는 이 요청에 따라 재난방송을 실시하고, 조치 결과를 클라이언트를 통해 방송통신위원회로 보고한다.
  • 본 고에서는 향후, 다가올 디지털 방송시대를 대비하고 다양한 IT 기술의 산물인 SNS, DMB, 스마트폰 등을 지상파 중심의 재난방송 시스템에 추가하여 지상파 방송이 가지는 재난경보 전달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다양하고 신속한 방법으로 재난정보를 국민들에게 전달하기 위해 다 매체를 활용한 『재난방송 전달체계 재 구축』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문에서는 디지털 방송이 본격화 되는 시기를 맞이하여 우리나라 재난방송의 현 주소와 재난방송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각종 매체에 대해 알아보고 또한, 각 국의 재난방송 현황과 운용하고 있는 시스템에 대해 파악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난방송온라인시스템이란 무엇인가? 재난방송온라인시스템(EDBS : Emergency Disaster Broadcasting System)은 국내에서 발생된 재난정보와 상황을 국민들에게 신속히 알리기 위해 운용하고 있는 시스템으로 기상청과 소방방재청으로부터 전송된 재난상황을 방송통신위원회 분배서버를 통해 전국의 180여개 방송사에 재난방송을 요청함과 동시에 컴퓨터와 휴대폰 LMS4) 문자를 통해 재난방송담당자에게 실시간으로 재난상황을 통보하고 각 방송사는 재난의 중요도에 따라 자막방송, 속보방송 특보방송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 시스템을 운영하기 전에는 재난 발생이 예상되거나 발생하여 각 방송사로 재난방송을 요청할 때 팩스, 전화 등으로 재난정보를 전달하였으며 정보의 분실, 훼손, 전달 시간 지연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하였다.
재난방송온라인시스템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재난방송온라인시스템은 분배 서버와 권역 서버, 그리고 각 방송사의 클라이언트로 구성된다. 분배서버는 기상청, 소방방재청, 시·도 등 지자체가 요청한 재난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권역별 서버로 재난정보를 전달하고, 권역서버는 재난방송 요청 내역을 지역에 따라 필터링하며, 클라이언트는 방송통신위원회가 발송한 재난방송 요청을 수신한다.
재난방송온라인시스템이 운영되기 전에는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였는가? 재난방송온라인시스템(EDBS : Emergency Disaster Broadcasting System)은 국내에서 발생된 재난정보와 상황을 국민들에게 신속히 알리기 위해 운용하고 있는 시스템으로 기상청과 소방방재청으로부터 전송된 재난상황을 방송통신위원회 분배서버를 통해 전국의 180여개 방송사에 재난방송을 요청함과 동시에 컴퓨터와 휴대폰 LMS4) 문자를 통해 재난방송담당자에게 실시간으로 재난상황을 통보하고 각 방송사는 재난의 중요도에 따라 자막방송, 속보방송 특보방송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 시스템을 운영하기 전에는 재난 발생이 예상되거나 발생하여 각 방송사로 재난방송을 요청할 때 팩스, 전화 등으로 재난정보를 전달하였으며 정보의 분실, 훼손, 전달 시간 지연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구)방송위원회에서 2006년 7월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운용하여 왔으며 2008년 정부조직개편과 함께 방송통신위원회는 (구)방송위원회로부터 이관받아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이경미외 저, 2008, "태풍나리 관련 제주지역의 재난방송보도 연구" 제주대학교 

  2. 김정태. 2010, "디지털시대 방송법 해설" 커뮤니케이션북스 

  3. 이연, 2010, "디지털방송시대에 있어서의 재난방송의 역할과 과제", 재난정보미디어포럼 

  4. 김지영 외저, 2011, "SNS를 활용한 스마트 채널 구축방안",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8, No.1(D) 

  5. 김유향 외저, 2011, "일본대지진과 재난대응 미디어로서 SNS의 가능성", 국회입법조사처 이슈와논점 제214호 

  6. 최성종 외저, 2006, "재난경보방송 동향", 한국인터넷정보학회지 제7권 2호, 

  7. 재난포커스(http://www.di-focus.com) 2012. 4.18자 

  8. 한형서, 2008, "독일정부의 재난관리 체계", FES-Information-Series 

  9. 안영훈, 2008, "주요 선진국의 재난 및 안전관리체계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 

  10. 이연, 2011, "NHK의 재난방송 시사점과 KBS 재난방송 체계 강화 방안 모색", 재난정보미디어포럼 

  11. 이정아, 2001, "유비쿼터스 IT활용재난대응체계 현황 및 과제", 한국정보사회진흥원 IT정책연구시리즈 제5호 

  12. 강민구 외 저, 2007, "남북한 재난방송과 디지털 라디오 동향" 한국인터넷정보학회 제8권 제3호 

  13. 신일진 2009, "디지털 양방향 TV 서비스의 수요 예측 및 활성화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논문 

  14. Dr. kazuyoshi shogen et, 2009, Handbook on EWBS, http://www.abu.org.my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