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항공 라이다데이터를 이용한 개별수목탐지 및 평균수고추정
Detection of Individual Trees and Estimation of Mean Tree Height using Airborne LIDAR Data 원문보기

한국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20 no.3, 2012년, pp.27 - 38  

황세란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이미진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이임평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림의 보존과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면서 항공 라이다데이터를 이용한 산림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산림연구에서 수목고도는 정량적인 산림측정을 위한 중요한 변수로 이용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항공 라이다데이터로부터 수목고도 추정을 위한 대표적인 두 종류의 방법을 적용하고 그 결과를 비교분석한다. Local maximum 필터링에 기반한 개별수목탐지 방법으로 개별수목의 수, 위치, 높이 및 평균수고를, 수목고도모델 또는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평균수고 추정방법으로 개별격자 또는 전체영역에 대한 최대, 평균수고, 평균 수관고를 추정한다. 현장에서 실측한 검증데이터와 비교한 결과 개별 수목은 76.6%의 정확도로 탐지되었으며 개별수고는 전체 수종의 경우 1.91m, 침엽수종에 대해서는 0.75m의 RMSE로 추정되었다. 반면 수목고도모델을 이용하여 추정된 평균수고는 약 1~2m의 RMSE를 보였으며,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추정된 평균수고는 약 0.6m 과소 추정되었다. 정확하고 다양한 산림정보 추출을 위해 수종 및 추정인자에 따라 적합한 상호보완적인 방법을 선택하고 융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necessity of forest conservation and management has been increased, various forest studies using LIDAR data have been actively performed. These studies often utilize the tree height as an important parameter to measure the forest quantitatively. This study thus attempt to apply two represen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장측정에서 평균수고는 수목의 최대 높이를 측정하고, 흉고직경(DBH, diameter at breast height)을 가중으로 한 평균높이로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라이다데이터로부터 평균수고를 추정하기 위해 최대 높이와 최빈 구간 사이에 분포하는 데이터들의 평균을 계산하였다. 또한 히스토그램으로부터 수목들의 평균 수관고(crown height)를 추정하기 위해 수관 경계의 추정하였다.
  • 그림 7은 TM좌표변환 후 N, E 좌표에 대해 각각 370900, 211000만큼 평행이동 한 결과이다[24]. 본 연구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개별수목탐지 및 평균수고측정 결과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혼합산림영역에 대해 개별수목탐지와 평균수고추정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개별수목탐지 방법으로 각 개별수목의 위치, 높이 및 평균수고를 추정하며, 평균수고 추정방법으로 최대, 평균수고, 평균 수관고를 추정한다.
  • 필터링으로 분류된 비지면점과 DTM을 차분하면 평지를 기준으로 하는 실제 수목의 높이분포를 나타내는 점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이점들은 개별수목탐지와 평균수고추정에 이용되며, 본 장은 실험에 적용된 지면점 필터링과 수고추정 방법을 기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연구에서 수목고도는 무엇을 위한 중요한 변수로 이용되는가? 산림의 보존과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면서 항공 라이다데이터를 이용한 산림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산림연구에서 수목고도는 정량적인 산림측정을 위한 중요한 변수로 이용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항공 라이다데이터로부터 수목고도 추정을 위한 대표적인 두 종류의 방법을 적용하고 그 결과를 비교분석한다.
수목의 고도를 추정하기 위한 연구도 활발히 수행되었으며 일반적으로 개별수목탐지에 기반을 둔 방법과 특정 영역 내의 포함된 수목들의 평균높이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분류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산림의 보존 및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산림 영역에 대한 정량적인 측정과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라이다를 이용한 산림연구에서는 산림생체량 추정, 산림변화 탐지와 같은 산림의 생물물리학적인(biophysical) 측정인자를 추정하는 연구들이 수행되어왔으며[8, 19, 23], 이러한 연구에서 수목의 고도는 산림의 규모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중요한 변수로 이용되었다[20]. 따라서 수목의 고도를 추정하기 위한 연구도 활발히 수행되었으며 일반적으로 개별수목탐지에 기반을 둔 방법과 특정 영역 내의 포함된 수목들의 평균높이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분류된다.
항공 라이다데이터를 이용한 산림연구가 활발히 수행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산림의 보존과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면서 항공 라이다데이터를 이용한 산림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산림연구에서 수목고도는 정량적인 산림측정을 위한 중요한 변수로 이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 Persson, J. Holmgren, and U. Soderman, 2002, "Detecting and Measuring Individual Trees Using an Airborne Laser Scanner,"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vol. 68, no. 9, pp. 925-932. 

  2. B. Koch, U. Heyder, and H. Weinacker, 2006, "Detection of Individual Tree Crowns in Airborne Lidar Data,"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vol. 72, no. 4, pp. 357-363. 

  3. C. Lin, G. Thomson, C. S. Lo, and M. S. Yang, 2011, "A Multi-level Morphological Active Contour Algorithm for Delineating Tree Crowns in Mountatinous Forest,"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vol. 77, no. 3, pp. 241-249. 

  4. E. Næsset, 2002, "Predicting forest stand characteristics with airborne scanning laser using a practical two-stage procedure and field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80, no. 1, pp. 88-99. 

  5. G. Sithole, 2001, "Filtering of Laser Altimetry Data using A Slope Adaptive Filter," International Archives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Annapolis, MD, Oct. 22-24, vol.34(3/W4), pp. 203-210. 

  6. G. Vosselman, 2000, "Slope based filtering of laser altimetry data," International Archives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vol. 33(B3/2), pp. 935-942. 

  7. J. Hyyppa, O. Kelle, M. Lehikoinen, and M. Inkinen, 2001, "A Segmentation-Based Method to Retrieve Stem Volume Estimates from 3-D Tree Height Models Produced by Laser Scanners,"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vol. 39, no. 5, pp. 969-975. 

  8. K. Zhao, S. Popescu, and R. Nelson, 2009, "Lidar remote sensing of forest biomass: A scale-invariant estimation approach using airborne laser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113, no. 1, pp. 182-196. 

  9. M. Maltamo, P. Packalen, X. Yu, K. Eerikainen, J. Hyyppa, and J. Pitkanen, 2005, "Identifying and quantifying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eterogeneous boreal forests using laser scanner dat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vol. 216, no. 1-3, pp. 41-50. 

  10. M. Schardt, M. Ziegler, A. Wimmer, R. Wack, and J. Hyyppa, 2002, "Assessment of forest parameters by means of laser scanning," International Archives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Graz, Austria, vol. 34, pp. 302-309. 

  11. P. Axelsson, 2000, "DEM Generation from Laser Scanner Data using Adaptive TIN Models," International Archives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vol. 33(B4/1), pp. 110-117. 

  12. P. Soille, 1999, Morphological Image Analysis, p. 316, Springer, Berlin. 

  13. S. A. Hall, I. C. Burke, D.O. Box, M. R. Kaufmann, and J. M. Stoker, 2005, "Estimating stand structure using discrete-return lidar: an example from low density, fire prone ponderosa pine forest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vol. 208, no. 1-3, pp. 189-209. 

  14. S. Hwang and I. Lee, 2011, "Current status of tree height estimation from airborne LiDAR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27, no. 3, pp. 389-401. 

  15. S. C. Popescu, R. H. Wynne, and R. F. Nelson, 2002, "Estimating plot-level tree heights with lidar: local filtering with a canopy-height based variable window size," Computers and Electronics in Agriculture, vol. 37, no. 1-3, pp. 71-95. 

  16. S. P. Lloyd, 1982, "Least Squares Quantization in PCM," 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heory, vol. 28, no. 2, pp. 129-137. 

  17. T. Brandtberg, T. A. Warner, R. E. Landenberger, and J. B. McGraw, 2003, "Detection and analysis of individual leaf-off tree crowns in small footprint, high sampling density lidar data from the eastern deciduous forest in North Americ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85, no. 3, pp. 290-303. 

  18. X. Yu, J. Hyyppa, A. Kukko, M. Maltamo, and H. Kaartinen, 2006, "Change detection Techniques for canopy height growth measurements using airborne laser scanner data,"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vol. 72, no. 12, pp. 1339-1348. 

  19. Y. Wang, H. Weinacker, and B. Koch, 2008, "A Lidar Point Cloud Based Procedure for Vertical Canopy Structure Analysis And 3D Single Tree Modelling in Forest," Sensors, vol. 8, no. 6, pp. 3938-3951. 

  20. 송철철, 이우균, 곽두안, 곽한빈, 2008, "산림조사에서의 항공라이다 취득인자에 따른 영향분석을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 한국GIS학회, 제22권, 제6호, pp. 310-317. 

  21. 우충식, 윤정숙, 신정일, 이규성, 2007, "항공 Lidar데이터를 이용한 산림지역의 개체목 자동 인식 및 수고 추출," 한국임학회지, 제96권, 제3호, pp.251-258. 

  22. 장안진, 김대성, 김용일, 김경옥, 2005, "LiDAR 데이터와 컬러항공사진을 이용한 수목의 개체 추출 및 높이 추정," 한국GIS학회 추계학술대회, 한국공간정보학회, pp. 67-74. 

  23. 황세란, 김성준, 이임평, "항공 라이다데이터를 이용한 산림영역 탐지," 한국공간정보학회지, 제18권, 제3호, pp. 23-32. 

  24. 황세란, 이임평, 2011, "산림지형 모델링을 위한 항공 라이다 데이터의 지면점 필터링 비교분석과 정확도 개선," 한국측량학회논문지, 제29권, 제6호, pp. 641-65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