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il moisture plays a pivotal role in hydrological processes, especially in the forest which covers more than 64% of the national land. Soil moisture was monitored to analyze soil moisture chang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ime and soil layers in this study. 2 Years soil moisture change data was ob...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서울대학교 태화산 학술림 침엽수림 잣나무조림지에 장기 토양수분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토양수분 모니터링을 하였다. 시기별 (JF, M, AMJ, JA, SO, ND), 토층별 (10, 20, 30, 60, 90, 120 cm) 토양수분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자기상관분석 및 교차상관분석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양수분이란? 우리나라의 약 64 %를 차지하는 산림은 농업 수문현상, 가뭄, 홍수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토지이용 중 하나이다. 토양수분은 강우, 침투, 유출 및 증발산 순환의 연결고리를 하는 기본 인자로써, 산림에서의 토양수분변화는 작물의 생육, 생태계 변화 뿐 아니라 농업유역의 전반적인 수문순환에도 영향을 미친다 (Kim et al., 2006; Hong et al.
산림에서의 토양수분변화는 어떤 영향을 주는가? 우리나라의 약 64 %를 차지하는 산림은 농업 수문현상, 가뭄, 홍수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토지이용 중 하나이다. 토양수분은 강우, 침투, 유출 및 증발산 순환의 연결고리를 하는 기본 인자로써, 산림에서의 토양수분변화는 작물의 생육, 생태계 변화 뿐 아니라 농업유역의 전반적인 수문순환에도 영향을 미친다 (Kim et al., 2006; Hong et al.
시기별, 토층별 토양수분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자기상관분석 및 교차상관분석을 하고 강수량과 토양수분변화량의 교차상관분석, 강설량 및 기온 모니터링 결과를 활용하여 토양수분 변화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1. 2008-2009년 토양수분 모니터링 결과, 전반적으로 하부토 층으로 내려갈수록 평균 토양수분 함량 및 자기상관성은 증가하고, 편차 및 변동계수는 감소하였다. 또한, 토층별 토양수분 교차 상관성은 하부 토층간의 토양수분 교차상관성이 상부토층과 비교하여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비생육기 10 cm 토층에서는 자기 상관성이 낮은 반면, 20 cm 이하 토층에서는 높은 자기상관성을가졌으며, 4-6, 9-10월에는 전체 토층에서 높은 자기상관성을 보인 반면, 7-8월은 자기상관성이 낮았다. 2. 비생육기인 11-2월 토양수분은 소비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기온이 낮아져서 토양수분의 이동도 느려 20 cm 이하 토층에서는 토양수분함량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하지만,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면서 10 cm 토층은 동결되며, 강설에 의해 적설이 표층에 쌓이게 된다. 강수발생시 및 기온이 상승할 경우 표층의 토양수분의 융해되어 10 cm 토층은 동결, 정지, 융해 현상을 반복하며 토양수분이 변화하여 자기상관성이 낮았다. 3월은 기온이 상승하면서 동결된 토양이 융해되고 강수 후 표층은 1일 이내 중력수가 배제되었으며, 토양수분이 하부 토층까지 이동하여 토양수분이 충전되었다. 3. 생육기인 4-10월은 수목의 토양수분 소비와 강수량에 의해 전 토층에서 토양수분 함량이 변화한다. 생육기간 소비에 의한 토양수분 소비는 지수함수 형태로 규칙적으로 감소하며, 비생육기와 비교하여 전 토층에서 토양수분 소비가 발생한다. 하지만 강수에 의한 토양수분 증가는 강수량, 강우강도에 영향을 받아 특이한 패턴으로 증가하였다. 강수량에 의해 토양수분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중력수가 배제되어 감소하며, 강수량 뿐 아니라 강우강도도 토양수분 충전 및 중력수 배제 현상에 영향을 준다. 4-6, 9-10월은 강수 후 중력수가 배제되는데 2일 정도 시간이 소요된 반면, 강우량 및 강우강도가 큰 7-8월은 강우발생 당일 토양수분이 전 토층에서 증가하고 1일 선행강수에 대해 중력수가 배제되어 토양수분 변화 시간이 짧았으며, 강수량과 비교하여 충전량은 적고 대부분 중력수로 배제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les, R. C., J. W. Hopmans, A. T. O'Geen, M. Meadows, P. C. Hartsough, P. Kirchner, C. T. Hunsaker, and D. Beaudette, 2011. Soil moisture response to snowmelt and rainfall in a Sierra Nevada mixed-conifer forest. Vadose Zone Journal 10(3): 786-799. 

  2. Brocca, L., M. Galli, and M. Stelluti, 2005. Preliminary analysis of distributed in situ soil moisture measurements. Advances in Geosciences 2: 81-86. 

  3. Cha, D. S., and B. Y. Ji, 2003. A study on slope stability effects by the tree root systems (III).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2(1): 33-41 (in Korean). 

  4. Choi, D., J. H. Ahn, D. J. Jo, and S. Kim, 2010. Estimating Climate Change impact on drought occurrence based on the soil moisture PDF.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3(8): 709-720 (in Korean). 

  5. Choi, K. M., S. H. Kim, M, Son, and J. Kim, 2008. Soil moisture modelling at the topsoil of a hillslope in the Gwangneung national arboretum using a transfer functio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0(2): 35-46 (in Korean). 

  6. Choi, M., and J. M. Jacobs. 2007. Soil moisture variability of root zone profiles within SMEX02 remote sensing footprints. Advances in Water Resources 30: 883-896. 

  7. Grayson, R. B., A. W. Western, and F. S. Chiew, 1997. Preferred states in spatial soil moisture patterns: local and nonlocal controls. Water Resources Research 33 (12): 2897-2908. 

  8. Hong, E. M., J. Y. Choi, W. H. Nam, and S. H. Yoo, 2011. Analysis of soil moisture recessioncharacteristics in Conifer Fores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3(4): 1-9 (in Korean). 

  9. Hong, W. Y., M. J. Park, J. Y. Park, R. Ha, G. A. Park, and S. J. Kim, 2009.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WAT predicted forest soil moisture and MODIS NDVI during spring seas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1(2): 7-14 (in Korean). 

  10. Joo, J. Y., M. Choi, S. W. Jung, and S. O. Lee, 2010. Prediction of soil moisture using Hydrometeorological data in Selmache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0 (5B): 437-444 (in Korean). 

  11. Kim, O, K., J. Y. Choi, M. W. Jang, S. H. Yoo, W. H. Nam, J. U. Lee, and J. K. Noh, 2006. Watershed scale drounght assessment using soil moisture index.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48(6): 3-13 (in Korean). 

  12. Kim, S. H., M. J. Kang, and Y. S. Kwak, 2011. Soil moisture measurements and correlation analysis to understand the runoff generation process for a Bumrunsa hillslope of Sulmachun watershe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4(5): 351-362 (in Korean). 

  13. Lee, G. J. 2011. Tree physiology, ch 3. Growth of tree species, 33-44. St. Gwanak,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in Korean). 

  14. Longobardi, A. 2008. Observing soil moisture temporal variability under fluctuating climatic conditions.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Discussions 5: 935-969. 

  15. Mahmood, R., A. Littell, K. G. Hubbard, and J. You, 2012. Observed data-based assessment of relationships among soil moisture at various depths,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Applied Geography 34: 255-264. 

  16. Miller, G. R., D. D. Baldocchi, B. E. Law, and T. Meyers, 2006. An analysis of soil moisture dynamics using multi-year data from a network of micrometeorological observation sites. Advances in Water Resources, 30: 1065-1081. 

  17. Robinson, D. A., C. S. Campbell, J. W. Hopmans, B. K. Hornbuckle, S. B. Jones, R. Knight, F. Ogden, J. Selker, and O. Wendroth, 2008. Soil moisture measurement for ecological and hydrological watershed-scale observatories: A review. Vadose Zone Journal 7(1): 358-389. 

  18. Sutinen, R., P. Hanninen, A. Venalainen, 2008. Effect of mild winter events on soil water content beneath snowpack. Cold Regions Science and Technology 51: 56-67. 

  19. Wilson, D.J., A. W. Western, and R. B. Gryson, 2005. A terrain and data-based method for genera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oil moisture. Advances in Water Resources 28(1): 43-54.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