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합성과 분석, 및 폴리페닐렌에테르 기판소재용 경화성분으로의 적용
Synthesis and Analysis of Multi-functional Urethane Acrylate Monomer, and its Application as Curing Agent for Poly(phenylene ether)-based Substrate Material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6 no.4, 2012년, pp.413 - 419  

김동국 (한양대학교 응용화학과) ,  박성대 (한양대학교 응용화학과) ,  오진우 (전자부품연구원 전자소재.응용연구센터) ,  경진범 (한양대학교 응용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폴리페닐렌에테르[PPE, poly(phenylene ether)] 수지의 경화성분으로서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합성하고, 이후 PPE와 혼합하여 유전체 기판을 제작하고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단량체 합성 후 FTIR, NMR 분석을 통하여 우레탄 결합이 형성되었는지 확인하였다. 복합물 쉬트를 필름 코터로 성형한 후, 진공가 압적층하여 테스트 기판을 제작하고, 단량체의 종류 및 함량에 따른 유전율, 유전손실, peel 강도를 평가하였다. 2종의 하이드록시 아크릴레이트 중 페닐기를 가진 2-hydroxy-3-phenoxypropyl acrylate를 이용하여 합성된 단량체를 경화성분으로 사용한 경우 유전손실이 더 작았으며, 단량체의 함량이 줄어들면서 유전율과 손실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eel 강도는 단량체의 종류에 따라서 특별한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다. 실험결과 동박 접합 강도가 약 10 N이고, 1 GHz에서 유전율이 약 2.54, 유전손실이 0.0027로 작은 고주파 대역용 고분자 기판소재를 얻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ulti-functional urethane acrylate monomers as the curing agent of poly(phenylene ether) (PPE) were synthesized and then the urethane bond formation was checked by FTIR spectrometry and NMR analysis. The synthesized monomers were mixed with PPE and fabricated to dielectric substrates. After form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PPE 수지의 경화성분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새로운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합성하고, 기판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사용한 상용 경화성분을 대체하기 위하여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기반으로 하는 고유 경화성분 소재를 합성하고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F. Miyashiro and S. Wakabayashi, Elctroenics Materials toward Ubiquitous Network Age (Japanese), CMC Publishing Co., Tokyo, 2003. 

  2. New Trends of Polymers for Electronic Components IV (Japanese), ST-TECHNO, Yokohama, 2005. 

  3. T. Ito, K. Ichinomiya, S. Asami, and T. Yamada, Japanese Patent 238761 (2003). 

  4. Y. Satsuu, S. Amou, A. Takahishi, N. Watabe, M. Unno, T. Fujieda, H. Akaboshi, and A. Nagai, Japanese Patent 041966 (2005). 

  5. K. Kaneko, T. Hirose, K. Goto, and A. Hasegawa, Japanese Patent 045318 (2006). 

  6. S. Amou, A. Nagai, T. Ishikawa, and A. Takahashi, US Patent 7,193,009 (2007). 

  7. M. Sugimasa, A. Nagai, S. Yamada, and S. Amou, US Patent 0020781 (2005) 

  8. M. Sugimasa, A. Nagai, S. Yamada, and S. Amou, Japanese Patent 41914 (2005). 

  9. S. Sase, Y. Mizuno, D. Fujimoto, and M. Nomoto, J. Network Polymer(Japanese), 22, 150 (2001). 

  10. S. Sase, Y. Mizuno, D. Fujimoto, and M. Nomoto, J. Network Polymer(Japanese), 22, 192 (2001). 

  11. S. Sase, Y. Mizuno, D. Fujimoto, N. Takano, T. Iijima, H. Negishi, and T. Sugimura, Proc. of IPC Printed Circuits Expo 2002, S05-2-1 (2002). 

  12. S. Sase, Y. Mizuno, T. Sugimura, and H. Negishi, US Patent 6,156,831 (2000). 

  13. D. K. Kim, S. D. Park, W. S. Lee, M. J. Yoo, S. H. Park, J. K. Lim, and J. B. Kyoung, Polymer(Korea), 31, 474 (2007). 

  14. D. K. Kim, S. D. Park, M. J. Yoo, W. S. Lee, N. K. Kang, J. K. Lim, and J. B. Kyoung, Polymer(Korea), 33, 39 (2009). 

  15. S. K. Henning and R. Costin, Spring 167th Technical Meeting of the Rubber Division, ACS, San Antonio, TX, May 16-18 (2005). 

  16. S. Kang, Y. Yang, N. Kwak, Y. Kang, and T. Hwang, Polymer (Korea), 29, 59 (2005). 

  17. J. K. Kim, H. K. Cho, S. T. Noh, and S. C. Kang, J. Korean Ind. Eng. Chem., 13, 815 (2002). 

  18. T. Yamamoto, Technologies & Applications of Multilayered 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s (LTCC) (Japanese), CMC Publishing Co., Tokyo,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