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이축연신 비율에 따른 투명 폴리이미드 나노복합체 필름
Transparent Polyimide Nanocomposite Films with Various Equi-biaxial Stretching Ratios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6 no.4, 2012년, pp.478 - 485  

김영민 (금오공과대학교 에너지융합소재공학부) ,  장진해 (금오공과대학교 에너지융합소재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Bicyclo(2,2,2)oct-7-ene-2,3,5,6-tetracarboxylic dianhydride(BTDA)와 1,3-bis(3-aminophenoxy)benzene(BAPB) 단량체를 사용하여 중합한 폴리아믹산(poly(amic acid))에 용액 삽입법을 이용해서 다양한 함량의 유기화 점토를 넣은 후 열 이미드화 방법을 통해 투명한 나노복합체 polyimide(PI) 필름을 합성하였다. 0-1.5 wt%의 다양한 함량의 유기화점토를 포함하는 복합체 필름을 제조한 후, 필름의 광 투과성, 모폴로지, 그리고 가스차단성을 각각 측정하였다. 1.0 wt%의 Cloisite 30B가 포함된 복합체에서 가장 우수한 가스차단성이 측정되었으며, 유기화 점토의 함량이 증가하게 되면 가스차단성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PI 복합체 필름은 우수한 광 투과성을 가지며 대체로 무색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점토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광 투과성은 조금씩 감소하였다. Cloisite 30B가 포함된 투명한 PI 복합체 필름의 광 투과성과 가스차단성을 더 자세히 연구하기 위하여 100-140%까지 다양한 비율로 이축연신하였다. 120% 이상 연신된 PI 복합체 필름에서 고분자 매트릭스에 점토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박리되었음을 확인 하였으며, 가장 높은 가스 차단성은 130%로 이축연신된 필름에서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eries of transparent polyimide (PI) nanocomposite films was synthesized from bicyclo(2,2,2)oct-7-ene-2,3,5,6-tetracarboxylic dianhydride (BTDA) and 1,3-bis(3-aminophenoxy)benzene (BAPB) with various organoclay contents via solution intercalation polymerization to poly(amic acid)s, followed by the...

주제어

참고문헌 (49)

  1. C.-L. Chung and S.-H. Hsiao, Polymer, 49, 2476 (2008). 

  2. H.-W. Wang, R.-X. Dong, H.-C. Chu, K.-C. Chang, and W.-C. Lee, Mater. Chem. Phys., 94, 42 (2005). 

  3. X. L. Wang, Y. F. Li, C. L. Gong, T. Ma, and F. C. Yang, J. Fluor. Chem., 129, 56 (2008). 

  4. Z. Ge, L. Fan, and S. Yang, Eur. Polym. J., 44, 1252 (2008). 

  5. S. H. Hsiao and Y. J. Chen, Eur. Polym. J., 38, 815 (2002). 

  6. M. Hasegawa, M. Horiuchi, and Y. Wada, High Perform. Polym., 19, 175 (2007). 

  7. T. L. Li and S. L. C. Hsu, Eur. Polym. J., 43, 3368 (2007). 

  8. X. Zhao, J. Lin, H. Yang, L. Fan, and S. Yang, Eur. Polym. J., 44, 808 (2008). 

  9. M. Hasegawa and K. Horie, Prog. Polym. Sci., 26, 259 (2001). 

  10. T. Omote, T. Yamaoka, and K. Koseki, J. Appl. Polym. Sci., 38, 389 (1989). 

  11. J. W. Xu, M. L. Chung, T. S. Chung, C. B. He, and R. Wang, Polymer, 44, 4715 (2003). 

  12. W. Jang, D. Shin, S. Choi, S. Park, and H. Han, Polymer, 48, 2130 (2007). 

  13. S. L. Ma, Y. S. Kim, J. H. Lee, J. S. Kim, I. Kim, and J. C. Won, Polymer(Korea), 29, 204 (2005). 

  14. C. P. Yang, Y. Y. Su, S. J. Wen, and S. H. Hsiao, Polymer, 47, 7021 (2006). 

  15. C. P. Yang and Y. Y. Su, Polymer, 46, 5778 (2005). 

  16. C. P. Yang, S. L. C. Hsu, and J. S. Chen, J. Appl. Polym. Sci., 98, 2064 (2005). 

  17. I. H. Choi and J.-H. Chang, Polymer(Korea), 34, 480 (2010). 

  18. U. Min and J.-H. Chang, Polymer(Korea), 34, 495 (2010). 

  19. W. Jang, D. Shin, S. Choi, S. Park, and H. Han, Polymer, 48, 2130 (2007). 

  20. F. Li, S. Fang, J. J. Ge, P. S. Honigfort, J. C. Chen, F. W. Harris, and S. Z. D. Cheng, Polymer, 40, 4571 (1999). 

  21. H.-S. Jin and J.-H. Chang, J. Appl. Polym. Sci., 107, 109 (2008). 

  22. K. Ghosal, B. D. Freeman, R. T. Chern, J. C. Alvarez, J. G. De la camoa, A. E. Lozano, and J. De Abajo, Polymer, 36, 793 (1995). 

  23. P. Maiti, K. Yamada, M. Okamoto, K. Ueda, and K. Okamoto, Chem. Mater., 14, 4654 (2002). 

  24. C. Joly, M. Smaihi, L. Porcar, and R. D. Noble, Chem. Mater., 11, 2331 (1999). 

  25. T. Ebeling, S. Norek, A. Hasan, A. Hiltner, and E. Baer, J. Appl. Polym. Sci., 71, 1461 (1999). 

  26. D. Jarus, A. Hiltner, and E. Baer, Polymer, 43, 2401 (2002). 

  27. R. K. Bharadwaj, Macromolecules, 34, 9189 (2001). 

  28. L. E. J. Nielson, Macromol. Sci. Chem., 5, 929 (1967). 

  29. V. Mittal, Barrier Properties of Polymer Clay Nanocomposites, Nanotech Sci Tech Series, Nova Science Publishers, Inc., New York, p.73 (2009). 

  30. J. R. Coolier, Ind. Eng. Chem., 61, 72 (1969). 

  31. G. Fan, L. Di Maio, L. Incarnato, P. Scarfato, and D. Acierno, Packag. Technol. Sci., 13, 123 (2000). 

  32. S. Jeol, F. Fenouillot, A. Rousseau, K. Masenelli-Varlot, C. Gauthier, and J. F. Briois, Macromolecules, 40, 3229 (2007). 

  33. F. Perrin-Sarazin, M.-T. Ton-That, M. N. Bureau, and J. Denault, Polymer, 46, 11624 (2005). 

  34. A. B. Morgan and J. W. Gilman, J. Appl. Polym. Sci., 87, 1329 (2003). 

  35. M. B. Saeed and M. S. Zhan, Eur. Polym. J., 42, 1844 (2006). 

  36. D. L. Pavia, G. M. Lampman, and G. S. Kriz, Introduction to Spectroscopy, Hartcourt, Washington, Chapter 2 (2001). 

  37. Z. M. Liang, J. Yin, J. H. Wu, Z. X. Qiu, and F. F. He, Eur. Polym. J., 40, 307 (2004). 

  38. H. Davis, L. J. Mathias, J. W. Gilman, D. A. Schiraldi, J. R. Shields, P. Trulove, T. E. Sutto, and H. C. Delong, J. Polym. Sci. Part B: Polym. Phys., 40, 2661 (2002). 

  39. R. A. Vaia, K. D. Jandt, E. J. Kramer, and E. P. Giannelis, Chem. Mater., 8, 2628 (1996). 

  40. G. Galgali, C. Ramesh, and A. Lele, Macromolecules, 34, 852 (2001). 

  41. C. H. Ju, J.-C. Kim, and J.-H. Chang, J. Appl. Polym. Sci., 106, 4192 (2007). 

  42. S. S. Ray and M. Okamoto, Prog. Polym. Sci., 28, 1539 (2003). 

  43. J. H. Petropoulos, Adv. Polym. Sci., 64, 93 (1985). 

  44. D. J. Chaiko and A. A. Leyva, Chem. Mater., 17, 13 (2005). 

  45. C. F. Cristian and A. V. Manuel, J. Polym. Sci. Part B: Polym. Phys., 43, 2625 (2005). 

  46. B. Xu, Q. Zheng, Y. Song, and Y. Shangguan, Polymer, 47, 2904 (2006). 

  47. T. Sakaya and N. Osaki, J. Photopolym. Sci. Technol., 19, 197 (2006). 

  48. R. S. Rajeev, E. Harkin-Jones, K. Soon, T. McNally, G. Menary, C. G. Armstrong, and P. J. Martin, Eur. Polym. J., 45, 332 (2009). 

  49. Y. Ke, C. Long, and Z. Qi, J. Appl. Polym. Sci., 71, 1139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