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多)공구 도로 공사 현장 장비들의 운영 실태 파악을 위한 생산성 지표 정립에 관한 연구
Formalization of Productivity Metrics for Equipment in Multi-sectioned Road Construction Projects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3 no.4, 2012년, pp.100 - 109  

김홍열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공학부) ,  구본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로사업현장의 특징은 인접 공구간 비슷한 공종과 공기를 가지고 유사한 장비 자원을 사용하는 다(多)공구 현장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도로현장들은 각 공구의 개별 기성에 취중한 '칸막이식' 운영에 의해 지속적으로 수급불균형상태가 발생하여 고가의 장비들이 비효율적으로 운영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에서는 다공구현장 내의 장비들을 적시적소에 공구간 공유하여 전체 사업의 자원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자원공유시스템을 정립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그 첫 단계로써 도로사업현장에서 장비의 생산성과 그 운영 실태에 대한 연구내용을 중점적으로 소개한다. 현장의 자원운영실태 파악을 위한 설문을 통해서 다공구 도로현장의 자원공유시스템 도입에 필요한 공유적합자원표를 얻었으며, 다공구 현장의 자원활용도 측정을 위해서는 계획편차(DPR), 정규화계획편차(nDPR), 수급불균형지수(SDI)등의 공식을 새롭게 고안하였다. 이들 공식을 실제 도로현장의 작업일지 데이터에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 각 공구별 nDPR값과 SDI값을 얻었다. 분석결과 도로사업현장의 자원운영은 추가임대와 유휴자원이 계속적으로 발생하는 비효율적인 운영임을 파악하였다. 또한 공구별로 부족/유휴 상태가 골고루 발생하여 공구간 장비를 공유할 경우 상쇄효과를 통해 장비의 생산성이 높아질 것을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도출된 결과들은 추후 자원공유시스템 정립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rge road construction projects are typically partitioned into sections that are then contracted individually to contractors. Each section requires using similar heavy equipment including excavators, dump trucks and pavers, which constitute the highest cost. Normally the equipment is not shared b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논문은 먼저 단일 현장에 맞쳐줘 있는 기존의 장비 활용도 측정방법을 프로그램(즉, 다공구)차원에 맞추어 정립하고, 이를 적용하여 현행 다공구 현장들의 자원 수급불균형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할 수 있는 일련의 지표(metrics)들을 개발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통해 현 운영상의 미흡한 점을 파악하고, 어떤 자원이 리소스공유에 적합한 지 도출하였다.
  • 특히 그 역할이 다수 프로젝트에 투입된 자원의 우선순위 및 조율이라는 점에서 프로그램 매니지먼트와 그 맥락을 같이 한다고 판단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다공구 도로건설사업에서 프로그램 매니지먼트를 수행하는 방안을 구축 및 정립하는 데에서 그 연구적 의미를 둔다.
  • 그러므로 본 연구는 린 건설 이론을 도로 건설 다공구 현장 특성에 맞게 적용하는 방안을 구축하는 것을 그 시발점으로 한다. 기존 린 건설 관련 연구는 주로 대규모 또는 복합화된 건축물에 집중하였고(김창덕 외 1인 2006, 임철우 외 2인 2006, 구본상 외 3인 2006, 구본상 2008), 특히 다공구 현장에 적용한 사례는 드물기에 기존 연구와는 차별화된다.
  • 이는 타 공구의 시공사를 경쟁자로 인식하고 자신의 장비를 계속 보유하여 공정의 차질을 피하고 싶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유휴장비가 발생할 경우에만 장비를 다공구간 공유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와 더불어 유휴 장비의 발생 정도를 파악하고 이를 계량화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론고찰을 통해 기존 도로사업현장의 ‘칸막이식’ 운영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해결방안으로 도로사업현장의 생산성 효율화를 위한 자원공유시스템 구축을 제안한다.
  • 일반적으로 도로사업현장은 공기(工期)를 최우선함으로써 자원을 구하지 못해 공사가 중단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사업 중 자원이 부족하거나 남았을 때 각각의 대처방안에 대해서 파악하였다.
  • 일일변동량이 커지면 계획된 자원과의 차이가 커지고, 유휴되거나 부족한 자원이 많이 발생해 자원의 운영은 비효율적이 된다. 따라서 일일변동량을 통해 공구의 자원운영의 비효율정도를 정량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목적이다.
  • 마지막 설문의 목적은 실제 도로건설현장의 자원공유 시스템 정립 시 적합한 장비자원을 도출하는 것이다.
  • 본 논문은 자원공유시스템 구축을 위한 선행 연구로써 설문과 작업일지 데이터 분석을 통해 도로사업현장의 자원운영실태를 분석하여 자원공유시스템의 정립을 위한 기초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 본 논문의 결과를 통해 전체 도로사업현장에서 자원의 초과상태와 부족상태의 불균형을 파악을 위한 기본을 정립하였다. 추후연구에서는 본 논문에서 도출된 자원 운영실태와 자원공유 적합 자원에 기반을 하여 도로사업현장간의 유기적 자원운영을 위한 공구간 공유기회의 원칙과 현실적 제안사항을 도출하고 그 효과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측정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이런 점들에 착안하여 다(多)공구 도로 건설 현장의 자원 공유를 통한 생산성 향상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즉, 단일시공자가 자신의 다공구현장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듯이 발주자 또는 Program Manager(PgM)가 다공구에서 발생하는 유휴 자원을 필요 공구에 적시적소에 투입할 수 있게 하여 전체 사업의 자원 가동률을 높이고 이에 따라 총비용의 절감을 도모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한국도로공사 및 도로교통연구원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에서와 같이 다 공구간에 흩어진 자원의 부족분과 잉여분을 파악하여 가장 비용효율적으로 자원의 수급을 “matching”해 주는 리소스 공유 시스템(resource sharing system)의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도로 사업의 각 공구별 인력 및 장비의 ‘활용정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 중 하나는 다공구 현장에서 사용되는 장비의 생산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데에 있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유휴장비가 발생할 경우에만 장비를 다공구간 공유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와 더불어 유휴 장비의 발생 정도를 파악하고 이를 계량화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유휴장비의 정도가 크면 클수록 장비를 공유할 수 있는 개연성과 그 당위성이 동시에 증가하기 때문이다.
  • 한국도로공사(주)의 정보와 작업일지데이터를 토대로 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고안한 공식의 적용성을 검토해 보고 실제 도로사업현장의 자원 운영실태를 파악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로사업현장의 특징은 무엇인가? 도로사업현장의 특징은 인접 공구간 비슷한 공종과 공기를 가지고 유사한 장비 자원을 사용하는 다(多)공구 현장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도로현장들은 각 공구의 개별 기성에 취중한 '칸막이식' 운영에 의해 지속적으로 수급불균형상태가 발생하여 고가의 장비들이 비효율적으로 운영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도로건설사업의 칸막이식 운영으로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가? 그러나 이런 분리 발주는 장비의 생산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도 작용한다. 도로 건설 특성상 공구별 시공사들이 쓰는 장비는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공구 간 자원을 공유하는 경우는 드물거나 비체계적으로 이뤄져 효율적인 자원의 운영이 안 되는 것이다. 이런 “칸막이식” 운영으로 인해 바로 인접한 공구에서 필요로 하는 장비가 며칠 혹은 몇 주 동안 가동이 안 되고 있는 것을 자주 목격하게 된다.
현재 도로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도로사업현장의 특징은 인접 공구간 비슷한 공종과 공기를 가지고 유사한 장비 자원을 사용하는 다(多)공구 현장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도로현장들은 각 공구의 개별 기성에 취중한 '칸막이식' 운영에 의해 지속적으로 수급불균형상태가 발생하여 고가의 장비들이 비효율적으로 운영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에서는 다공구현장 내의 장비들을 적시적소에 공구간 공유하여 전체 사업의 자원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자원공유시스템을 정립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구본상 (2008), "린 건설에 기초한 국내 건설 공사의 시공 계획 신뢰도 평가 및 분석", 대한 토목학회 논문집, 제28권 제5D호, pp.655-664. 

  2. 구본상.박희성.장철기.김대영 (2006), "린 건설과 해외 대규모건설 공사 적용 사례: 런던 히드로 공항",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대한건축학회, 제22권, 제7호, pp.141-148. 

  3. 권오현.변재현(1999), "건설업 총요소생산성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방문사 제16권, 1149호. 

  4. 김준한(2004), "건설경제론", 박영사. 

  5. 김창덕.이상혁 (2006), "VSM기법을 활용한 커튼월 공사의 설계프로세스 개선",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제7권 제5호, pp.128-137. 

  6. 이승현?홍성호(2005), "총 프로젝트 생산성 개념을 활용한 도로 건설공사 작업지연요소의 영향도 평가기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5권, 제5D호, pp.747-756. 

  7. 이승현(2004), "Equivalent Work Unit의적용을 통한 도로건설공사의 총 프로젝트 생산성 측정 방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4권, 제5D호, pp.787-794. 

  8. 임철우?유정호?김창덕(2006), "작업성취율 측정을 위한 공정 관리절차의 개선 방안",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대한건축학회, 제22권, 제11호, pp.722-726. 

  9. 정성림?한주연?김경래?신동우 (2004), "중견건설업체의 다중현장관리를 위한 자재조달계획 지원 모델",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5권, 제2호, pp.106-114. 

  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10), "저탄소 도로 미래경쟁력 확충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pp82-102. 

  11.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2003), "다중 현장관리 및 현장간 협업체계 구축을 위한 멀티미디어형 지식관리 시스템 개발" 연구보고서. pp84-112. 

  12.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 (1997), "건설관리 및 경영", 보성각. 

  13. 한주연.홍영수.김경래.신동우 (2004), "다중현장관리를 위한 자원조달 지원 모델",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0권, 제11호, pp133-142. 

  14. Ballard, G. (1994), "The Last Planner", Lean Construction Institute, Northern California Construction Institute Spring Conference, Monterey, CA, April 22-24. 

  15. Kim, Y., Ballard G. (2000), "Is Earned Value Method an Enemy of WorkFlow", Proceedings Eighth Annual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Lean Construction, IGLC-6, Brighton, UK, July 17-19. 

  16. Kini, D. U. (2000), "Global Program Management - Not Business as Usual", Journal of Management in Engineering, Vol. 16, No. 6, November/December 2000, pp.29-33. 

  17. Koskela, L. (1992), "Application of the New Production Theory to Construction", Technical Report #72, Stanford University, Santa Clara, CA, US. 

  18. James S, Pennypacker., Lowell D, Dye (2002), "Managing Multiple Projects", New York, Marcel Dekker Inc. 

  19. Prieto, Robert (2009), "How Program Management Differs from Project Management", PM Hut. Accessed 17. Oct 2009. 

  20. Project Management Institute(PMI) (2008), "The Standard for Program Management", 2nd Ed, Project Management Institut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