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韓國)의 전자정부(電子政府)와 거버넌스 향상 방안
Exploration of Governance Improvement Measures through E-government of Korea 원문보기

정보관리연구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v.43 no.3, 2012년, pp.117 - 137  

김성원 (충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김종성 (충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자치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의 전자정부 구축 현황을 살펴보고 전자정부를 통하여 거버넌스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한국의 전자정부는 구현 수준에 있어 국제적 평가에서 상위권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전자정부 발전의 최종단계인 통합처리의 관점에서는 지속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한 상황으로 평가되었다. 한국의 전자정부가 거버넌스의 향상에 어느 정도 기여하고 있는가를 평가하기 위해 공급자와 이용자의 관점에서 전자정부의 활용도를 평가하였으며 거버넌스와 관련된 기능의 제공 및 활용이라는 정성적인 관점에서 활용도를 평가해 보았다. 한국의 전자정부 활용도는 정량적인 관점에서 상당한 수준에 도달해 있으나 거버넌스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이용목적이라는 정성적인 관점에서는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위와 같은 평가에 기반하여 전자정부를 통한 거버넌스 향상을 위해 필요한 고려사항들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status of Korean E-government implementation and explores the ways to contribute to governance improvement by means of the e-government. As far as the level of implementation of e-government, Korea is confirmed to have achieved upper level by global standards, but it is fou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통해 한국의 전자정부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의 형성이 가능할 것이다. 둘째, 전자적 소통방안의 도입을 통해 시민들의 참여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거버넌스의 증진에 기여한다는 궁극적인 목적의 관점에서 한국의 전자정부가 어느 정도 거버넌스의 향상에 기여하고 있는지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거버넌스의 기여도는 거버넌스적인 성격을 지닌 전자정부의 기능들이 과연 어느 정도 활용되고 있는지를 기준으로 고찰하도록 한다.
  • 또 다른 조사 결과에 기반하여 이용자 관점에서의 전자정부 활용 현황을 살펴보도록 한다. 행정안전부가 2010년 전자정부 활용과 관련하여 전 행정기관의 민원처리를 전수 조사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체 민원처리에서 전자정부를 활용한 온라인 처리가 차지하는 비중이 49.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전자정부가 궁극적인 구축 목적인 거버넌스의 향상에 어느 정도 기여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거버넌스의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안이 있는지를 모색해 보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이러한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론을 채용하고자 한다.
  • 이러한 방법론은 전자정부가 행정 효율성 증진에 기여 하는 효과가 민원서류의 발급량이나 부서간 정보공유와 같은 활용도 지표로 측정될 수 있듯이, 전자정부의 거버넌스 기여도 또한 거버넌스와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정부 기능의 활용도 평가를 통해 측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전자정부가 거버넌스 향상에 더욱 기여할수 있으려면 어떤 방안이 있을지를 고찰의 과정에서 파악된 내용들을 중심으로 정리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위와 같은 한국의 전자정부 현황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한국의 전자정부가 거버넌스의 향상에 어떻게 또 어느 정도 기여하고 있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전자정부의 활용도를 제공자와 이용자의 관점에서 살펴보았고 각각의 관점에서 정량적인 활용도와 정성적인 활용도를 평가하여 전자정부의 거버넌스에의 기여도를 검토해 보았다. 한국의 전자정부가 다양한 기능을 갖추어 구현되어 있고 또 정량적인 관점에서 상당한 수준에 도달해 있으나, 거버넌스의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이용자의 정성적인 이용행태라는 관점에서는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다양한 척도에 따른 평가에서 한국의 전자정부는 공히 높은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장에서는 이렇게 구현되어 있는 한국의 전자정부가 전자정부의 구현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궁극적 목표라 할 수 있는 행정에의 시민참여 즉, 거버넌스의 향상에 어느 정도 기여하고 있는 지와 또 향후 거버넌스의 향상에 더욱 기여 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요인들은 어떤 것이 있는 지에 대해 정리해 보고자 한다.
  • 이 절에서는 전자정부의 발전 단계라 할 수있는 착수부터 통합처리까지의 각 단계별로 한국의 전자정부를 평가하여 볼 때 어느 정도 성숙도를 보이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전자정부의 발전 모형 가운데 가장 영향력이 크다고 판단되는 UN이 제시한 발전모형의 단계별 완성도를 기준으로 한국의 전자정부를 평가한 결과는 아래의 <표 4>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한국정보화진흥원 2010a).
  • 이상의 논의를 통해 한국의 전자정부 구축 현황과 전자정부를 통하여 거버넌스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한국의 전자정부는 구현 수준에 있어 국제적으로 선두권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전자정부 발전의 최종 단계인 통합처리의 관점에서는 지속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한 상황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제 거버넌스의 향상에 관련되었다고 할 수 있는 고충 처리, 국민 참여 등 협의와 의사결정 과정에의 참여를 위해 어느 정도 활용되고 있는가라는 정성적인 관점에서의 활용도 평가가 필요하다. 이용자 관점에서 과연 이용자들이 어떤 목적으로 전자정부를 활용하고 있는가라는 정성적인 측면에서 이용현황을 살펴보도록 한다.
  • 한국의 전자정부 구축의 목적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정부업무와 대민 서비스를 전자적으로 처리하고 다양한 행정 서비스를 온라인화 함으로써 행정 서비스 체계의 일원화 및 고객 접근성․편의성 향상을 통해 대국민 서비스 개선 및 정부의 생산성․투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크게는 효율성, 투명성, 민주성의 향상을 통해 선진행정을 구현하고 궁극적으로는 ‘창의와 신뢰의 선진 지식정보사회를 구현’하는 것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한국정보화진흥원 2010a). 전자정부의 구현을 통해 효율성, 투명성, 민주성의 향상시키고자 하는 목표를 갖는 한국 전자정부의 현황을 살펴보도록 한다.
  • 전자정부의 정의와 관련하여 학자들마다 나름의 정의를 내리고 있다(문신용, 윤기찬 2007), 본고에서는 전자정부를 정보통신 기술을 행정 업무에 적용하여 행정의 효율성을 추구하고 동시에 시민참여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전자민주주의의 실현을 지향하는 정부로 정의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역시 전자정부의 구축 목적을‘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정부 업무와 대민 서비스를 전자적으로 처리하고 다양한 행정 서비스를 온라인화 함으로써 … 중략 … 대국민 서비스 개선 및 정부의 생산성․투명성을 향상’ 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창의와 신뢰의 선진 지식정보사회를 구현’하는 것으로 설정하고 있다 (한국정보화진흥원 2010a).
  • 이러한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론을 채용하고자 한다. 첫째, 한국 전자정부의 구축현황을 일반적인 구축현황과 UN의 전자정부 발전단계 모형을 기준으로 분석하여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한국의 전자정부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의 형성이 가능할 것이다.
  • 한국의 전자정부 구현의 일반현황과 UN의 전자정부 발전모델에서 제시하고 있는 각 발전단계의 성숙도의 관점에서 한국의 전자정부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다양한 척도에 따른 평가에서 한국의 전자정부는 공히 높은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의 전 분야에 걸쳐 업무수행 체계의 변화는 무엇에 힘입어 발생하고 있는가?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의 발전 및 보급에 힘입어 사회의 전 분야에 걸쳐 업무수행 체계의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행정 분야 또한 예외가 아니어서 각국에서는 행정 서비스의 전산화를 통한 행정 서비스의 효율성과 편의성 그리고 투명성 증대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경주 중이며 정부의 행정 업무를 인터넷 기반의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전자정부의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전자정부의 핵심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역시 전자정부의 구축 목적을‘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정부 업무와 대민 서비스를 전자적으로 처리하고 다양한 행정 서비스를 온라인화 함으로써 … 중략 … 대국민 서비스 개선 및 정부의 생산성․투명성을 향상’ 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창의와 신뢰의 선진 지식정보사회를 구현’하는 것으로 설정하고 있다 (한국정보화진흥원 2010a). 즉 전자정부의 핵심은 정보통신기술의 적용, 행정 효율성의 증진, 그리고 시민참여의 촉진이라는 세 가지 요건을 갖춘 정부라 할 것이다. 거버넌스는 대의민주주의의 한계를 극복하여 민주주의의 이념을 구현하기 위한 시민들과의 협치로 정의 되고 있다(강근복 2009).
행정 서비스의 전산화를 통한 행정 서비스의 효율성과 편의성 그리고 투명성 증대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는데, 어떤 변화로 인해 노력을 하게 되었는가?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의 발전 및 보급에 힘입어 사회의 전 분야에 걸쳐 업무수행 체계의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행정 분야 또한 예외가 아니어서 각국에서는 행정 서비스의 전산화를 통한 행정 서비스의 효율성과 편의성 그리고 투명성 증대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경주 중이며 정부의 행정 업무를 인터넷 기반의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전자정부의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강근복. 2009. 시민 시민단체의 정책과정 참여 확대 방안. 2009 충남대 남개대 청화대공동학술대회. 2009년 10월 10일. [대전: 충남대학교]. 

  2. 강남구. 2011. 강남구 사이버행정참여시스템 설문결과보기. [인용 2011. 9. 10]. 

  3. 김구. 2009. 지방정부에 있어서 정부신뢰를 통한 전자시민참여 활성화 방안 탐색: 웹 2.0 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2(1): 131-154. 

  4. 김동욱. 2010. 전자정부 위상강화를 위한 정책제언. 전자정부 포커스 & 인사이트, 1: 16-19. 

  5. 김석주. 2009. 우리나라 전자정부서비스 이용 활성화 전략과 과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2(2): 31-47. 

  6. 김선경. 2007. 전자적 시민참여 단계의 분석모형 구축 및 평가에 관한 연구: 대전광역시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20(1): 33-60. 

  7. 문신용, 윤기찬. 2007. 전자정부와 시민참여에 관한 통합적 분석모형의 구성 및 적용연구: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45(3): 259-284. 

  8. 박준, 최홍, 박성민. 2011. 소셜미디어가 여는 새로운 정책환경.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CIO Information 808. 

  9. 석봉기, 문정욱. 2010. 전자정부의 패러다임 변 화와 발전방향에 대한 전망. 방송통신정책, 22(19): 1-17. 

  10. 송희준. 2010. 전자정부의 제약요인과 향후 방향. 전자정부 포커스 & 인사이트, 1: 11-15. 

  11. 이재호. 2011. 모바일 전자정부 현황 및 향후 정책 과제. 제3회 스마트정부(Gov한국3.0) 오픈 포럼. 2011년 8월 10일.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12. 임태훈. 2009. 참여정부 전자정부 사업의 전자 거버넌스 수준. 사회과학논집, 40(2): 107-135. 

  13. 일본. 총무성. 2011.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및 활용도 평가. 정보통신백서. 동경: 일본 총무성. 

  14.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9. 미래 전자정부 정책패러다임 변화와 과제. IT정책연구 시리즈, 제09-04호.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15. 한국정보화진흥원. 2010a. 2010 국가정보화백서.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16. 한국정보화진흥원. 2010b. 수혜자가 바라는 생활체감형 정보화 정책: 전문가 심층 인터뷰 및 대국민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IT 정책연구시리즈, 23호.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17. 한국.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2010. 6. 21. 대한민국 전자정부, UN 전자정부 글로벌 대상 수상. 

  18. 한국.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2010. 9. 23. 2010년 상반기 전자정부서비스 활용수준 조사. 

  19. 한국.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2010. 12. 12. 올해 전자정부 사상 최대 1억 5천만불 수출. 

  20. 한국.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2011. 5. 14. 민원 신청 1억건 감소, 온라인 민원 이용률 50% 넘어; 행안부, 2010년도 민원사무 현황 전수조사 결과 발표. 

  21. 한국.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2011. 8. 24. 한국 정보화, 일본정부 평가에서 스웨덴, 일본, 노르웨이 제치고 종합 1위. 

  22. EU. 2010. Digitizing Public Services in Europe: Putting Ambition into Action. [cited 2011. 9. 10]. . 

  23. ITU. 2007. Digital Opportunity Index World Summit on the Information Society (WSIS). [cited 2011. 8. 31]. . 

  24. KROSE LLC. 2012. Twitter Directory and Search, Find Twitter Followers: WeFollow. [cited 2012. 1. 2]. . 

  25. Pew Internet. 2011. Government Online: The 3 "P's" of Success: Findings from Pew Internet Project Research. (2011. 2. 3) Government Delivery Conference. 

  26. United Nations. 2010. United Nations E-Government Survey 2010. [cited 2011. 8. 30]. .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