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시수확 엽채류에서 살균제 Boscalid와 Fludioxonil의 잔류특성
The residue property of fungicide boscalid and fluidioxonil at the same time harvest leafy-vegetables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6 no.2, 2012년, pp.98 - 108  

배병진 ((주)한국생물안전성연구소) ,  이해근 ((주)한국생물안전성연구소) ,  손경애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임건재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김진배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김태화 ((주)분석기술과 미래) ,  채석 ((주)분석기술과 미래) ,  박종우 ((주)분석기술과 미래)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시에 수확하는 엽채류 중 시금치, 얼갈이배추, 비타민채 및 청경채에 대한 살균제 boscalid와 fludioxonil의 잔류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확일을 기준으로 각각 1주일 간격으로 2회 살포한 후 수확당일, 수확 2일전, 수확 5일전 및 수확 7일전에 시료를 수거하여 잔류량을 조사하였다. 수확당일의 잔류량을 기초하여 작물 중 농약살포액의 부착량을 환산한 결과 boscalid의 경우 시금치에서 253.9 mL/kg, 그리고 얼갈이배추, 비타민채 및 청경채에서는 각각 83.0, 97.8 및 88.3 mL/kg으로 조사되어 시금치에서 가장 많이 살포액이 부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Fludioxonil의 경우도 시금치 157.6 mL/kg, 얼갈이배추 67.6, 비타민채 64.8 그리고 청경채에서 66.6 mL/kg의 부착량을 나타내어 시금치에서 가장 높은 살포액 부착량을 나타내었다. 각 작물에서 boscalid와 fludioxonil의 생육기간 중 농약의 분해소실 정도를 조사한 결과 boscalid의 경우 시금치에서 분해반감기가 5.9일, 얼갈이배추 7.4일, 비타민채 4.6일, 청경채 4.3일로서 얼갈이배추에서 분해 반감기가 가장 길었으며, fludioxonil의 경우에서도 시금치 3.0일, 얼갈이배추 4.0일, 비타민채 3.2일, 청경채 3.5일로 얼갈이배추에서 분해반감기가 가장 길었다. 두 농약의 잔류특성이 비교되었을 때 농약살포 후 살포액의 부착량과 작물생육기간 중 농약의 분해반감기는 fludioxonil 보다 boscalid이 더 많거나 긴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use in the classification of minor crop for the mutual application of safe use guideline, it was investigated the residue property of fungicide boscalid and fludioxonil at the same time harvest leafy-vegetables, such as spinach, ulgaribaechu, vitaminchae and cheongkyungchae. After pest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면적 작물군을 분류하고 이들 작물군의 대표작물의 잔류성적을 작물군에 포함된 모든 작물에 상호 인정하여 소면적 재배작물의 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그룹 MRL을 설정하고자 할 떄 이용 가능한 기초자료 생산을 위하여 일시에 수확하는 소면적 엽채류 중 일부를 선정하여 이들 작물에서 농약들의 잔류특성을 조사하였다.
  • 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서험농약을 단제로 각각 살포한 것이 아니라 이 두 약제를 포함하고 있는 혼합제를 살포한 경우로서 이론적으로 동일한 살포액의 부착량이 계산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 두 농약 사이에는 부착량에서의 차이는 명백하였다. 이는 이 두 농약이 가지고 있는 물리화학적 특성이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약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현대 농업에서 농약은 작물의 생육 전반에 걸쳐 작물의 생육을 저해하는 해충, 병균 및 잡초 등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필수자재이지만 살포된 농약은 그 목적을 실현한 후에도 완전히 분해되지 않고 다소간에 작물에 잔류하게 된다(김 등, 1997; 정 등, 2004). 따라서 농약이 허용기준 이상으로 잔류하는 경우 농산물의 출하를 차단할 필요가 있으며 실제로 1999년부터 농산물품질관리법에 근거하여 농림수산식품부에서는 출하 전 농산물에 대한 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하여 부적절한 농산물의 유통을 사전에 차단하고 있다(농수산물품질관리법, 2006).
현대농업에서 농약은 어떤 의미인가? 현대 농업에서 농약은 작물의 생육 전반에 걸쳐 작물의 생육을 저해하는 해충, 병균 및 잡초 등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필수자재이지만 살포된 농약은 그 목적을 실현한 후에도 완전히 분해되지 않고 다소간에 작물에 잔류하게 된다(김 등, 1997; 정 등, 2004). 따라서 농약이 허용기준 이상으로 잔류하는 경우 농산물의 출하를 차단할 필요가 있으며 실제로 1999년부터 농산물품질관리법에 근거하여 농림수산식품부에서는 출하 전 농산물에 대한 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하여 부적절한 농산물의 유통을 사전에 차단하고 있다(농수산물품질관리법, 2006).
농산물품질관리법에 근거한 농약의 잔류허용기준은 어떻게 설정되고 있는가? 따라서 농약이 허용기준 이상으로 잔류하는 경우 농산물의 출하를 차단할 필요가 있으며 실제로 1999년부터 농산물품질관리법에 근거하여 농림수산식품부에서는 출하 전 농산물에 대한 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하여 부적절한 농산물의 유통을 사전에 차단하고 있다(농수산물품질관리법, 2006). 농산물 중 농약의 잔류허용기준(MRL, Maximum, Residue Limit)은 일생동안 사람이 매일 섭취하여도 아무런 영향이 나타나지 않는 수준으로 설정되고 있다(박 등, 2005; 이 등,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Quality Control Act (2006) Act 9117. Chapter 2. 

  2. Ghidiu, G. M. and P. E. Neary (1994) An extension perspective of the minor use crops pesticide problem in vegetable production. J Extension. 32(1), http://www.joe.org/joe/1994june/a5.php. 

  3. Jung, Y. H., J. E. Kim, J. H. Kim, Y. D. Lee, C. H. Im and J. Y. Huh (2004) New pesticides. Sigma Press Inc., Korea. pp. 341-361 

  4. Kim, J. B., B. H. Song, J. C. Chun, G. J. Im and Y. B. Im (1997) Effect of sprayable formulations on pesticide adhesion and persistence in several crops.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1):35-40. 

  5.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2010) Guideline of pesticides Use. pp. 136, Samjeong Press Inc., Korea. 

  6. Kwon, H. Y., J. H. Kim, H. D. Lee, Y. B. Ihm, K. S. Kyung, I. H. Park and J. Choi (2004) Estimate of pesticide residues in tomato varieties using ratio of surface area weight.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8(1):30-37. 

  7. Lee, H. D., K. S. Kyung, H. Y. Kwon, Y. B. Ihm, J. B. Kim, S. S. Park and J. E. Kim (2004) Residue characteristics hexaconazole and chlorothalonil in several friuts.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8(2):107-111. 

  8. Lee, J. H., H. W. Park, Y. S. Keum, C. H. Kwon, Y. D. Lee and J. H. Kim (2008) Dissipation pattern of boscalid in cucumber under greenhouse condition.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2(1):67-73. 

  9. Lee, M. G., M. G. Hong, K. S. Park, D. M. Choi, M. H. Lim and S. R. Lee (2005) Procedures in establishing residue limits of pesticides on food crops in korea.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7(4):685-694. 

  10. Marin, A., J. Oliva, C. Garcia, S. Navarro and A. Barba (2003) Dissipation rates of cyprodinil and fludioxonil in lettuce and table grape in the field and under cold storage conditions. J. Agric. Food Chem. 51(16):4708-4711. 

  11. Park, G. S., M. H. Im, D. M. Choi, J. Y. Jeong, M. I. Chang, K. I. Kwon, M. K. Hong and C. W. Lee (2005) Establishment of korean maximum residue limits for pesticides in foods.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9(1):51-59. 

  12. Tomlin C. D. S. (2009) The Pesticide Manual (15th edition). pp. 121-122 and 520-521,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UK.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