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화점의 브랜드 개성이 점포태도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rand Personality on Department Store Attitude and Store Loyalty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6 no.7, 2012년, pp.677 - 689  

이지연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examines the impact of brand personality dimensions on store attitude and store loyalty for department stores. A total of 431 customers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The participants were women in their 20's to 50's with experience of purchasing apparel from four major departme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양한 제품과 브랜드가 넘쳐나는 현대 사회에서 잘 관리된 브랜드를 가지고 있는 기업은 매우 경쟁력이 있으며, 소비자들이 우선적으로 기억하고 지속적으로 구매한다. 그러므로 기업들은 소비자들이 선호할 수 있는 제품전략, 가격전략, 광고전략 등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하여 궁극적으로 브랜드 선호도를 좋게 하고 브랜드 파워를 강하게 함으로 브랜드의 자산 가치를 높이고자 한다. 브랜드 자산 가치를 높이는 중요한 개념인 브랜드 개성은 소비자들의 마음 속에서 해당 브랜드에 대해 느끼는 의미와 구별성을 뜻하는 것으로 기업에서는 브랜드의 의미를 창조하고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Fournier, 1998).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백화점의 브랜드 개성 차원을 규명하고, 백화점의 브랜드 개성 차원이 점포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점포태도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고객과 백화점 간의 밀접한 인간관계를 형성하여 긍정적인 점포태도를 형성하고 더 나아가 좋은 점포태도를 통해 점포충성도를 높이기 위한 백화점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본 연구에서는 백화점 브랜드 개성의 각 차원이 백화점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점포태도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모형을 검증한 결과는 [Table 5], [Fig.
  • 본 연구에서는 백화점의 브랜드 개성 차원이 점포태도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우선 패션 제품의 대표적인 유통채널인 백화점을 사람에 비유하거나 해당 백화점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특성에 대해 소비자들이 어떻게 지각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백화점의 브랜드 개성 차원이 점포태도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우선 패션 제품의 대표적인 유통채널인 백화점을 사람에 비유하거나 해당 백화점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특성에 대해 소비자들이 어떻게 지각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는 백화점의 다양한 마케팅 활동이 소비자들에게 잘 전달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으로 어떤 개성 차원으로 인해 백화점과 소비자와의 감성적인 관계가 형성되는지를 알아봄으로 백화점에 대한 소비자들의 태도를 긍정적으로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우선 패션 제품의 대표적인 유통채널인 백화점을 사람에 비유하거나 해당 백화점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특성에 대해 소비자들이 어떻게 지각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는 백화점의 다양한 마케팅 활동이 소비자들에게 잘 전달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으로 어떤 개성 차원으로 인해 백화점과 소비자와의 감성적인 관계가 형성되는지를 알아봄으로 백화점에 대한 소비자들의 태도를 긍정적으로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우선적으로 선행연구들을 비교 검토하여 백화점의 브랜드 개성을 선별하였으며, 브랜드 개성의 하위 차원이 점포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점포태도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 또한 각 백화점은 기존 점포를 증축하거나 리뉴얼을 통하여 수입 의류 매장 확대, 고객 편의를 위한 문화공간 확보와 문화센터나 카페 등과 같은 고객 서비스 공간을 확충하여 해당 백화점으로의 고객을 유인하고 매출을 증대시키고자 한다 (“Distribution channel issues”, 2012). 한편 소비자들은 패션 제품 구매와 관련된 많은 경험과 지식을 소유하고 있으며,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높은 안목과 다양한 취향을 가지고 있어 브랜드 혹은 점포의 선택에 있어서 현명한 선택을 하고자 한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적용되는 특정 유형의 충성보다는 상품, 상표, 점포에 따라 각기 다른 종류의 충성 성향을 지니고 있다(Rowley, 2005).

가설 설정

  • 가설 4. 백화점에 대한 점포태도는 점포충성도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의적인 브랜드 개성은 어떠한 효과를 가져오는가? 그러므로 기업들은 소비자들의 충성도를 높이기 위해 브랜드와 개인의 관계를 밀접하게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들을 실행하고 있으며, 그 중 브랜드 개성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브랜드 개성은 브랜드와 연상되는 인간적인 특성들의 집합으로 정의되고 있으며(Aaker, 1997), 호의적인 브랜드 개성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를 높이고 긍정적인 감정적 유대감을 형성하여 궁극적으로는 충성도로 이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Fournier, 1998; Park & Lee, 2006; Suh et al., 2008; Yi & La, 2002).
고객들이 백화점이 제공하는 다양한 혜택에 인지하고 지속적으로 백화점을 방문하면서 인간적 특성들의 집합인 백화점의 브랜드 개성을 느끼게 되는데, 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백화점이 구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혜택은 다양한 제품계열과 제품구색, 편리한 입지, 쾌적한 쇼핑공간, 매력적인 매장 구성 등으로(Ahn & Lee, 2011), 고객들은 백화점이 제공하는 다양한 혜택을 인지하고 지속적으로 백화점을 방문하면서 인간적 특성들의 집합인 백화점의 브랜드 개성을 느끼게 된다. 이는 유통업체들이 점포에 고유한 인간적인 개성을 부여하고, 소비자들에게 인지시킴으로 백화점에 대한 호의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고 소비자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점포개성이라는 용어는 Martineau(1958)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으며, d'- Astous and Lévesque(2003)는 개인들의 특성을 나타내는 차원에서의 점포에 대한 정신적인 표현이라고 정의하였으며, Chun et al.
점포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소비자는 점포방문을 통해 제품을 구매할 뿐만 아니라 감성적, 상징적, 관계적 가치를 추구하고 있으므로 기업들은 고객의 욕구를 만족시켜 줄 수 있는 점포 개성에 관심을 두고 있다(Park & Jung, 2010). 점포는 소비자들이 실제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입하는 장소이며, 소비자들이 상품을 구입하지 않더라도 점포에 대한 특정 이미지를 느끼는 곳이기 때문에 중요하며, 유통업체와 소비자들이 직접적으로 만나는 장소로 매력적인 느낌이 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한편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을 강조하고 싶은 소비자들은 자신의 이미지와 가치관, 개성을 잘 표현해 줄 수 있는 브랜드를 소비함으로써 그들의 욕구가 충족될 수 있기를 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Aaker, J. L. (1997). Dimensions of brand personalit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4(3), 347?356. 

  2. Ahn, K. H., & Lee, H. N. (2011). The effect of perceived shopping value dimensions on attitude toward store, emotional response to store shopping, and store loyalty. Asian Journal of Marketing, 12(4), 137-164. 

  3.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4. Baker, J., Grewal, D., & Parasuraman, A. (1994). The influence of store environment on quality inferences and store image.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2(4), 328-339. 

  5. Cho, K. H., & Lim, C. U. (1999). The effects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switching barrier on store loyalty. Korea Marketing Review, 14(1), 47-74. 

  6. Choi, W. J. (2002).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of brand personality by product category.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13(1), 183-213. 

  7. Choy, M. K. (2008). The effect of brand personality dilution on purchase in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8. Chun, D. Y., Kwon, J. H., & Kim, J. W. (2009). The relative impact of store personality and functional store image on store loyalty: The moderation effect of shopping motives.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14(1), 99-127. 

  9. d'Astous, A., & Levesque, M. (2003). A scale for measuring store personality. Psychology & Marketing, 20(5), 455-469. 

  10. Dawson, S., Bloch, P. H., & Ridgway, N. M. (1990). Shopping motives, emotional states and retail outcomes. Journal of Retailing, 66(4), 408-427. 

  11. Dick, A. S., & Basu, K. (1994). Customer loyalty: Toward an integrated conceptual framework.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2(2), 99-113. 

  12. Distribution channels issues in fashion market, 2011. (2012, January 25). Samsungdesignnet. Retrieved April 20, 2012,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13. Fournier, S. (1998). Consumers and their brands: Developing relationship theory in consumer research.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4(4), 343-373. 

  14. Hong, B. S., Lee, E. J., Park, S. H., & Yoo, S. H. (2010). The effects of department store loyalty programs on consumer relationship quality and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10), 1621-1631. 

  15. Jang, S. J., & Rhee, E. Y. (2008). The effect of fashion brand personality on consumer's brand identification and brand loyal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1), 88-98. 

  16. Jones, T. O., & Sasser, W. E. (1995). Why satisfied customers defect. Harvard Business Review, 73(6), 88-99. 

  17. Keller, K. L. (1993).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57(1), 1-22. 

  18. Kim, C. K. (1998). A study of brand personality: Implications for advertising strategy.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9(1), 37-52. 

  19. Kim, C. K., Ryoo, J. Y., & Sung, H. S. (2002). The effect of brand personality on word-of-mouth and brand loyalty: Applying the theory of social identification. Journal of Consumer Studies, 13(1), 25-43. 

  20. Kim, H. B., & Lee, S. M. (2002). Impacts of brand personality on the store image and preference. Journal of Tourism Sciences, 26(1), 63-82. 

  21. Kim, H. G., Kim, J. H., & Kim, Y. J. (2007). The influence of store environment on service brand personality and repurchase intention.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17(4), 141-173. 

  22. D. H. (2011, September 28). The big three department stores such as 'Lotte', 'Hyundai' and 'Shinsaegye' expand their territory to small city. ChosunIlbo. Retrieved March 21, 2012, from http://www.chosun.com 

  23. Lee, E. J. (2006). A study of conceptual construct and influential variables of fashion brand personality: Focusing on male fashion brands.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4. Lee, J. H., Kim, M. T., & Park, H. H. (2004). The study on relationship of structure among brand personality-identification- loyalty from a standpoint of process.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9(3), 23-52. 

  25. Lee, J. J. (2003).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brand personality, brand identification, brand personality ex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6. Lee, O. H., & Kim, J. S. (2007) An empirical study of the store image and switching barrier on store loyal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9(4), 409-417. 

  27. Lee, S. H., & Park, J. E. (2007). The effects of factors fashionretail- entertainment on store image & store loyalty.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5(1), 179-192. 

  28. Martenson, R. (2007). Corporate brand image, satisfaction and store loyalty: A study of the store as a brand, store brands and manufacturer brands.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35(7), 544?555. 

  29. Martineau, P. (1958). The personality of the retail store. Harvard Business Review, 36(1), 47-55. 

  30. Mazursky, D., & Jacoby, J. (1986). Exploring the development of store images. Journal of Retailing, 62(2), 145-165. 

  31. Moon, D. J. (1999). The effect of brand personality on consumer attitud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2. Park, G. J., & Chung, K. H. (2010). A study on strategic implications of private brand: Focusing on brand personality. Korea Research Academy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view, 13(4), 29-55. 

  33. Park, H. H., & Jung, G. O. (2010).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tore attribute and store personality on store selec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hopping value and prior knowledge.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15(1), 139-166. 

  34. Park, H. H., & Lee, J. H. (2009). The scale development of store personality. Korea Marketing Review, 24(4), 1-34. 

  35. Park, S. Y., & Bae, H. K. (2006). Sensory experience effects on store attitude and loyalty: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 and satisfaction.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11(3), 1-13. 

  36. Park, S. Y., & Lee, Y. K. (2006). Effect of the congruence between brand personality and self-image on customer satisfaction, consumer-brand relationship and brand loyalty in Korean culture.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17(1), 7-24. 

  37. Plummer, J. T. (1984). How personality makes a differenc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4(6), 27-31. 

  38. Reichheld, F. F. (1993). Loyalty-based management. Harvard Business Review, 71(2), 64-73. 

  39. Rowley, J. (2005). The four Cs of customer loyalty. Marketing Intelligence & Planning, 23(6), 574-581. 

  40. Sirgy, M. J. (1982). Self-concept in consumer behavior: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9(3), 287-300. 

  41. Suh, Y. G., Woo, J. P., & Lee, D. H. (2008). The effect of discount store's brand personality on customer's brand identification, customer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Proceedings of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Business Administration, Korea, 2008(0), 1-30. 

  42. Supphellen, M., & Gronhaug, K. (2003). Building foreign brand personalities in Russia: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 ethnocentrism.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22(2), 203-226. 

  43. Swan, J. E., & Oliver, R. L. (1989). Postpurchase communications by consumers. Journal of Retailing, 65(4), 516-533. 

  44. Wysong, S., Munch, J., & Kleiser, S. (2002). An investigation into the brand personality construct, its antecedents, and its consequences. Proceeding of the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Winter Conference, America, 13, 512?518. 

  45. Yi, Y. J., & La, S. A. (2002). Brand personality-brand identification- brand equity model: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users vs non-users. Korea Marketing Review, 17(3), 1-33. 

  46. Yoo, C. J., Hyun, S. E., & Jeon, J. O. (1997). Structural analysis to store characteristics, in-store emotions and shopping behavior. Korea Marketing Review, 12(2), 1-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