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therapeutic meaning of Pericarpium Granati and Cortex Betulae Platyphyllae in herbal medication. Methods : About the origin, the component, the processing the drug, the properties and tastes of drugs, the meridian tropism, the effects, the treating d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樺皮란? 樺皮(CORTEX BETULAE PLATYPHYLLAE)는 樺木科(자작나무과 ; Betulaceae)에 속한 落葉喬木인 만주자작나무 및 자작나무의 樹皮로 宋代《開寶本草》에 최초로 수록되었으며 異名으로는 樺木皮・樺樹皮・白樺皮 등이 있다1-4). 樺皮의 性味는 苦, 寒 無毒하고 胃經에 작용하며 淸熱利濕・祛痰止咳・消腫解毒 등의 효능이 있어 痢疾, 泄瀉, 黃疸, 肺熱咳嗽, 扁桃腺炎, 폐렴, 신염, 요로 감염, 만성 기관지염, 급성 편도선염, 치주염, 급성 유선염, 癤腫, 癢疹, 痒疹, 肺風瘡, 여드름 등을 치료한다1-4).
石榴皮와 樺皮에 관한 문헌을 연구한 본 연구의 결론은? 1. 石榴皮는 石榴科에 속한 落葉喬木이나 小喬木인 석류나무의 成熟한 果實의 果皮이고 樺皮는 樺木科에 속한 落葉喬木인 만주자작나무 및 자작나무의 樹皮이다. 2. 石榴皮의 성분은 tannin 10.4~21.3%, 납 0.8%, 수지 4.5%, mannitol 1.8%, 당 2.7%, 고무질 3.2%, inulin 1.0%, 점액질 0.6%, gallic acid 4.0% 등이고 樺皮의 성분은 betulin 약 35%, 각종 고급 지방산 약 35% 이상, tannin 약 7% 등이다. 3. 石榴皮의 性味는 酸・澁, 溫 無毒하고 歸經은 胃·大腸 二經에 작용한다. 樺皮의 性味는 苦, 寒 無毒하고 胃經에 작용한다. 4. 石榴皮는 殺蟲・澁腸止瀉・止血止帶 등의 효능이 있어 蛔蟲病, 久瀉久痢, 脫肛, 혈변, 활정, 자궁 출혈, 백대하, 疥癬 등을 치료한다. 樺皮는 淸熱利濕・祛痰止咳・消腫解毒 등의 효능이 있어 泄瀉, 黃疸, 肺熱咳嗽, 扁桃腺炎, 폐렴, 신염, 癤腫, 癢疹, 痒疹, 여드름 등을 치료한다. 5. 石榴皮는 內服시에는 달여서 복용하거나 산제로도 쓴다. 外用시에는 달여서 그 약기운을 환부에 쏘이면서 씻거나 가루내어 섞어서 바른다. 華皮는 內服시에는 달이거나 시럽을 만들어서 복용하고 外用시에는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워 가루내어 살포한다. 6. 石榴皮 추출물과 樺皮 추출물은 항균작용, 알레르기 반응 억제 효과, 항염효과, 항산화 및 미백 효과, 피부주름 개선 효과 등이 있어서 여드름, 아토피 피부염 등의 피부질환에 사용하면 유효할 것으로 생각된다.
石榴皮란? 石榴皮(PERICARPIUM GRANATI)는 石榴科(석류과 ; Punicaceae)에 속한 落葉喬木이나 小喬木인 석류나무 및 同屬 近綠植物의 成熟한 果實의 果皮로 《雷公炮炙論》에서 石榴殼이라 하여 최초로 수록되었다1-4). 石榴皮의 性味는 酸澁, 溫 無毒하고 歸經은 胃 大腸 二經에 작용하며 殺蟲・澁腸止瀉・止血止帶 등의 효능이 있어 蛔蟲病, 久瀉久痢, 脫肛, 血便, 滑精, 자궁 출혈, 백대하, 疥癬, 濕疹 등을 치료한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hae YM. Jungyakyakmyeongsajun. Beijing: Chinese Medicine Publisher. 1996:44. 

  2. Sin MG, Jeong BY. Dohae Hyangyakdaesajeon. Seoul:Yeongrimsa. 380-1,735,803-4. 

  3. Sin MG. Clinical Traditional Herbalogy. Seoul: Yeongrimsa. 2002:399-400,844. 

  4. Jungukhanuigwadaehak gongdonggyojaepyeonchanwiwonhoi. Herbalogy. Seoul: Yeongrimsa. 2004:681-2,741. 

  5. Keun ML. Anticathartic Effect of Myristicae Semen. Granati pericarpium and Alpiae Katsumadai Semen. 2006. 

  6. Hyun PM. Purification and structural determination of punicalaginwith immune suppressive activity from Granati Pericarpium. 2005. 

  7. Yu JH, Seo CS. Yim MJ. Antimicribial Activities of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inne) Peel Extract. Journal of Pharmaceuitcal Sciences. 2004;72-6. 

  8. Jung JY. The Effects of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Extrct on Inflammatory and 

  9. Kim YJ, Lee JD, Lee YH. The Effects of Betula Platyphylla on Cartilage Protecion,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Activity in Arthritis. The Joumal of Korean Acupunct & Moxibustion Society. 2007;24(2):73-81. 

  10. An BJ, Cho YJ, Son JH, Park JM, Lee JY, Park TS. Antioxidant Effects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Extract of Prunus sargentii Rehder. J. Korean Soc. Appl. Biol. Chem. 2006;49(2):145-148. 

  11. Ryu MH, Park EK, Kim YH, Lee YA, Lee SH, Hong SJ, et al.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n Ethanolic Extract from Vetula Platyphylla. J Korean Oriental Med. 27(1): 184-195. 

  12. Kim KJ. Effect of Betula platyphylla on mast cell-mediated allergic inflammation in vivo and in vitro. 2012. 

  13. Ji SJ. Protective effect of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extract against cellular damage induc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2009. 

  14. Jin AL. A Clinical Study on the Efficacy of Cosmetics Containing the Root of Ephedra sinica and the Bark of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Relared to Skin Furrows.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2004;42(11):1396-405. 

  15. Noe H. Noegongpojaron. Seoul:Iljungsa. 1991:127. 

  16. Yi SJ. Kyojeongbon Bonchogangmok. Seoul: Uiseongdang. 1993:2047,2096-7. 

  17. Yi C. Gukyeokpyeonjuuihakibmun. Seoul: Namsandang. 1988:1019-20,1214-6. 

  18. Yang DH. Bonchobiyohaeseok. Gukheung Publisher. 1974:430. 

  19. No GD, Si DJ, Hong JB. Duekbaeboncho. Beijing:Chinese Medicine Publisher. 1997:175. 

  20. Wang YB. Yakseonggagwal. Seoul:Uiseongdang. 1995:77. 

  21. Wang A. Bonchoryakyo. Tianjin:Tianjin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er. 1999:166. 

  22. Sin MG, Park R, Maeng U Gukyeokhyangyakjipseongbang. Seoul:Yeongrimsa. 1989:1725. 

  23. Heo J. Donguibogam. Yeogang Publisher. 1994:2688, 2829. 

  24. So BG. Junggukbonchodorok Vol.4. Sangmuinseogwanyuhangongsa. 1989:136. 

  25. Chae YM. Jungyakyakmyeongsajun. Beijing: Chinese Medicine Publisher. 1996: 44. 

  26. Sim YS. Sangyongjungyakchaesaekdobo. Beijing: Chinese Medicine Publisher. 1996:902-4. 

  27. BeijingJunguihakkyowonyeonsil. Yakseongkakwalsabaekmibaekseolhae. Beijing:Inminwisaeng Publisher. 1997:220. 

  28. Ju SG. Yeongnambonchogojeoksamchung. Beijing:Chienes Medicine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er. 1998:50. 

  29. Sin CH. Mundabsik Bonchohak. Seoul: Seongbosa. 1992:395. 

  30. Sin KK. Kaejeongjuengbo Sinssibonchohak. Seoul:Sumunsa. 1988:161-2. 

  31. Ku JH. Dongyanghakgaeron. Seoul:Yeokang Publisher. 1992:392-3. 

  32. Kim JK, Cho BK. Dongyangjeontongyakmulwonsaekdokam. Seoul:Yeongrimsa. 1998:165,242. 

  33. Leung IK. Jungyakbonchohak. Seoul: Bogeonsinmunsa. 1999:72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