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과학기술사적 관점에서 바라본 4 체액설(體液說)과 사상의학(四象醫學) 이론 체계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Humor theory and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from the viewpoint of science and technology history원문보기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CM) and Four Humor Theory (FHT). Method : 1. The theoretical comparison was focused on the central pillars of both theories, i.e., the theories of Hippocrates and his successor Galenos as well as Lee Je-ma. 2. Research ...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CM) and Four Humor Theory (FHT). Method : 1. The theoretical comparison was focused on the central pillars of both theories, i.e., the theories of Hippocrates and his successor Galenos as well as Lee Je-ma. 2. Research papers on SCM and FHT were collected as follows. First, relevant papers were searched for using several electronic databases: Pubmed (http://www.pubmed.org.), NDSL (http://www.ndsl.kr/index.do), KISS (http://kiss.ksstudy.com), and RISS (http://www.riss4u.net.). Keywords were 'Sasang', 'constitution', 'constitutional medicine', 'humor theory', 'Hippokrates', 'Galenos', and "Dongeuisusebowon".In addition, relevant papers were searched for using the website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History of Medicine(http://medhist.kams.or.kr), The Korean society of Oriental medical classics (http://www.wonjeon.or.kr), The Society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http://www.esasang.or.kr/new_home/main.htm),and The Korean Association of Oriental Medical Physiology (http://www.ksomp.or.kr). As a result, a total of 32 papers were included in the final selection. Result & Conclusion : In this study,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FHT and SCM in terms of physiology, pathology and therapy. We showedthat the theories share similarities as well as differences. However, in a practical sense, the two should be characterized based on their differences rather than their similarities. In conclusion, the two have something in common, but overall, they are remarkably different from each other.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CM) and Four Humor Theory (FHT). Method : 1. The theoretical comparison was focused on the central pillars of both theories, i.e., the theories of Hippocrates and his successor Galenos as well as Lee Je-ma. 2. Research papers on SCM and FHT were collected as follows. First, relevant papers were searched for using several electronic databases: Pubmed (http://www.pubmed.org.), NDSL (http://www.ndsl.kr/index.do), KISS (http://kiss.ksstudy.com), and RISS (http://www.riss4u.net.). Keywords were 'Sasang', 'constitution', 'constitutional medicine', 'humor theory', 'Hippokrates', 'Galenos', and "Dongeuisusebowon".In addition, relevant papers were searched for using the website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History of Medicine(http://medhist.kams.or.kr), The Korean society of Oriental medical classics (http://www.wonjeon.or.kr), The Society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http://www.esasang.or.kr/new_home/main.htm),and The Korean Association of Oriental Medical Physiology (http://www.ksomp.or.kr). As a result, a total of 32 papers were included in the final selection. Result & Conclusion : In this study,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FHT and SCM in terms of physiology, pathology and therapy. We showedthat the theories share similarities as well as differences. However, in a practical sense, the two should be characterized based on their differences rather than their similarities. In conclusion, the two have something in common, but overall, they are remarkably different from each oth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그런데 어떤 부분에 초점을 두느냐에 따라 두 의학 체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 논문에서는 과학기술사적 관점에서, 즉 과학과 기술의 큰 흐름 속에서 4 體液說과 四象醫學이 어떤 과학기술사적 특 징을 갖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어서 두 의학의 주요 구성 요소들을 개괄적으로 비교 분석하는 방법을 선택하고자 한다. 전면적으로 두 의학 체계를 비교한 선행 연구가 거의 없는 상황이므로 큰 틀에서 두 의학 체계를 비교하는 연구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두 의학의 과학기술사적 특징을 먼저 살펴본 후 이어서 두 의학의 生理理論, 病理理論, 治療原則, 養生原則을 비교한 본 연구를 수행하였고, 일정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그리고 인체 역시 세계의 일부이므로 이러한 요소들이 인체를 이루고 있고, 이들의 조화와 부조화에 의해 건강과 질병이 좌우된다고 생각하였다. 또 엠페도 클레스는 일차적으로 영원히 불변하는 우주의 네 근원적 뿌리로 물, 불, 공기, 흙을 산정하고, 만물의 차이를 네 요소들이 결합하는 다양한 비율들의 차이를 통해 확정하고자 했다. 그리고 의학의 대상인 인체 역시 동일한 관점에서 하나의 작은 우주로 보았다.
가설 설정
6) 처음 4 體液說을 정립한 히포크라테스 학파도 바로 밀레토스 학파의 계열에 속한다.7)
제안 방법
1) 四象體質醫學과 4 體液說의 선명한 비교를 위해서는 뼈대를 이루는 중심 이론만을 다루는 것이 효율적이다. 그래서 四象體質醫學은 창시자인 李濟馬의 학설을 중심으로, 4 體液說은 4 體液說의 이론적 기초를 처음 정립한 히포크라테스와 이를 계승하여 완성한 갈레노스의 학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즉 그는 의학을 철학과 분리시키지 않고 인체를 우주 전체의 보편적 원리로부터 연역적으로 설명함으로써 과학적 의학을 정립하고자 했으며, 소우주와 대우주의 방법적 유비 속에서 의학의 과학적 엄밀성을 추구하고자 했다10). 아리스토텔레스는 엠페도클레스, 아낙사고라스, 플라톤 등이 주장한 4 원소설을 이어 받되 여기에 자신만의 관점, 즉 성질의 우열 원칙 ∙ 원소의 상호 변환 원칙 ∙ 제 3원소로의 변환 원칙 ∙ 질료의 특징 불변 원칙 ∙ 원소 비율에 따른 물질의 분화 원칙 ∙ 인간 포함 원칙 등을 덧붙임으로써 기존의 4 원소설을 총 정리하였다.11)
이상에서 살펴본 바에 따르면, 4 體液說과 四象體質醫學의 생리 이론은 몇 가지 공통점을 갖는다. 첫째, 생리 현상을 해부학적 구조에 근거한 국소적 기능이 아니라 철학적 추론에 근거한 종합적 기능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둘째, 인간을 네 종류로 유형화하였다.
첫째, 생리 현상을 해부학적 구조에 근거한 국소적 기능이 아니라 철학적 추론에 근거한 종합적 기능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둘째, 인간을 네 종류로 유형화하였다.
4 體液說과 四象體質醫學의 유사성 여부를 논의하기 위해 과학사적 흐름에서 두 이론 체계를 살펴보고, 이어서 두 의학의 배경철학, 生理理論, 病理理論, 治療原則, 養生原則을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대상 데이터
)에서 검색하여 추출하였다. 또 대한의사학회(http://medhist.kams.or.kr), 대한한의학원전학회(http://www.wonjeon. or.kr), 四象體質醫學회(http://www.esasang.or.kr/ new_home/main.htm), 대한동의생리학회(http://www.ksomp.or.kr)의 홈페이지에서도 관련 논문을 검색하여 추출하였다.
2) 四象體質醫學과 4 體液說과 관련된 논문은 ‘사상 (Sasang)’, ‘체질(constitution)’, ‘체질의학 (constitutional medicine)’, ‘體液說(humor theory)’, ‘히포크라테스(Hippokrates)’, ‘갈레노스 혹은 갈렌 (Galenos)’, ‘동의수세보원(Dongeuisusebowon)’을 키워드로 선정해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인 Pubmed (http://www.pubmed.org.), NDSL (http://www.ndsl.kr/index.do), KISS (http://kiss.ksstudy.com), RISS (http://www.riss4u.net.)에서 검색하여 추출하였다.
성능/효과
1) 四象體質醫學과 4 體液說의 선명한 비교를 위해서는 뼈대를 이루는 중심 이론만을 다루는 것이 효율적이다. 그래서 四象體質醫學은 창시자인 李濟馬의 학설을 중심으로, 4 體液說은 4 體液說의 이론적 기초를 처음 정립한 히포크라테스와 이를 계승하여 완성한 갈레노스의 학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내용 중에서 4 體液說과 四象體質醫學의 배경 철학만을 따로 떼어서 살펴보면 두 이론 체계는 철학적 배경에서 몇 가지 공통점을 갖는다. 첫째, 의학과 철학을 분리하지 않았고, 그 결과 인체가 우주와 동일한 원리로 구성 및 작동한다고 보 았다. 둘째, 4 범주 체계를 이용해 우주와 인체를 이해하려고 했다.
이상에서 살펴본 내용 중에서 4 體液說과 四象體質醫學의 배경 철학만을 따로 떼어서 살펴보면 두 이론 체계는 철학적 배경에서 몇 가지 공통점을 갖는다. 첫째, 의학과 철학을 분리하지 않았고, 그 결과 인체가 우주와 동일한 원리로 구성 및 작동한다고 보 았다. 둘째, 4 범주 체계를 이용해 우주와 인체를 이해하려고 했다.
반면 몇 가지 차이점도 있다. 첫째, 4 體液說의 배경 철학은 고대 그리스의 자연 과학 사상에 바탕을 두고 있고, 四象體質醫學의 배경 철학은 조선 후기의 실용적 유학의 흐름과 李濟馬의 四元構造論 및 心 우위의 心身一元論에 바탕을 두고 있다. 둘째, 4 體液說의 배경 철학은 中醫學과 마찬가지로 인간이 우주의 원리에 순응하는 수동적 존재임에 초점을 두고 있지만 四象體質醫學의 배경 철학은 인간이 주어진 내외부 환경에 주도적으로 대처해가는 능동적 존재임에 초점을 두고 있다.
반면 몇 가지 차이점도 있다. 첫째, 4 體液說의 배경 철학은 고대 그리스의 자연 과학 사상에 바탕을 두고 있고, 四象體質醫學의 배경 철학은 조선 후기의 실용적 유학의 흐름과 李濟馬의 四元構造論 및 心 우위의 心身一元論에 바탕을 두고 있다. 둘째, 4 體液說의 배경 철학은 中醫學과 마찬가지로 인간이 우주의 원리에 순응하는 수동적 존재임에 초점을 두고 있지만 四象體質醫學의 배경 철학은 인간이 주어진 내외부 환경에 주도적으로 대처해가는 능동적 존재임에 초점을 두고 있다.
둘째, 4 體液說의 배경 철학은 中醫學과 마찬가지로 인간이 우주의 원리에 순응하는 수동적 존재임에 초점을 두고 있지만 四象體質醫學의 배경 철학은 인간이 주어진 내외부 환경에 주도적으로 대처해가는 능동적 존재임에 초점을 두고 있다. 셋째, 4 體液說의 배경 철학에서는 물 ∙ 불 ∙ 흙 ∙ 공기와 혈액 ∙ 점액 ∙ 황담즙 ∙ 흑담즙을 각각 우주와 인간을 구성하는 기본 물질로 제시하지만, 四象 體質醫學의 배경 철학에서는 우주와 인간을 구성하는 기본 물질을 제시하지 않고 다만 모든 것을 네 가지로 분류한다는 四元構造論의 원칙을 제시한다.
둘째, 4 體液說의 생리 이론에서는 4 體液과 관련된 인체의 몇 가지 기관만을 언급하지만 四象體質醫學의 생리 이론에서는 인체 전체를 대상으로 한다. 셋째, 4 體液說에서는 주도적 體液의 종류에 따라 성격을 4 분류하는 것에 그쳤지만 四象體質醫學에서는 心身의 모든 구조와 기능과 현상을 4분류함으로써 훨씬 구체적으로 4 유형화하였다. 넷째, 4 體液說의 생리 이론에서는 자연 환경과의 관련성을 중시하지만 四象體質醫學에서는 외부 환경에 대한 언급 없이 인간 자체의 특성을 중시한다.
둘째, 4 體液說의 생리 이론에서는 4 體液과 관련된 인체의 몇 가지 기관만을 언급하지만 四象體質醫學의 생리 이론에서는 인체 전체를 대상으로 한다. 셋째, 4 體液說에서는 주도적 體液의 종류에 따라 성격을 4 분류하는 것에 그쳤지만 四象體質醫學에서는 心身의 모든 구조와 기능과 현상을 4분류함으로써 훨씬 구체적으로 4 유형화하였다. 넷째, 4 體液說의 생리 이론에서는 자연 환경과의 관련성을 중시하지만 四象體質醫學에서는 외부 환경에 대한 언급 없이 인간 자체의 특성을 중시한다.
넷째, 4 體液說의 생리 이론에서는 자연 환경과의 관련성을 중시하지만 四象體質醫學에서는 외부 환경에 대한 언급 없이 인간 자체의 특성을 중시한다. 다섯째, 4 體液說에서는 4 體液 중 특정 體液들 사이에 특별한 관계가 성립하지 않지만 四象體 質醫學에서는 肺黨과 肝黨, 脾黨과 腎黨 사이의 특별한 상호 대립 관계에 의해 생리적 특성이 달라진다.
넷째, 4 體液說의 생리 이론에서는 자연 환경과의 관련성을 중시하지만 四象體質醫學에서는 외부 환경에 대한 언급 없이 인간 자체의 특성을 중시한다. 다섯째, 4 體液說에서는 4 體液 중 특정 體液들 사이에 특별한 관계가 성립하지 않지만 四象體 質醫學에서는 肺黨과 肝黨, 脾黨과 腎黨 사이의 특별한 상호 대립 관계에 의해 생리적 특성이 달라진다.
둘째, 4 體液說에서는 외부 환경 요인을 중시하지만 四象體質醫學에서는 내부 요인을 중시한다. 셋째, 4 體液說에서는 모든 종류의 體液의 불균형이 모든 사람에게 발생할 수 있지만 四象體質醫學에서는 특정 臟腑 기능 대소의 불균형은 특정 체질에만 나타난다. 넷째, 4 體液說에서는 4 體液 중 특정 體液들 사이에 특별한 관계가 성립하지 않지만 四象體質醫學에서는 태양인과 태음인의 경우에는 肺黨과 肝黨, 少陽人과 少陰人의 경우에는 脾黨과 腎黨 사이의 불균형에 의해 질병이 발생한다.
셋째, 4 體液說에서는 모든 종류의 體液의 불균형이 모든 사람에게 발생할 수 있지만 四象體質醫學에서는 특정 臟腑 기능 대소의 불균형은 특정 체질에만 나타난다. 넷째, 4 體液說에서는 4 體液 중 특정 體液들 사이에 특별한 관계가 성립하지 않지만 四象體質醫學에서는 태양인과 태음인의 경우에는 肺黨과 肝黨, 少陽人과 少陰人의 경우에는 脾黨과 腎黨 사이의 불균형에 의해 질병이 발생한다.
셋째, 4 體液說에서는 모든 종류의 體液의 불균형이 모든 사람에게 발생할 수 있지만 四象體質醫學에서는 특정 臟腑 기능 대소의 불균형은 특정 체질에만 나타난다. 넷째, 4 體液說에서는 4 體液 중 특정 體液들 사이에 특별한 관계가 성립하지 않지만 四象體質醫學에서는 태양인과 태음인의 경우에는 肺黨과 肝黨, 少陽人과 少陰人의 경우에는 脾黨과 腎黨 사이의 불균형에 의해 질병이 발생한다.
둘째, 내과적 치료는 식물과 일부 동물성 물질을 이용한다. 셋째, 병은 획일적 방법으로 치료되는 것이 아니므로 병자가 처해 있는 상황에 따라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해야 한다. 즉 병을 앓고 있는 개인별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에 따르면, 4 體液說과 四象體質醫學의 치료 원칙은 몇 가지 공통점을 갖는다. 첫째, 치료의 궁극적 목표가 불균형의 회복이다. 둘째, 자연에서 채취한 약재를 이용한 내과적 치료를 중시한다.
반면 몇 가지 차이점도 있다. 첫째, 4 體液說에서 고려하는 개인별 차이는 주로 개인이 처한 외부적 환경 차이지만 四象體質醫學에서 고려하는 개인별 차이는 개인의 내부적 臟腑 기능의 차이다. 둘째, 4 體液說에서는 증상에 따라 치료 약물을 분류하지만 四象體質醫學 에서는 치료 약물을 개인의 체질에 따라 일차 분류한 후 각 증상에 따라 다시 세분한다.
둘째, 4 體液說의 배경 철학은 中醫學과 마찬가지로 인간이 우주의 원리에 순응하는 수동적 존재임에 초점을 두지만 四象體質醫學의 배경 철학은 인간이 주어진 내외부 환경에 주도적으로 대처해가는 능동적 존재임에 초점을 두고 있다. 셋째, 4 體液說의 배경 철학에서는 물, 불, 흙, 공기와 혈액, 점액, 황담즙, 흑담즙을 각각 우주와 인간을 구성하는 기본 물질로 제시하지만 四象體質醫學의 배경 철학에서는 우주와 인간을 구성하는 기본 물질을 제시하지 않고 다만 모든 것을 네 가지로 분류한다는 四元構造論만을 제시한다.
6. 이상의 결과를 총괄하면, 공통점에 초점을 두고 4 體液說과 四象體質醫學을 유사한 의학으로 바라보는 시각도, 차이점에 초점을 두고 두 의학을 상이한 의학으로 바라보는 시각도 모두 어느 정도 타당성이 있다. 그러나 공통점과 차이점을 동시에 고려한다면, 공통점이 만들어 내는 공통된 모습보다는 차이점이 만들어 내는 서로 다른 모습이 훨씬 더 선명하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四象體質醫學과 4 體液說의 공통점은?
이렇게 역사적 배경은 다르지만, 四象體質醫學과 4 體液說은 4 범주로 인간을 유형화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고, 이 때문에 四象體質醫學과 4 體液說을 유사한 의학 체계로 바라보는 시각이 적지 않다. 일부에서는 4 體液說을 매우 정교한 체질 이론으로 보고, 과거 1,500 년 동안이나 주도적 이론 체계였던 4 體液說을 서양의학이 근대 의학 발전 과정에서 이미 폐기한 것과 달리 한의학은 여전히 낡은 관점을 고집하고 있다고 비판할 때, 4 體液說과 대비해 四象體質醫學을 대표적 예로 들기도 한다5).
근대 자연 과학 탄생의 산실이 된 지역은?
4 體液說이 기원한 그리스는 서양 철학과 과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는데, 특히 밀레토스를 중심으로 한 이오니아 지방은 근대 자연 과학 탄생의 산실이 되었다.6) 처음 4 體液說을 정립한 히포크라테스 학파도 바로 밀레토스 학파의 계열에 속한다.
각 의학 체계의 이론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해야하는 이유는?
다시 말해서 두 의학 체계의 유사성 여부를 논의하기 위해서는 먼저 각 의학 체계의 이론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 두 의학 체계의 유사성 여부를 명확히 밝힐 수 있고, 또 그 결과를 근거로 “서양의학이 이미 폐기한 낡은 관점을 한의학은 여전히 고집하고 있다”라는 식의 비판 의견에 정확한 답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17)
김지권, 최달영. 體液과 性格의 상관관계에 대한 文獻的 考察(體液病理學과 四象醫學을 中心 으로). 동서의학회지. 1994. pp. 32-38, 40-41.
황상익. 근대 이전 서양의학의 기능적 질병관과 그 극복 과정. 한국과학사학회지. 1995. Vol.17(1). p.57.
박주영. 고대 서양의학 체질론과 사상체질론의 형성과정 및 내용 비교 연구. 대한의사학회지. 2009, Vol.18(1). p.16.
이항재, 최승훈. 四象醫學과 證治醫學의 비교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1997. Vol.9(2). pp.135-143.
Yoo JH, Lee EJ, Kim CM, Lee JH, Lao LX.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and Traditional Chinese Medicine:A Comparative Overview.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1. pp.3-4.
Kim JY, Pham DD, Koh BH. Comparison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Ayurveda.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1. pp.4-5.
전국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엮음. 改訂增補四象醫學. 집문당. 서울. 2011. p.41. pp.645-647.
곽영직. 과학기술의 역사. 도서출판 북스힐. 서울. 2009. pp.25-28.
조근태. 우리과학 100년. 현암사. 서울. 2001. pp.14-36.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연구과제 타임라인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