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far-infrared (FIR) therapy on weight loss. Method Thirty five participants (BMI ${\geq}25kg/m^2$) were recruited. Body weight, Waist circumference (WC), Bio Impedance Analysis (BIA), abdominal fat Computer Tomography (CT) scan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본 연구에서는 상기 부작용의 위험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선조사에 대한 알러지나 피부과적 병력이 있는 대상을 시험에서 제외하였고, 광선 조사 중 발적, 홍반, 부종, 소양, 피부건조 및 현훈, 빈맥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는지 면밀히 관찰하였다. 대상자 중 4명에게서 각각 일시적 홍반, 두통, 소양감, 설사 및 복부팽만감의 경미한 부작용이 나타났는데, 30분 이내에 곧바로 소실되었고 다른큰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 , 원적외선 조사치료 전후의 복부지방의 분포 변화를 살펴본 연구는 없었다. 이에 의료용 원적외선 조사기를 활용한 전신 온열요법을 통한 체중감량 효과 및 복부지방의 변화를 보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 이에 저자는 비만 환자들에게 경피 원적외선 조사 치료가 비만 환자의 복부 지방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성인 비만 여성환자를 대상으로 6주간의 원적외선 조사치료 시행 전과 후의 체중, 허리둘레, 체성분검사를 통한 체지방량, 근육량, CT 검사를 통한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의 면적을 비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 수준이 증가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무엇인가? 비만이란 지방조직에 비정상적으로 과도한 지방이 축적되는 상태로,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BMI) 25kg/m2 이상으로 정의한다1,2). 비만 수준이 증가할수록 심혈관질환의 이환율 및 위험 요인이 증가하며, 또한 고혈압, 제2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수면무호흡증, 간담도계 질환, 내분비 장애 등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개인의 정신적인 측면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등 비만은 중대한 건강 위험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3).
비만의 치료 방법 중 운동요법을 실시하는 경우 어떤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가? 비만의 치료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대사기능의 불균형을 해소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식이요법, 운동요법을 통한 접근이 이뤄 지고 있다 2,7) . 비교적 부작용의 위험성이 적은 접근으로 운동요법을 실시하는 경우에도, 개인별 특 성과 운동능력에 따라 인대손상, 관절염 등의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8). 이와 같은 부작용을 최소화 하면서 체지방 및 체중의 감량, 제지방을 증가 시키는 다양한 형태의 치료 방법에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런 관점에서 비침습적인 저온의 온열작용으로서 세포에 대한 자극이 없는 원적외선의 적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9).
비만이란 무엇인가? 비만이란 지방조직에 비정상적으로 과도한 지방이 축적되는 상태로,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BMI) 25kg/m2 이상으로 정의한다1,2). 비만 수준이 증가할수록 심혈관질환의 이환율 및 위험 요인이 증가하며, 또한 고혈압, 제2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수면무호흡증, 간담도계 질환, 내분비 장애 등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개인의 정신적인 측면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등 비만은 중대한 건강 위험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World Health Organization.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Report of a WHO consultation. United Kingdom: The Stationery Office Books. 2000:6. 

  2.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the Western Pacific (WPRO),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the Study of Obesity (IASO) and the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IOTF).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Sydney: Health Communications Australia. 2000:17-20,34-41. 

  3. Georgy A Bray. 비만치료의 최신지견. 서울:한미의학. 2005:106-25. 

  4. Bjorntorp P. The regulation of adipose tissue distribution in humans.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1996;20(4):291-302. 

  5. Matsuzawa Y, Shimomura I, Nakamura T, Keno Y, Tokunaga K. Pathophysiology and pathogenesis of visceral fat obesity.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1994;24:111-6. 

  6. Hamdee A, Anne LF, Andrew RH. Visceral obesity, impaired glucose torelance, metabolic syndrome, and growth hormone therapy. Growth Hormone & IGF Research. 2006;16:62-7. 

  7. 오상우 외. 비만 바로 알기. 서울:보건복지가족부. 2009:67-75. 

  8. Manninen P, Riihimaki H, Heliovaara M, Makela P. Overweight, gender and knee osteoarthritis.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1996;20(6):595-8. 

  9. 홍춘표. 인천대학교 체육학과. 걷기운동을 통한 원적외선 및 진동운동 적용이 중년비만 여성의 신체조성, 혈중지질 및 렙틴 변화에 미치는 영향. 2006. (학위논문) 

  10. Biro S, Masuda A, Kihara T, Tei C. Clinical implications of thermal therapy in lifestyle-related disease. Exp Biol Med. 2003;228(10):1245-9. 

  11. Yoshizumi T, Nakamura T, Yamane Y. Abdominal fat : standardized technique for measurement at CT. Radiology. 1999;211:283-6. 

  12. 이민규, 이영호, 박세현, 손창호, 정영조, 홍성국, 이병관, 장필립, 윤애리. 한국판 식사태도검사 표준화 연구I: 신뢰도 및 요인분석. 정신신체의학회지. 1998;6(2):155-75. 

  13. 김병성. 한국어판 국제 신체활동 설문지 소개. 가정의학회지. 2006;27(4):348-57. 

  14. Wajchenberg BL. Subcutaneous and visceral adipose tissue: their relation to the metabolic syndrome. Endocr Rev. 2000;21:697-738. 

  15. BjoErntorp P. Visceral obesity: a civilization syndrome. Obes Res. 1993;1:206-22. 

  16. Despres JP, Lemieux I, Bergeron J, Pibarot P, Mathieu P, Larose E, Rodes-Cabau J, Bertrand OF, Poirier P. Abdominal obesity and the metabolic syndrome: contribution to global cardiometabolic risk.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008;28: 1039-49. 

  17. Despres JP. The insulin resistance-dyslipidemic syndrome of visceral obesity: effect on patient's risk. Obes Res. 1998;6:8-17. 

  18. Albu JB, Kovera AJ, Johnson JA. Fat distribution and health in obesity. Ann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2000;904:491-501. 

  19. 김양현, 오상우, 김영성, 전중한, 양윤준, 윤영숙, 이언숙. 비만 여성의 복부지방 분포에 영향을 주는 요인. 대한비만학회지. 2005;14(1):39-46. 

  20. 이아라, 정원석, 송미연. 폐경전 한국인 비만 여성 에서 복부지방의 분획별 특성에 대한 임상연구. 한방비만학회지. 2008;8(2):25-35. 

  21. 김상만, 김성수, 윤수진, 심경원, 최회정, 김광민, 이득주. 복부 내장지방량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단순비만지표는?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허리엉덩 이둘레비). 대한비만학회지. 1998;7(2):157-68. 

  22. Mayo MJ, Grantham JR, Balaseakaran G. Exercise induced weight loss preferentially reduces abdominal fat. Med Sci Sports Exerc. 2003;35:207-13. 

  23. 신승우, 김길수. 복부비만 치료 후 피하 및 내장지방의 변화.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06;6(2):95-104. 

  24. 김현수. 복부비만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운동요법. 대한비만학회지. 2011;20(1):1-7. 

  25. Beever R. Far-infrared saunas for treatment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summary of published evidence. Can Fam Physician. 2009;55(7):691-6. 

  26. 김재윤, 박래준, 박영한. Far-Infrared의 발전사와 물리치료 적용에 대한 연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1;13(1):189-95. 

  27. Toyokawa H, Matsui Y, Uhara J, Tsuchiya H, Teshima S, Nakanishi H, Kwon AH, Azuma Y, Nagaoka T, Ogawa T, Kamiyama Y. Promotive effects of far-infrared ray on full-thickness skin wound healing in rats. Exp Biol Med. 2003;228 (6):724-9. 

  28. 김재윤, 박영한, 박돈목, 박래준. 원적외선의 인체 작용메카니즘.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1;13(2): 477-82. 

  29. Kawaura A, Tanida N, Kamitani M, Akiyama J, Mizutani M, Tsugawa N, Okano T, Takeda E. The effects of Leg Hyperthermia using far infrared rays in bedridden subjec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cta med Okayama. 2010;64(2):143-7. 

  30. Lin CC, Liu XM, Peyton K, Wang H, Yang WC, Lin SJ, Durante W. Far infrared therapy inhibits vascular endothelial inflammation via the induction of heme oxygenase-1.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008;28(4):739-45. 

  31. 박찬욱, 장윤호, 민세동, 강세구, 이충근, 이명호. 원적외선 온열이 인체 자율신경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대한의사학회지. 2004;25(6):623-8. 

  32. 김완겸, 김성삼, 유승현, 길인호, 권소희, 이기남.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5;9(25):93-106. 

  33. 한방재활의학과학회. 한방재활의학. 제 2판. 서울: 군자출판사. 2005:317-8. 

  34. 최보미, 홍서영. 한방이학요법 중 경피경근온냉요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0;20(4):73-81. 

  35. Lee JH, Roh MR, Lee KH. Effects of Infrared Radiation on Skin Photo-Aging and Pigmentation. Yonsei Medical Journal. 2006;47(4):485-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